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아귀의 종류
상태바
[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아귀의 종류
  • 지미령
  • 승인 2023.07.26 14: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육도회六道繪에 그려진 아귀

우리나라에서 아귀는 주로 감로탱화에서 등장한다. 필자는 가끔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감로탱화와 같은 그림이 일본에도 있는지 질문을 받는다. 결론부터 말하면 ‘있다’. 다만 감로탱화처럼 한 화면에 아귀와 지옥, 불보살을 모두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각각 분리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그림들을 일본에서는 ‘육도회(六道繪)’라고 부른다. 
육도회는 불교에서 설하는 6가지 세계, 즉 지옥도·아귀도·축생도·아수라도·인도·천도를 그린 변상도(變相圖, 불교 경전이나 교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 중 하나다. 일본에서는 12세기 말(고려시대에 해당)에 집중적으로 그려졌다.

그 시기 일본은 불안정한 사회정세와 함께 말법사상이 크게 유행했다. 사람들은 지옥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됐고, 육도회 그림 역시 다량으로 제작됐다. 육도회는 결국 인간이 6개 단계를 거쳐 윤회를 거듭한 후 염불로 구제받고 극락왕생한다는 정토사상이 깔려 있다[도판 1]. 육도회 제작은 겐신(源信)이 저술한 『왕생요집』(985)을 바탕으로 했다. 『왕생요집』은 12세기 말부터 13세기에 걸쳐 제작된 일본의 지옥과 정토 그림, 헤이안 문학, 헤이안 노래집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 

육도회 중 하나인 아귀초지 속 일본의 아귀를 소개한다. 초지(草紙)는 종이에 그린 그림을 말하며, 주로 두루마리 형태로 제작됐다. 

[도판 1] 육도회 중 일부,일본 성중내영사(聖衆來迎寺) 소장. 인간이 죽은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부패하는 과정을 그린 그림.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구제받지 못한 자: 가와모토본 아귀초지

일본의 아귀 그림은 무섭기보다는 보는 이들에 따라 눈을 감고 싶다거나 불쾌감을 토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한국보다 일본 아귀의 표현이 배경과 맞물려 좀 더 구체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아귀초지 그림은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가와모토본(河本本)과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소겐지본(曹源寺本) 두 개가 전한다. 먼저 가와모토본은 일본 오카야마 지역의 가와모토 가문이 소장해 왔던 그림을 의미한다. 가와모토본은 당시 풍속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정법염처경』에 나오는 36종류의 아귀 중 일부를 10개의 장면으로 그렸다. 이 중 유명한 몇 개의 장면을 살펴보자.

[도판 2] 욕색아귀, 가와모토본 아귀초지 부분도(이하 동일),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음욕에 취한 남녀나 날이 새도록 이어지는 술자리에 기생해 음식을 훔치는 아귀 

첫 번째 장면은 연회장에서 인간의 몸에 달라붙는 아귀들이다[도판 2]. 화면에는 다섯 명의 남성과 두 명의 여성이 등장한다. 이들 앞에는 음식과 술을 준비한 개인 반상이 놓여 있고, 남녀 한 쌍이 서로 마주 보며 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아마도 남성들은 귀족이고 여성들은 유녀일 것이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남성들의 몸에 아주 작은 아귀들이 붙어 있다. 이 아귀들이 바로 ‘욕색(欲色)아귀’다. 

욕색아귀는 음욕에 취한 남녀나 날이 새도록 이어지는 술자리에 기생해 음식을 훔치는 아귀다. 몸이 아주 작고, 때때로 작은 새로 모습이 변하기도 하는데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림은 술자리에 참여한 이들이 아귀의 존재를 눈치채지 못한 모습을 연출한다. ①아귀는 남자의 가슴 속에 파고들어 가 말라비틀어진 손을 얼굴에 뻗치거나, ②어깨에 걸터앉거나 귀에 대고 무언가를 속삭인다. 음욕과 술자리가 지나치면 이제는 인간의 욕망이 아닌 아귀의 욕망이라는 것을 알려주듯이 말이다. 

[도판 3] 사영아변아귀. 신생아의 배설물을 좋아하는 아귀

두 번째 장면은 신생아의 배설물을 좋아하는 ‘사영아변(伺嬰兒便)아귀’다[도판 3]. 전생에 사악한 자에게 자기 갓난아이를 잃은 까닭에 복수심에 불타서 다른 사람의 아기를 죽여버리겠다고 결심한 여자가 아귀가 됐다. 따라서 이들은 출산하는 여성들 옆에서 신생아의 변을 확인하고 그 아이의 목숨을 빼앗으려고 한다. 

