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의 눈
상태바
주역의 눈
  • 불광미디어
  • 승인 2025.02.14 1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을 씻고 세상을 꿰뚫는 경전

 

주역의 눈
저작·역자 이선경 지음 정가 20,000원
출간일 2025-02-18 분야 인문/철학
책정보

신국판(152×225mm)|272쪽|무선 |

| 분야 인문/철학 | ISBN 979-11-7261-135-4(03140)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주역, 핵심만 알아도 세상 문리가 트인다!”

한국인의 DNA에 흐르는 ‘주역’의 인문학

동양철학 연구의 정통 계보를 3대째 이어온 주역학자가

점과 사주를 넘어 세상 이치와 음양오행의 묘리를 풀다!

점술에 관한 점서(占書)로만 오해하기에 십상인 『주역(周易)』. 사실 『역경(易經)』과 「역전(易傳)」으로 구성된 『주역』은 사서삼경(四書三經) 가운데 첫 번째로 꼽는 문헌이며 가장 유래 깊은 유교의 경전이다. 특히 공자의 방대한 해설 「역전(易傳)」까지 더해진 『주역』은 자연, 인간의 이치를 오랜 세월 탐구하고 증명받아온 최고의 철학이자 인문학이다. 동양에서 가장 탁월한 고전으로 추앙받는 이유가 여기 있다. 그래서 『주역』은 누구나 한 번쯤은 읽어야 할 ‘최고의 인생책’으로 손꼽힌다.

그런데도 선뜻 펼치기는 어렵다. 천지인 삼재(天地人 三才)라는 심오한 대자연의 변화와 법칙 탓에 어렵다는 인식이 강하다. 포기하기엔 이르다. 『주역』을 모두 읽고 이해할 필요는 없다. 핵심만 알아도 세상의 문리(文理, 사물의 이치를 아는 힘)가 트이는 게 『주역』이다. 동양철학 연구의 정통 계보를 3대째 이어온 주역학자 이선경 박사는 ‘역(易)의 사유’ 방식에 주목했다.

“역(易)이라는 글자는 ‘바꿀 역’이다. 뜻 자체가 ‘변화’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라. 이 우주는 한순간도 멈춤 없이 시시각각 변한다. 우리의 몸도 마찬가지이다. 순간순간 세포들은 생멸을 거듭하면서 몸의 균형점을 새롭게 맞추어 간다. 변화해야 산다. 그것이 우주의 원리이다. 사람의 삶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한국인이라면 반드시 섭렵해야 할 경전,

『주역』을 읽으면 한국이 보인다!

핵심 공식을 알면 어떤 수를 대입해도 답이 나온다. 저자는 『주역』의 핵심 원리이자 사고방식인 ‘역의 사유’에 『논어』, 『맹자』, 『중용』 등 동양철학을 대입해 세상의 이치와 음양오행의 묘리를 풀어나간다. 한국인의 DNA에 흐르는 ‘역의 사유’를 발견, 우리의 정신과 문화 그리고 삶과 함께 흘러온 『주역』을 에세이로 써 내려간다. 단군신화와 홍익인간 그리고 만파식적, 훈민정음의 제작 원리, 태극기의 태극 문양과 4개의 괘에 담긴 자연 순환 등을 ‘역의 사유’로 자상하게 설명한다. 특히 인간 관계, 음주, 이름에 담긴 의미, 화와 복, 죽음 등 누구나 인생에서 겪을 법한 여러 상황을 ‘역의 사유’로 풀어가면서 인생을 경영하는 성숙한 지혜까지 알려준다.

저자는 『주역』을 아직 접하지 않은 독자를 위한 기초지식도 책에 담았다. 「역전(易傳)」은 무엇이며, ䷙ 이렇게 생긴 모양을 왜 ‘산천 대축’이라 부르고, ䷊ 요렇게 생긴 모양은 왜 ‘지천 태’라 부르는지 핵심만 갈무리했다.

