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삼재 그리고 부적] 인트로
상태바
[입춘, 삼재 그리고 부적] 인트로
  • 김남수
  • 승인 2023.01.26 1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존하는 부적(符籍) 중 가장 오래된 것이 “무량한 죄가 없어져 성불의 열매를 얻기”를 기도하는 불교 부적인 것에 놀란다. 1268년 조성된 용주사 탑에 삼재소멸부(三災消滅符)가 경전과 더불어 봉안됐다. 사찰에서 진행하는 입춘 맞이 삼재의식이 꽤 오래됐음을 알 수 있다.

‘부적은 주술적이고 미신적이다’라며 금기시해 온 것도 부적의 역사만큼이나 꽤 길다. 옛사람이라고 부적을 붙인다고 ‘병이 물러나고, 역귀가 물러날 것’이라고 믿었을까? 주술적이고 허황한 것이라고 비판한다고 부적은 쉬이 사라지지 않을 듯하다. ‘봄이 서다’라는 뜻의 입춘(立春)을 맞이해 부적을 고민해 본다. 

매년 2월 초, 사찰에서는 입춘기도를 한다. 예부터 ‘띠’의 변화는 입춘날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 흔히, 12동물이 불교 밖에서 전래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대장경 안에도 등장하는 ‘부적’과 ‘12동물’ 이야기 등 소소한 재미를 주는 이야기들을 만나보자.

경주시 안강읍에 있는 신라 제42대 왕인 흥덕왕의 능. 흥덕왕은 장보고에게 명해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게 했고, 당나라에서 차를 가져와 지리산에 심게 했다. 능을 둘러싼 십이지신장 호석(護石)은 물론 왕릉을 둘러싼 소나무 숲이 빼어나다. 
김유신묘의 토끼 호석

 

사진. 유동영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