화면 중앙에는 분만을 막 끝낸 여성이 안도의 표정을 짓고 있다. 신생아 앞에는 아이의 변을 노리는 아귀가 기어다니고, 산모 주변에는 출산을 도운 여성들과 산파가 포진해 있다. 방바닥에는 액운을 막기 위해 깨진 사기들을 흩뿌려 놨다. 하지만 산모는 여전히 불안함을 떨칠 수 없다. 그래서 화면 왼쪽 문 옆에 활을 든 남성을 세워 뒀다. 남성은 출산 중에 생기는 액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화면 오른쪽 장막 뒤에는 승려와 무녀가 산모와 아기를 위해 가지기도(加持祈禱, 병이나 재난을 피하고자 불보살에게 올리는 기도)를 하고 있다. 승려의 얼굴에는 출산이 무사히 끝난 안도의 미소가 보이지만, 아귀는 혀를 내밀며 신생아의 변을 향해 손을 뻗는 위급한 상황이다. 이 이후의 상황이 궁금해지는 스토리텔링이 잘된 회화의 한 장면이라 할 수 있다. 

[도판 4] 식분아귀(사변아귀). 배설물을 좋아해 항상 인간의 분뇨를 구하러 다닌다.

아귀는 신생아의 분뇨만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성인의 배설물도 좋아한다. 이 아귀들을 ‘식분(食糞)아귀’, 혹은 ‘사변(伺便)아귀’라고 부른다[도판 4]. 식분아귀는 전생에 탐욕으로 보시를 하지 않고, 불결한 음식을 출가자들에게 제공해 아귀가 된 이들이다. 이들은 항상 인간의 분뇨를 구하러 다닌다. 

화면에는 허물어진 토담을 중심으로 남녀노소가 길거리에서 앉거나 서서 배변 활동을 하고 있다. 서민들의 화장실 문화를 가늠할 수 있는 그림으로, 당시에는 후미진 길거리에서 배변을 보는 게 일반적이었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배변 중인 인간들이 모두 굽이 높은 나막신을 신어 오물이 묻는 것을 피하고 있다. 아귀들은 방금 배설이 끝난 따뜻한 배변을 노리며 어슬렁거리거나 손을 뻗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중앙의 젊은 여성 주위로 아귀들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다는 점이다.

[도판 5] 광야아귀(우)와 식화탄아귀(좌). 광야아귀는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황야를 질주하거나 맹금류에게 눈과 육신을 쪼아 먹힌다. 식화탄아귀는 시체를 태우는 불덩이를 먹음으로써 굶주림을 이겨낸다.
[도판 6] 총간주식열회토아귀. 전생에 사람들이 부처님께 공양한 꽃을 훔쳐서 아귀가 됐다.

아귀 중에서도 좀 더 고난받는 아귀들이 있다. 광야아귀, 식화탄아귀, 총간주식열회토아귀, 식토아귀가 그러하다. ‘광야(曠野)아귀’는 전생에 호수나 연못을 망가뜨렸거나, 황야를 여행하는 나그네의 재물을 빼앗은 자들이다. 이들은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황야를 질주하거나 맹금류에게 눈과 육신을 쪼아 먹힌다[도판 5]. 그림에서는 독수리가 아귀를 쪼아 먹는 모습이 그려졌다. ‘식화탄(食火炭)아귀’는 전생에 사람들을 때리거나 결박하고, 음식을 빼앗아 굶주린 이들이 진흙을 파먹게 만든 자들이다. 아귀가 된 이후에는 시체를 태우는 불덩이를 먹음으로써 굶주림을 이겨낸다. 그림에서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불덩이를 먹기 위해 입을 벌리고 있는 아귀의 모습이 나온다. 불덩이를 먹는 아귀로는 ‘총간주식열회토(塚間住食熱灰土)아귀’도 있다[도판 6]. 이들은 전생에 사람들이 부처님께 올린 꽃을 훔쳐서 아귀가 됐다. 그림에서는 두 명의 도깨비가 불 검을 휘두르며 아귀를 위협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도판 7] 식토아귀. 먹은 음식은 다시 토해내야 하는 아귀

‘식토(食吐)아귀’는 전생에 여자로 태어나 남편을 굶기고 혼자서 음식을 취했거나, 남자로 태어나 처자식을 굶기고 자기 혼자 음식을 취한 이들이다[도판 7]. 식토아귀는 인간이 토한 음식을 먹고, 다시 먹은 음식을 강제적으로 뱉어내는 고통을 받는다. 그림에서는 도깨비가 방금 음식을 먹은 아귀의 입을 벌려 긴 막대기를 쑤셔 넣어 토하게 하는 모습이다. 

가와모토본 아귀초지 그림들은 모두 ‘먹다’와 ‘배출’의 순환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음욕 후에는 출산이라는 배출을 하고, 먹은 후에는 배설한다. 입은 먹고 배출하는 두 개의 역할을 겸하고 있어 인간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순환구조를 아귀초지에 대입했다. 