기초지식을 배울 수 있지만, 이 책은 『주역』 입문서나 개론서가 아니다. 『주역』이 왜 ‘마음을 씻는 경전’ 세심경(洗心經)인지, 왜 ‘세상을 꿰뚫는 경전’인지 독자 스스로 깨닫게 한다. 글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주역』의 핵심 원리와 의미가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자신도 모르게 ‘역의 사유’ 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발견하고 ‘나를 아끼는 지혜’를 배운다. 그래서 이 책은 30대, 40대, 50대, 60대가 되어서야 읽는 선택 사항이 아니다. 삶의 든든한 중심을 잡고 싶은 모두를 위한 인문학 필독서다.

『주역의 눈』은 3,000년의 지혜가 담긴 동양사상 최고의 고전을 통해 나를 찾아가는 안목을 키우는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위로

지은이: 이선경

제17대 한국주역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현), 조선대 철학과 초빙객원교수. 한국의 역학인 ‘정역(正易)’ 연구의 일인자 학산 이정호(1913~2004), 행촌 이동준(88, 성균관대 명예교수)을 이어 3대째 동양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만국립정치대학에서 ‘주역’을 공부하고, 성균관대에서 조선 후기 역학 사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한국주역대전』 편찬팀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이원구 역학: 18세기 조선, 철학으로 답하다』, 『주역과 한국문화』(공저), 『한국철학사상사』(공저), 『21세기 보편 영성으로서의 誠과 孝』(공저) 등 다수가 있다.

목차 위로

글머리에

1부 元: 『주역』을 읽으면 내가 보인다

1. 왜 ‘나를 찾아가는’ 『주역』인가

2. 『주역』을 읽으면 무엇이 좋을까?

3. 『주역』을 읽기 위한 준비

4. 음양적 사유: 삶은 상대와의 끊임없는 조율

5. 우주의 세 기둥: 하늘, 땅, 사람

2부 亨: 삶의 뿌리를 찾아서

1. 홍익인간: 이질성과 다양성을 융합하는 한민족의 헌법

2. 신라의 ‘주역’ 문화: ‘이견대’와 ‘만파식적’

3. 풍류 1: 만나는 사람마다 살리고 성숙시키는 그것

4. 풍류 2: 새벽해와 봄바람을 닮은 사람의 모습

5. 태극 1: 태극기에 담긴 자연과 사람의 길

6. 태극 2: 고귀하고 떳떳한 삶의 표준

7. 훈민정음 1: 글자이면서 소리인 이유

8. 훈민정음 2: 천지자연의 문채를 담다

9. 훈민정음 3: 당신은 어떤 틀로도 규정될 수 없는 존재

10. 자연의 질서가 사람의 삶 속에 흐르도록

3부 利: 지금, 나를 위한 『주역』

1. 주역점은 운명이 아닌 나를 찾아가는 길

2. 곤괘(坤卦): 땅은 낮음으로써 거룩하다

3. 겸괘(謙卦) 1: 단단함을 품은 부드러움

4. 겸괘(謙卦) 2: 『주역』이 길하게 여기는 사람의 모습

5. 복괘(復卦): 동짓날에 담긴 천지의 마음

6. 곤괘(困卦): 흉한 일도 감당하는 게 인생

7. 혁괘(革卦): 변화하지 않으면 오래가지 못한다

8. 정괘(井卦): 덮개 없는 우물로 생명을 살리는 뜻

4부 貞: 더 나은 삶을 꿈꾸며

1. 나와 나의 관계가 출발이다

2. 술은 어떻게 마셔야 할까?

3. 집 이름에 삶을 담으면

4. 『주역』의 죽음관

5. ‘주역’에서 ‘정역’으로: K-문화를 넘어 K-사상으로

남은 이야기:

향적산방, ‘정역’의 공부 터전

상세소개 위로

불안의 시대, 삶의 든든한 중심을 잡다!

동양철학 최고의 고전에서 배우는

좀 더 성숙한 인생 경영의 지혜

“복(福)은 쌍으로 오지 않고, 화(禍)는 혼자 오지 않는다.”

한 번쯤 들어봤을 중국 명언 ‘복무쌍지 화불단행(福無雙至 禍不單行)’이다. 좋은 일보다 좋지 않은 일이 많은 게 인생이다. 길(吉)한 일이 있으면 흉(凶)한 일도 있다. 다만 때를 몰라 초조하고, 닥쳤을 때 해결하지 못할까 불안하다. 자기 의지와 다르게 주변 환경의 변화는 깊이 파고 들어 일상을 흔들기 마련이다.

