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양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어 의복과 향을 주었다. 임금과 신하들은 그(향) 이름이 무엇인지 어디에다 쓰는지 몰라, 사람을 시켜 향을 싸 들고 나라 안에 두루 묻게 하였다. 이때 왕녀가 몹시 위독했는데, 향을 피우고 빌게 하였더니 그녀의 병이 곧 나았다. 왕이 기뻐서 예물을 후하게 주었는데, 얼마 뒤에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신라에 불교를 전래한 ‘아도’의 이름은 『삼국유사』에만 적어도 세 군데 이상 나온다. 그리고 비단 선산 도리사만이 아니라, 강화도 전등사(서해), 고흥 능가사(남해), 고성 건봉사(동해) 삼면 바닷가 사찰에도 전래 설화로 등장한다. 그렇기에 ‘아도’가 고유 명사가 아닌 당시의 승려를 일컫는 보통 명사가 아닌가 하는 의문도 제기된 적이 있다. 전래 시기도 제각각이다.
삼국통일 직후, 신라는 현재의 구미 선산 지역인 일선군에 경주에 버금가는 탑과 사찰을 세웠고, 선산 도리사에서 출토된 금동사리함과 사리를 모셨다. 단순히 기록이 아닌 역사로서 ‘아도’를 추념한 것이다.
또 ‘모례(毛禮)’라는 구체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모(毛)가 우리말 ‘털’을 기록한 문자라면, 모례는 ‘털레’가 된다. ‘털레’에서 ‘레’가 생략되면서 ‘털’이 ‘절’로 변화했다는 연구도 있다. 일본에서 절을 ‘데라( )’라 하는데, 여기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연구이기도 하다.
선산 지역은 전통적으로 영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곳이다. 대조적으로 구미 지역은 현대 산업화의 대명사가 된 도시다. 태조산 자락에 위치한 도리사와 모례마을에서 신라불교를 볼 수 있다면, 금오산 자락에서는 산속 깊은 바위에 새겨진 부처님과 야은 길재, 대각국사 의천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신라불교의 초전법륜지이자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그곳, 구미와 선산으로 가보자.
일러두기
① 아도 스님의 신라불교 전래 시기는 다양한 기록이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저자들의 의견을 가감 없이 실었습니다.
② 도리사에서는 눌지왕 시기(417년)를 전래 시기로 정해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