 

구제받는 자: 소겐지본 아귀초지

가와모토본 아귀들이 구제받지 못한 채 영원히 고통받는 모습이라면, 소겐지본은 아귀들이 실제로 구제받는 모습을 보여준다. 소겐지본은 같은 오카야마 지역 소겐지에서 전해오던 그림으로, 현재는 교토국립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소의경전은 『정법염처경』, 『우란분경』, 『구발염구아귀다라니경』이다. 전체 7장으로 구성됐고, 화면 오른쪽에는 소의경전의 내용을 쓰고, 왼쪽에는 그림을 그린 두루마리 그림이다. 

[도판 8] 식수아귀,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도판 8] 식수아귀,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소겐지본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아귀는 ‘식수(食水)아귀’다[도판 8]. 식수아귀는 전생에 술에 물을 섞어 팔아서 아귀가 된 이들로 항상 갈증에 시달린다. 현대에는 술에 물을 섞는 것을 넘어서 술과 술을 섞기도 하는데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는 지점이다. 

그림은 식수아귀가 강물을 마시려 하자 도깨비가 쫓아오고, 강을 건너는 나그네의 발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을 핥아 겨우 목을 축이는 장면이다. 또 다른 아귀는 우란분절에 조상 공양을 위해 사찰을 방문한 사람들이 탑에 물을 붓고 있는 주변에 등장한다. 북적이는 사람들 사이로 아귀들은 탑에 뿌려진 물을 홀짝이며 근근이 목숨을 부지하는 모습이다. 

[도판 9] 목련존자와 어머니,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이들 아귀가 구제받는 장면은 다음 장면에서 등장한다. 이 장면은 목련존자와 관련이 있다. 그 유명한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떨어진 어머니께 음식을 줬지만 모두 불로 변해 먹을 수가 없었다는 이야기다. 이에 목련은 부처님께 구제의 법을 듣고 스님들이 공양받고 남긴 음식을 어머니께 먹일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그렸다[도판 9]. 

[도판 10] 구제받는 아귀들,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소겐지본은 구제의 모습을 시간순대로 한 화면에 그려 넣기도 한다[도판 10]. 화면 오른쪽에는 선들을 겹겹으로 그려 강을 묘사했다. 이 강이 바로 갠지스강으로 이곳에 사는 오백 아귀들은 물을 마시려고 하면 바로 불덩이로 변해 마실 수 없었다(그림의 오른쪽 하단). 아귀들은 부처님께 가르침을 받은 후 물을 마시고(그림의 가운데) 승천할 수 있게 됐다. 이 네 가지 과정을 대각선 방향으로 속도감 있게 그렸다. 화면에는 불덩이를 토해내는 아귀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기까지는 상대적으로 거리감을 뒀다. 하지만 가르침 후 승천까지의 공간적 거리는 짧게 둬서 부처님의 법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은연중에 암시한다.

[도판 11] 아난존자와 염구아귀,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도판 12] 시(施)아귀, 소겐지본 아귀초지 부분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마지막 6장과 7장은 『구발염구아귀다라니경』에 등장하는 아귀들이다. 화면에는 ‘염구(焔口)아귀’가 고통스러운 표정을 짓고, 입에서는 화염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 그 앞에는 한 스님이 마주 보며 앉아 있다[도판 11]. 이 그림은 아귀가 우연히 아난존자를 만나 고통을 호소하고 구제 방법을 묻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아난이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경설을 화면에서는 아귀가 무릎을 꿇고 경청하고 있는 듯 묘사했다. 마지막 7장은 아난으로부터 아라니라는 명호를 얻은 비구가 아귀를 구제하기 위해 음식을 베푸는 모습을 그렸다[도판 12]. 

가와모토본의 아귀들이 구원받지 못한 추악한 존재라면, 소겐지본은 고통을 벗어나 구원받는 아귀의 모습을 스토리텔링화했다. 아귀초지 그림의 주인공은 어디까지나 추하고 기괴한 아귀들이다. 하지만 아귀를 가벼운 필치와 담백한 색채로 묘사해 보는 이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 오히려 유머러스한 느낌을 주는 아귀들도 있다. 관람자들이 불쾌감을 느끼는 지점은 인간 세상의 배경 묘사를 통해서다. 한발 더 나아가 그림을 보면서 자신의 생활을 투영시키고 상상하면서 불쾌감으로 빠진다. 모든 육도회 그림이 그렇듯, 아귀초지 그림 역시 관람자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하게 하는 계도를 위한 그림이다.   

 

지미령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술연구교수. 일본 교토 불교대학에서 일본 불교미술사를 전공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천대, 동국대 등에 출강했다. 일본 미술을 독특한 시각으로 연구하며, 아시아의 불교미술 교류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