불안의 시대, 삶의 든든한 중심이 필요하다. 동양철학 최고의 고전 『주역(周易)』은 흉한 일을 만났을 때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생각하게 해준다. ‘역의 사유’로 『주역』을 바라 본 『주역의 눈』은 인생에 정말 필요한 곤(坤)·겸(謙)·복(復)·곤(困)·혁(革)·정(井) 6개 괘를 선별해 묘리를 푼다. 예를 들자면 이렇다. 인생에 화가 찾아올 때 혹은 흉한 일이 닥쳤을 때 필요한 괘를 설명한다. 저자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흉한 국면을 제시하는 곤괘(困卦, ䷮)로 위로와 격려를 건넨다.

사실 곤(困) 자체가 ‘괴롭다’는 뜻이다. 괘의 모양이 연못(☱)이 위에 있고 물(☵)은 아래에 있다. 물이 연못에 담겨 있지 못하고 아래로 쭉 빠져 내린 모양새이다. 더 험악하게 말하자면 몸에서 피가 쭉 빠져나간 형국이다. 죽음을 면치 못한다. 이보다 더 흉할 수가 없다. 이 괘의 의미를 풀어놓은 『주역』의 설명은 아이러니하다.

“곤(困)은 형통하고 곧은 대인(大人)이라서 길하고 허물이 없다. 말을 해도 믿지 않으리라.”

모순이고 역설적인 풀이다. 죽게 되는 흉한 상황인데도 길하고 허물이 없다. 무슨 말을 해도 믿어주지 않으니 곤궁함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형국이다. 『주역』은 이렇게 덧붙인다.

“기쁘게 험난한 길을 가기에, 곤고하지만 형통함을 잃지 않으니, 군자라야 그러하리라!”

『주역』에 담긴 ‘역의 사유’ 묘리가 여기 있다. 저자는 『논어』, 『맹자』, 『중용』 등 동양철학으로 해석한 곤괘를 통해 좀 더 성숙한 인생 경영의 지혜를 전한다.

“오늘 하루 작지만 의롭고 양심에 떳떳한 선택, 나 자신을 참되고 아름답게 가꾸려는 지금의 노력이 중요하다. ‘마음을 잘 보존하고, 본성을 잘 기르는 일이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라는 것이 맹자의 가르침이다. ‘나침반은 흔들리기 때문에 바른 방향을 가리킬 수 있’듯, 오늘도 떨리고 두려운 마음으로 길을 찾으며 가는 우리 모두를 격려해 본다.”

이처럼 『주역의 눈』은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오랜 세월 증명받아온 동양철학을 바탕으로 삶의 든든한 중심을 잡도록 이끈다. 저자는 『주역』을 단순히 점서로만 이해하지 않고, 자기 모습을 찾아가는 인문학이라는 사실을 이 책으로 증명한다. 삶의 지혜를 얻는 통로로 『주역』을 곁에 두면 허물을 덜 짓고 상생의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 그래서 이 책은 자기계발서로 오해받기를 거부한다. 동양철학 최고의 고전에서 자기 인생을 좀 더 성숙하게 경영하는 지혜가 담긴 인생책이 바로 『주역의 눈』이다.

‘두루 통하는 이치’ 『주역』의 인문학을 섭렵하는 순간,

세상과 통하는 인생 경영의 키를 쥐게 된다!

『주역(周易)』은 오랜 세월 여러 사람들이 만들어 온 고전이다. 복희가 그린 8괘를 바탕으로 주나라 문왕(文王)이 64괘의 모양과 괘의 뜻을 알려주는 말, 즉 괘사(卦辭)를 붙였다. 여기에 문왕의 아들 주공(周公)이 괘를 이루는 6개 효의 의미를 알려주는 말, 즉 효사(爻辭)를 붙였다고 한다. 이게 다가 아니다. 괘사와 효사의 알쏭달쏭한 내용을 친절하게 풀어 해설을 덧붙인 공자(孔子)의 「역전(易傳)」이 더 있다. 괘·효사가 점을 치기 위한 것이라면, 「역전」은 그 점이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해 인문학적 해석을 더해준다. 「역전」은 10개의 편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명 ‘십익(十翼)’이라고 하는데, 『주역』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10개의 날개란 뜻이다. 여기에는 괘사나 효사에 관한 설명뿐 아니라, 역(易) 철학의 개론이라 할 수 있는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주역』이 점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사상서이자 철학서로 간주되는 것은 「역전」이 있기 때문이다.

