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예술에서 마음 찾기
상태바
[상상붓다] 예술에서 마음 찾기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21.05.27 2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3회 광주비엔날레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예술가들이 끊임없이 되묻곤 하는 ‘빅퀘스천’이 있다. 바로 “예술이란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한 대답은 그 물음을 묻는 사람들의 수만큼이나 다양하다. 누군가에게 예술은 자연을 모방하고 재현하기 위한 수단이고, 누군가에게는 의미 있는 형식이며, 또 누군가에게는 제도에 의해 규정되는 사물의 존재 양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필자 역시 몇 가지 답안지를 가지고 있다. 그중 하나는 “예술은 사물에 깃든 마음이다”라는 정의이다. 의외로 ‘마음’이라는 단어는 예술에 대해 말하고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리 인기 있는 단어는 아니다. 마음을 전면에 내세우는 순간 다소 유치해 보이거나 감성에만 호소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글로 명료하게 표현하거나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마음은 그래서 주류 미술사에서 다소 배제됐다. 그런 의미에서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이라는 타이틀을 내 걸은 이번 광주비엔날레는 아주 의미심장하다.

 

사진. 광주비엔날레 재단

 

옛 국군광주병원에 전시된 임민욱 작가의 <채의진과 천 개의 지팡이>

마음이 깃든 사물

국군광주병원은 1964년 광주 도심에 개원했다. 2007년 함평으로 이전한 이후 지금까지 도심 속 폐허처럼 남아 있는 병원 건물은 1980년 5월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사에 연행되어 고문을 당한 학생과 시민이 치료를 받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12명의 광주 지역작가들이 <볼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사이>라는 제목으로 5·18민주화운동을 둘러싼 치유와 회복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었다. 임민욱(1968~) 작가는 <채의진과 천 개의 지팡이>라는 제목의 작품을 선보였다. 고(故) 채의진은 문경 석달리 민간인 집단 학살 사건 당시 할머니와 어머니, 형, 형수, 누나 등 9명의 가족을 한꺼번에 잃었고, 이후 한국전쟁 전후 자행된 민간인 집단 학살의 진실을 드러내는 데 한평생을 바친 인물이다. 그는 나무를 깎아 지팡이를 만들곤 했는데, 그 수가 무려 천 개에 달한다. 형의 시신에 깔렸다가 가까스로 살아남은 그가 겪어야만 했던 통한은 천 개의 지팡이에 그대로 깃들었고, 비슷한 상처가 서려 있는 장소에서 수술대 위 환자들처럼 놓였다. 다 썩고 뼈만 남은 시신처럼 말라비틀어진 지팡이들 앞에서 그의 마음을 느끼지 못할 사람이 있을까. 사물에 깃든 마음이야말로 사물을 예술로 탈바꿈하는 무엇임을 절감하는 순간이었다.

마이크 넬슨 | 거울의 울림(장소의 맹점, 다른 이를 위한 표식) | 2018
제12회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 설치 전경
이 작품은 2018년 제12회 광주비엔날레 때 제작 및 설치한 작품으로, 
국군병원 및 인근 건물들이 재건축됨에 따라 곧 해체될 예정이다.

마음을 치유하는 예술

한편, 옛 국군병원 근처에 자리한 교회 건물에는 마이크 넬슨(Mike Nelson, 1967~)의 <거울의 울림(장소의 맹점, 다른 이들을 위한 표식)>이 설치되어 있었다. 국군병원에 있던 거울들을 떼어 와 예배당에 재배치해 설치한 작업이다. 군인의 두발규정에 관한 스티커가 붙어 있는 거울, 한쪽 귀퉁이가 깨져버린 거울, 문짝에서 떼어온 듯 보이는 거울 등 수십 개의 낡은 거울들이 천정에 거꾸로 매달려 있었다. 병원이 운영되던 약 40년간 수많은 환자와 의료진이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았을 거울들. 작가는 “거울 속에 압축된 은밀한 역사를 정화”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거울들을 원래의 자리로부터 제거해 예배당으로 옮겨왔다. 국군병원 내부 한 복도를 데이지꽃 밭으로 수놓은 문선희(1978~) 작가의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 역시 치유의 바람을 담은 작품이다. 꽃밭 근처에서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서 국민학교에 다니고 있었던 사람들을 인터뷰한 내용이 현재 광주에 사는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목소리로 녹음되어 흘러나오고 있었다. 독재를 비판하는 날 선 말도 민주주의를 외치는 숭고한 목소리도 아니었다. 많이 아팠고 아주 무서웠다는 지극히 개인적이며 일상적인 아이들의 이야기가 심장에 날아와 꽂혔다. 꽃잎과 줄기, 뿌리까지 모두 치료용으로 사용된다는 데이지꽃들은 39일간의 전시 동안 아이들의 상처를 어루만졌다. 전시가 진행되는 내내 혹여나 꽃이 시들까 봐 작품 곁을 정성스럽게 지키고 있던 작가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그의 예술에서 ‘마음’을 찾을 수 있었다고, 참 고맙다고, 전하고 왔다.

