내면적 자원이 21세기 인간의 생명력이다.
상태바
내면적 자원이 21세기 인간의 생명력이다.
  • 관리자
  • 승인 2007.09.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세기 생활과학

하나의 소우주와 같은 인간의 두뇌 속에는 삼라만상이 존재한다.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가 장 알맞은 학습방법을 선택하여 두뇌 속에 들어 있는 에너지를 활용하면 아인슈타인처럼 생 각할 수 있고, 다빈치처럼 예술품을 창조할 수도 있고, 에디슨처럼 발명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은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내면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때 가능하 다. 풍부한 내면적 자원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발휘도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부정부패를 일으켜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는 일부 기성세대, 거리를 방황하 고 있는 일부 청소년들의 탈선행위도 바로 내면적 자원이 고갈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바로 21세기는 인간의 내면적 자원이 삶의 영양소가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력이 되는 사회이다. 이미 선진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중립국들이 1990년대를 전후하여 산업사회에서 후기 산업사회로 진입하였다. 후기 산업사회는 정보화사회를 열었다.
이러한 정보화사회는 학습사회를 만들고, 학습사회는 지식사회를 창출시키게 된다. 바로 21 세기는 정보화사회를 기반으로 학습사회가 성숙되어 지식사회로 발전하는 사회이다. 지식사 회가 완전히 성숙되는 21세기 후반에 접어들면 인간의 가치관이 우주관을 중심으로 재형성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발전 추세는 인간의 내면적 자원을 더욱더 요구하게 된다. 정보화사회는 모든 사람들에게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누구든지 새로운 정보를 가지고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보를 어떤 과정 속에 집어넣고 학습을 하게 되면 기존의 지식·기술을 개량하거나 새로운 지식·기술이 축적되어 지식중심 사회의 터전이 마련되는 것이다.
내면적 자원이 있는 사람만이 다차원 학습을 할 수 있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 바 로 학습사회와 지식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신념, 가치관과 창의력 등을 포함하는 인 간의 내면적 자원이다. 내면적 학습이 있는 사람만이 적극적인 학습동기가 유발되어 학습을 내면화시켜 자기 자신의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다 다시 신념, 가치관과 창의력을 투 입시켜 학습을 다차원화시키면 더욱 발전적인 지식이 창출되어 사회발전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지금 왜 위기에 처해 있는가?
금년 들어 한국의 국제경쟁력이 하위수준으로 떨어지고, 경제는 곤두박질하고 있다. 1890년 대에 우리는 20세기를 예측하지 못하여 1910년에는 주권을 빼앗기는 치욕을 당하였다.
만약 지금 우리가 21세기를 예측하여 적극적으로 대비하지 않는다면 2005∼2010년경에 이르 면 경제권을 송두리째 다른 나라에 빼앗기는 또 다른 치욕과 고통을 당하게 될는지도 모른 다.
왜 이렇게 되었는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내면적 자원이 부족하여 정신적 인프라를 구축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식사회에는 인간의 신념, 가치관과 창의력 등을 포함하는 내 면적 자원을 기반으로 구축된 정신적 인프라가 자원의 보고가 되고, 지적 재산권이 가장 중 요한 재산으로 부각되며, 지식이 생산의 기본요소가 된다.
지금 우리가 그 동안 전심전력하여 가꾸어 온 불우이웃돕기 정신, 근검절약 정신, 개척 정신 등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정신적 인프라마저도 붕괴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정보장비 구입 비와 그 사용료로 막대한 재정지출을 하면서도 내면적 자원이 부족하여 학습을 하지 않아 기존의 지식·기술을 개량하거나 새로운 지식·기술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조직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금 한국 사회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대부분의 국민들이 내면적 자원이 결핍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기성세대는 1만불의 국민소득을 올리면서 내면적 자원을 고갈시켜 버렸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잘못된 교육풍토 때문에 내면적 자원이 길러지지 않고 있다. 한국인 모두가 21세기 사회에 잘 적응하고, 보다 나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국민 각자가 정신적·지적·정서적·심미적·육체적인 내면적 자원 개발에 많은 노 력을 기울여야 할 때가 되었다. 내면적 자원이 부족한 사회는 아무리 많은 부(富)를 축적하 더라도 존재혁명을 성취하지 못하여 결코 행복한 사회를 만들지 못하게 된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문미호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