『주역의 눈』 저자 이선경 박사는 「역전」에서 더 나아간다. 한국의 역학인 ‘정역(正易)’ 연구의 일인자 학산 이정호(1913~2004), 행촌 이동준(88, 성균관대 명예교수)을 이어 3대째 동양철학 연구에 매진하며 쌓아온 내공을 이 책에 펼친다.

“나와 나의 관계 정립이란 몸과 마음 모두에 걸친 일이다. 나는 정서적으로도 나를 아껴줘야 하지만, 나의 몸도 아껴줘야 한다. 폭식, 폭음, 폭언, 폭행은 모두 금해야 할 일이다. 쉽게 분노를 폭발하는 일도 정서적으로 나를 학대하는 일이다. 턱을 움직여 음식물을 씹는 모양인 주역의 이괘(頤卦, ䷚)에서는 ‘말을 신중하게 하고, 음식을 조절해서 먹는다’고 했다. 덜어냄을 뜻하는 손괘(損卦, ䷨)에서는 ‘성냄을 징계하며 욕심을 막는다’고 했다. 이런 일들은 맹목적 금욕이 아니라 내가 나를 아끼는 중요한 방법이다. 일이 잘 안 풀리는 시간이 생각보다 길더라도 건강하게 먹고 마음을 편안히 해서 때를 준비해야 한다.”

이렇게 저자는 『주역』이 인문학이 되는 순간을 포착한다. 그 순간을 ‘역의 사유’로 들여다보면서 사람이 사는 이치를 풀이한다. 이는 곧 ‘나를 아끼는 지혜’로 이어진다. 생로병사 인생사에서 가장 두려운 ‘죽음’에 관한 ‘역의 사유’는 『주역』이 왜 인간학의 정점이자 경전으로 추앙받는지 확실하게 알려준다.

“역(易)은 ‘변화’이다. 주역이 바라보는 우주는 멈춤 없는 변화의 흐름 속에 있다. ‘영원히 변화한다’는 것은 본래 시작이 없으며 끝도 없다는 말이다. 종말이 없다.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고, 또 겨울이 지나면 다시 봄이 온다. 끝났는가 하면 다시 시작하고, 또 끝났는가 하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우주 변화의 영원한 패턴이다. 그래서 주역에서는 시종(始終)이라 하지 않고, 종시(終始)라고 한다. 이러한 세계관 속에서는 죽음도 커다란 변화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지, 변화를 벗어난 별도의 우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다. 죽음이란 변화의 한 마디를 마친 것뿐이다. 소멸이 아니다.”

저자는 『주역』을 공부하는 목적이 “지금 이 시간과 공간에서 내가 나의 주인이 되는 힘을 기르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을 함부로 대하지 않고 잘 아끼고 사랑하는 힘을 기르는 게 ‘역의 사유’이자 『주역』의 핵심이라는 것. 『주역의 눈』은 ‘마음을 씻고 세상을 꿰뚫는 경전’ 세심경(洗心經)으로 불리는 『주역』의 핵심을 발견하는 안내서로 손색이 없다.

‘한국 정신문화의 큰별’ 탄허 스님

“불교를 제외한 최고의 철학” 극찬

MBTI 단초 만든 칼 융도 활용한 그 책!

“불교를 제외한 최고의 철학은 『주역』이다.”

유불선을 꿰뚫은 ‘한국 정신문화의 큰별’ 탄허 스님의 극찬이다. 탄허 스님(1913~1983)은 사서삼경 등 한문학을 수백 번 읽어 통째로 외울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 스님이 500번이나 탐독하고 끝까지 매진한 것은 『주역』이었다. 탄허 스님은 출가하기 전 18세 때, 처가에서 소를 팔아 『주역』을 사주자 집에도 들어가지 않았다. 글방에서 한 손엔 『주역』을 들고 한 손으로 연신 무릎을 치면서 춤을 추며 미친 듯이 읽고 읽었다고 한다.