옛 국군광주병원에 전시된 문선희 작가의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_목소리> (2021)

떠오르는 마음

광주비엔날레의 본전시가 이루어지는 비엔날레관은 마치 거대한 굿판처럼 꾸며져 있었다. 무속신앙이 담긴 옛 그림들, 진도 지역의 전통 장례인 ‘다시래기’를 재해석한 김상돈(1973~) 작가의 <행렬> 등 그동안 소위 “글로벌”한 예술에서 배제되어 온 지역적이고 비주류적인 작품들이 잔치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에서 ‘마음’이 슬며시 떠오르고 있었다. 신당을 찾아가고 법당에 절을 올리는 그 마음들이야말로 사물을 예술 되게 하는 가장 큰 이유임을, 예술이라는 두 글자에 갇혀 가장 예쁘고 정성스러운 그 마음들을 놓치지 말기를 당부하는 듯했다.  

김상돈 작가의 <행렬> (2021) 전시 모습.

 

이달의 볼 만한 전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전시장이 휴관했거나 예약제로 운영 중일 수 있습니다. 방문 전 꼭 확인하세요.

황주리 개인전 <그대 안의 붓다>
노화랑 | 서울
2021.05.19~2021.06.08 | 02)732-3558
www.rhogallery.com

‘그대 안의 붓다’라는 제목으로 십 년째 세상 모든 사물 위에 붓다를 그려 넣는 작업을 해온 황주리 작가의 개인전. 캄보디아 앙코르국립박물관의 천 개 불상이 그 동네 농부들의 얼굴이듯, 그가 그린 붓다들은 이웃의 얼굴이자 작가의 자화상이다. 평범한 일상에서 붓다를 찾는 여정에 동참해 보자.

 

김혜련 개인전 <예술과 암호-고인돌의 그림들>
슈페리어갤러리 | 서울
2021.04.29~2021.06.11 | 02)2192-3366
blog.naver.com/gallery3366

수만 년 전 구석기인이 그린 동굴 벽화는 예술일까? 김혜련 작가는 고인돌이라 불리는 거석에서 우리 문화의 원형을, 예술의 기원을 탐색한다. 골판지를 나이프로 긁어내 내부의 층위를 드러내거나 먹으로 그려낸 작품들에서 그 옛날 거석을 옮기던 구석기인들의 바람과 염원이 느껴진다.

 

한경우 개인전 <Anechoic Figures>
갤러리 시몬 | 서울
2021.04.15~2021.06.19 | 02)720-3031
www.gallerysimon.com

모든 것은 마음이 짓는다는 일체유심조의 원리를 조형적으로 실험해온 한경우 작가의 개인전. 소리의 반사가 없는 공간인 무향실의 원리를 이용해 제작한 그의 신작들은 중립적인 사물에 의미를 부여하며 각자의 세상을 짓고 울고 웃으며 살아가는 우리네 삶을 반추하게 한다. 

 

마인드디자인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붓다아트페스티벌을 9년째 기획·운영 중이다. 명상플랫폼 ‘마인드그라운드’를 비롯해 전통사찰브랜딩, 디자인·상품개발, 전통미술공예품 유통플랫폼 등 다양한 통로로 마음을 건강하게 만드는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