이보다 앞서 『주역』에 몰두한 사람은 또 있다. 천하의 공자(기원전 551~479)도 죽간(竹簡, 대나무 조각을 엮어 만든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읽었다는 게 『주역』이다. 공자는 『주역』의 괘사나 효사에 관한 설명뿐 아니라, 역(易) 철학의 개론이라 할 수 있는 방대한 해설 「역전」을 썼다.

『주역』에 주목한 서양학자도 있었다. 무의식과 『주역』을 접목해 MBTI에 이론적인 실마리를 제공한 세계적 정신분석학자 칼 융(1875~1961)이다. 칼 융은 1949년 독일의 리하르트 빌헬름이 번역 출판한 『주역』 서문에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책”이라고 썼다. 오랜 시간 『주역』을 연구한 칼 융이 외향형-내향형 등 성격유형을 구분한 것은 『주역』의 영향이다. 『주역』에서 음양이 서로 대립하는 게 아닌 보완적인 관계라는 점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주역점도 연구에 깊이 적용했다. 그는 주역점의 원리를 학문적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한 결과, 동시성(synchronocity) 원리라는 이론을 제창했다.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사건들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름만 언급하면 알만한 사람들이 왜 『주역』을 탐독했을까? 『주역』이 주나라의 역이라고 해서 특정 민족이 만들어낸 특정한 시대의 산물로만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주나라 이전 왕조인 은나라에는 ‘귀장역(歸藏易)’, 앞서 하나라에는 ‘연산역(連山易)’이 있었다고 한다. ‘역(易)’은 ‘주나라의 역’이 전부가 아니다. ‘두루 통하는 역’이듯, 그것은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 사유의 바탕을 이뤄온 사유체계이자 문헌이다. ‘변화’라는 두 글자로 압축된 『주역』의 핵심 원리를 빼놓고 인간을 이해하고 세상의 이치를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뜻이다.

‘변화’에 담긴 인간 이해와 세상 이치를 논하는 『주역』에 담긴 ‘역의 사유’를 특징짓는 말은 관계, 상생, 평화, 생명, 중도, 균형, 주체, 창의 등이다. 밤과 낮, 추위와 더위 같은 자연의 상반된 힘이 생명을 끌어가듯, 우리도 삶 속에서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을 함께 버무려 제3의 길을 찾아간다. 공자의 대표 사상인 인(仁)은 『주역』에서 ‘생명을 살리기를 좋아하는 마음’으로 설명된다. 이 마음에서 나 자신과 세상이 잘못되어가는 것을 근심하는 ‘우환 의식’이 나온다. 우환으로 가득한 삶의 길에서 우리는 동아시아의 고전 중의 고전 『주역』에서 어떤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을까? 『주역의 눈』에서 불안의 시대에 삶의 든든한 중심을 잡는 지혜를 확인할 수 있다.

책속으로 위로

역(易)이라는 글자는 ‘바꿀 역’이다. 뜻 자체가 ‘변화’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라. 이 우주는 한순간도 멈춤 없이 시시각각 변한다. 우리의 몸도 마찬가지이다. 순간순간 세포들은 생멸을 거듭하면서 몸의 균형점을 새롭게 맞추어 간다. 변화해야 산다. 그것이 우주의 원리이다. 사람의 삶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변화’를 뜻하는 책 『역』은 사람의 길을 인도하는 ‘마음 씻는 경전’ 세심경(洗心經)으로 오랜 세월 사랑받아왔다.

- <1부 元: 『주역』을 읽으면 내가 보인다>

‘주역’을 전공한다고 하면, “사주 볼 줄 아세요?”라고 묻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결론 먼저 얘기하면 사주를 다루는 명리학(命理學)은 실상 『주역』과 별 관계가 없다. 『주역』을 통째로 외운다고 해서 사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주역』을 한 줄도 모른다 한들 사주를 보는 데 별 지장이 없다. 주역점은 숙명적인 개인의 운명을 알려주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오히려 어떻게 해야 인생을 성숙하게 경영할 수 있는가에 관한 지혜를 열어준다.

- <1부 元: 『주역』을 읽으면 내가 보인다>

동아시아에서 음양오행은 세계의 기본질서를 나타내는 보편적 원리로 받아들여졌다. 오행의 체계는 정치 및 사회 제도 그리고 문화 의식을 가로지르는 원리였다. 서울의 동대문을 흥인지문(興仁之門), 서대문을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을 숭례문(崇禮門)이라 부르며, 북대문인 숙정문(肅靖門) 근처에 홍지문(弘智門)을 세우고, 동서남북 사대문(四大門)의 중심에 보신각(普信閣)을 배치했다.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동서남북 중앙에 짝하는 다섯 방위의 성질로 본 것이다. 봄·여름·가을·겨울을 동남서북의 네 방위에 배치한 것 역시 오행 사상에 따른 것이다.

- <2부 亨: 삶의 뿌리를 찾아서>

태극이 밤낮 길이의 변화라는 자연의 리듬을 형상화한 모양이라면, 태극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괘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혹시 학창 시절 ☰은 건괘-하늘, ☵은 감괘-물, ☷은 곤괘-땅, ☲은 리괘-불, 이런 내용을 배운 적이 있지 않은가? 태극기의 4괘는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면서 태극 문양과 마찬가지로 동지~하지, 하지~동지에 이르는 자연의 리듬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 <2부 亨: 삶의 뿌리를 찾아서>

『주역』에서의 의리(義理)는 ‘정의롭다’는 말이 아니라 ‘의미’와 ‘이치’를 뜻한다. 말하자면 인문학적 관점에서 『주역』의 상(象)과 텍스트에 접근하는 것이다. 훈민정음에 적용해보면 상(象)은 직립한 사람의 형상을 본떠 “ㅣ”를 그리는 방식이고, 의리(義理)적 관점이란 직립한 인간인 “ㅣ”에 대해서 “머리는 하늘에, 발은 땅에 버티고 서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 하늘과 땅의 화육작용을 돕고 완수하는 존재”라는 해석을 덧붙이는 식이다.

- <2부 亨: 삶의 뿌리를 찾아서>

교태전(交泰殿)은 음과 양이 사귀어 크게 태평하다는 뜻을 지닌다. 전각의 이름은 주역의 태괘(泰卦, ䷊)에서 가져왔다. 태괘는 하늘과 땅이 교섭하여 만물이 태어나고 자라나는 ‘길하고 형통한’ 괘이다. 하늘과 땅은 만물을 낳고 살리는 중심축이니, 천지의 사귐은 그 의미가 크고도 깊다. 중용에 “군자의 도는 부부 사이로부터 시작한다”고 하였다. 군자의 대표자 임금이 취해야 할 부부 사이의 모범은 땅과 하늘의 사귐이다. ‘교태전’에는 왕과 왕비의 사귐으로 ‘흉한 것은 지나가고 길한 것이 도래’하여, 국운이 창성하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 <2부 亨: 삶의 뿌리를 찾아서>

점이란 우주 자연의 원리와 감응하는 것이다. 자연은 참되고 성실하게 생명을 살리는 일을 하고 있으니, 점치는 이가 진실함으로 조언을 구한다면 『주역』은 시초를 헤아리고 동전을 던지는 행위를 매개로 그 답을 현시한다. 그러니 제대로 점을 치기 위해서는 내 마음의 본래 바탕[本性]으로 돌아가도록 욕심을 내려놓아야 한다. 점치기는 우리 의식의 심층에서 본래 자아와 조우하는 명상의 한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상적 앎은 주지적 앎과 배치되는 게 아니라 서로 보완되며, 삶에서 실천으로 완성되는 것을 ‘주역 명상’이라 부르고 싶다. 점괘를 얻는 과정은 신비하지만, 점사를 해석하는 데에는 반성적 성찰과 사색이 필요하며, 그 결론이 삶의 모습으로 열매를 맺어야 하기 때문이다.

- <3부 利: 지금, 나를 위한 『주역』>

복괘는 동지(冬至)를 주제로 한 괘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땅(☷)속에 우레(☳)가 꽂혀 땅속을 흔들어 놓았다. 아직은 땅속 깊숙이 있어 그 기운이 미미하지만 계속 자라나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복(復)은 ‘돌아온다’, ‘회복한다’는 말이다. ‘빛이 돌아온다’, ‘양의 기운이 회복된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런데 새로운 시작을 뜻하는데, 왜 ‘돌아온다’ 또는 ‘회복한다’는 표현을 쓰는 것일까?

- <3부 利: 지금, 나를 위한 『주역』>

혁괘는 혁신과 개혁의 리더로 대인과 군자를 지목한다. 사회변혁의 바탕에는 반드시 인격을 갖춘 지도자가 있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논어에서 공자가 군자란 어떤 사람인가를 묻는 제자의 질문에 공자가 답한다. “자신을 닦아서 남을 편안하게 하는 사람”, “자신을 닦아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사람”이다. 혁명을 이끄는 자의 ‘나 닦음[修己]’은 필수적이다. 인격을 갖추지 못한 이들에 의해 주도되는 혁명은 경직된 이데올로기이거나 집단적 탐욕의 결과물이기 쉽다. 변혁의 도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의 혁명이다.

- <3부 利: 지금, 나를 위한 『주역』>

나와 나의 관계 정립이란 몸과 마음 모두에 걸친 일이다. 나는 정서적으로도 나를 아껴줘야 하지만, 나의 몸도 아껴줘야 한다. 폭식, 폭음, 폭언, 폭행은 모두 금해야 할 일이다. 쉽게 분노를 폭발하는 일도 정서적으로 나를 학대하는 일이다. 턱을 움직여 음식물을 씹는 모양인 주역의 이괘(頤卦, ䷚)에서는 “말을 신중하게 하고, 음식을 조절해서 먹는다”고 했다. 덜어냄을 뜻하는 손괘(損卦, ䷨)에서는 “성냄을 징계하며 욕심을 막는다”고 했다. 이런 일들은 맹목적 금욕이 아니라 내가 나를 아끼는 중요한 방법이다. 일이 잘 안 풀리는 시간이 생각보다 길더라도 건강하게 먹고 마음을 편안히 해서 때를 준비해야 한다.

- <4부 貞: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이름을 붙일 때 근거는 대체로 고전에서 취한다. 정약용의 ‘여유당(與猶堂)’은 노자의 “겨울 냇물 건너듯 사방을 두려워하듯 하라”는 뜻을 가져온 것이고, 남명 조식의 ‘산천재(山天齋)’는 주역의 대축괘(大畜卦, ䷙)에서 취했다.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듯이, 그 기상을 닮은 국가 동량을 길러낸다는 뜻을 지녔다. 추사 김정희는 거실 편액을 ‘척암(惕庵)’이라 하였다. 주역 건괘(乾卦) 삼효의 “군자가 종일토록 힘쓰고 힘써 저녁까지도 두려워[惕]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다”를 취하여, 행여 나태해질까 두려워하며 수양하는 뜻을 담았다. 옛사람들은 국가기관으로부터 선비의 초당에 이르기까지, 그 집의 이름짓기에 참 진심이었다.

- <4부 貞: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역(易)은 ‘변화’이다. 주역이 바라보는 우주는 멈춤 없는 변화의 흐름 속에 있다. ‘영원히 변화한다’는 것은 본래 시작이 없으며 끝도 없다는 말이다. 종말이 없다.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고, 또 겨울이 지나면 다시 봄이 온다. 끝났는가 하면 다시 시작하고, 또 끝났는가 하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우주 변화의 영원한 패턴이다. 그래서 주역에서는 시종(始終)이라 하지 않고, 종시(終始)라고 한다.

이러한 세계관 속에서는 죽음도 커다란 변화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지, 변화를 벗어난 별도의 우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다. 죽음이란 변화의 한 마디를 마친 것뿐이다. 소멸이 아니다. 주역에서는 “정(精)과 기(氣)가 만물이 되고, 혼(魂)이 떠돌며 변화가 일어난다”라고 하였다.

- <4부 貞: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언론사 서평 위로
내용을 입력하세요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