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라 깔라마(Āḷara Kālāma)와 웃다까 라마뿟따(Uddaka Rāmaputta)의 곁을 떠난 싯다르타는 마가다국의 이곳저곳을 떠돌다가 우루벨라의 네란자라 강이 흐르는 곳에 머물며 홀로 정진한다. 선정(禪定)을 닦으며 깨달음의 성취에 가까워질 무렵, 그의 눈앞에 ‘마라 빠삐만’(Māra pāpiman, 魔王 波旬)이라는 마왕이 나타난다.
마왕과 싯다르타의 ‘공덕’ 차이
악마가 나타나 싯다르타의 깨달음을 방해한다는 설정은 붓다의 생애를 전하는 거의 모든 문헌에서 빠짐없이 등장한다. 불전문학(佛傳文學)은 ‘부처님 일대기를 아름다운 시와 글로 전해주는 경전’이기에 극적인 감성을 더하여 읽어볼 수 있겠지만, 이 악마라는 비유와 상징에 내재된 의미를 사실적으로 음미하기 위해 초기불교 경전인 『니까야(Nikāya)』와 『아함경(阿含經)』의 서술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숫타니파타』 제3 「대품(大品)」의 「정진의 경(Padhāna-sutta)」에는 악마 나무치(Namuci)가 선정을 닦고 있는 싯다르타를 찾아와 다음과 같은 말을 건네는 장면이 나온다.
“당신은 야위었고 안색이 나쁩니다. 당신은 죽음에 임박해 있습니다. 당신이 죽지 않고 살 가망은 천에 하나입니다. 존자여, 사는 것이 좋습니다. 살아야만 공덕을 성취할 것입니다. 그대가 청정한 삶을 살면서 성화(聖火)에 제물을 올린다면 많은 공덕이 쌓이지만, 당신의 노력은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애써 정진하는 길은 가기 힘들고 행하기 힘들며 성취하기도 어렵습니다.”
악마가 나타나 처음으로 건네는 말은 ‘죽음’이다. 쇠약해진 몸을 염려해주면서 곧 죽을 수도 있다는 근원적인 두려움을 끄집어내고 있는 셈이다. 깨달음을 얻지 못하더라도 살아있음이 더 중요한데, 왜 이토록 소중한 목숨을 걸고 정진하느냐는 지적이다. ‘살아야만 공덕을 성취할 수 있다’는 악마의 말은 싯다르타의 마음을 동요할 만한 힘이 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체에게 선(善)이란 ‘살아있음’이며, 악(惡)은 그 ‘살아있음이 사라져버리는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악마의 말에 싯다르타는 이렇게 반문한다.
“게으름[放逸]의 친구여, 악한 자여, 어떠한 목적으로 이 세상에 왔는가? 털끝만큼의 공덕을 이루는 것도 내게는 필요가 없다. 공덕을 필요로 하는 자, 그들에게 악마는 말해야 하리라. 내게는 믿음이 있고, 정진이 있고 내게는 또한 지혜가 있다. 이처럼 스스로 노력을 기울이는 나에게 그대는 어찌하여 삶의 보전에 관해 묻는가?”
공덕(功德, puñña)의 사전적인 뜻은 좋은 것, 즉 ‘복(福)’을 가리키지만 종교적인 의미가 부여되면 ‘선행(善行)’ 또는 ‘선업(善業) 쌓기’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수행자는 ‘청정한 생활[梵行, brahmacariya]’, 곧 평생 홀로 살면서 성관계하지 않는 규율을 지키거나, 성스러운 불을 피워 신(神)에게 제물을 올려 기도하는 방식으로 선업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 악마가 이해한 공덕이다. 이와 같은 공덕의 성취는 바라문교로 대표되는 당시 인도의 종교전통에서 추구하는 길로 보다 확실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에 비해 싯다르타는 그 누구도 성취한 적 없는 깨달음을 얻는 길, 열반을 성취하는 길을 추구하기에 완성에 도달하기 어렵다. 악마는 그 점을 강조해 싯다르타를 포기하게 만들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왜 하필 악마 나무치는 자신과는 어울리지 않는 주제인 ‘공덕’으로 질문을 던졌을까? 이때의 악마는 실제 악마가 아니라 수행자 싯다르타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두려움과 공포, 걱정과 근심, 불안과 의심 등 마음속의 동요를 비유한 것이다. 악마 나무치가 질문하고 싯다르타가 대답하는 형식을 띤 경전의 서술도 실제로는 싯다르타가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수행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게 적절하다.
세 딸의 비유와 상징
통도사, 송광사, 하동 쌍계사와 예천 용문사에 있는 팔상도(八相圖)는 모두 우리나라의 소중한 보물이다. 팔상도의 여섯 번째 그림인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은 마왕의 세 딸이 노래와 춤으로 싯다르타를 유혹하는 장면과 관능적인 유혹이 통하지 않자 추한 모습의 노파로 변해버리는 장면 등을 묘사하고 있다. 초기불교 경전에서는 이 장면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을까? 『쌍윳따니까야』는 56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경전인데 제4 쌍윳따의 제목이 바로 악마(Māra)다. 모두 25개의 짧은 경(經) 가운데 맨 끝에 있는 경의 제목이 ‘악마의 딸들(Dhītaro)’인데, 이 경은 마왕의 세 딸이 싯다르타를 탐욕의 올가미로 묶어오겠다고 부왕에게 말한 뒤 싯다르타를 찾아가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세 딸의 이름은 땅하(Taṇha), 아라띠(Arati), 라가(Rāga)라고 부르며, 각각 ‘갈애’, ‘혐오’, ‘탐욕’을 뜻한다. 남전(南傳, 팔리어로 전승된 문헌) 「마라 쌍윳따」경과 거의 같은 내용이 북전(北傳, 산스크리트로 전승된 문헌) 『잡아함경』 제1092경에 나오는데, 한역 명칭으로는 각각 ‘애욕(愛欲)’, ‘애념(愛念)’, ‘애락(愛樂)’이라 했다.
싯다르타에게 말을 걸어도 관심을 끌지 못하자 마왕의 세 딸은 차례대로 100명의 소녀, 100명의 처녀, 100명의 부인, 100명의 중년 부인, 100명의 노파 등으로 그 모습을 바꾼다. 그럼에도 유혹에 성공하지 못하자 땅하는 싯다르타에게 왜 사람들과 사귀지 않고 숲에서 선정을 닦느냐고 묻는다. 이는 『숫타니파타』에서 살펴본 악마의 질문과 닮았다.
죽음을 무릅쓰고 홀로 정진하는 것은 아무런 공덕이 없다는 마왕의 말처럼, 그의 딸 땅하도 세속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있어서 홀로 선정을 닦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한다.
혹은 자신들의 세계가 파괴될 위험을 잘 알기에 애써 이를 막고, 싯다르타를 동요하기 위해 건넨 말이기도 할 것이다. 땅하는 돈과 사귐에서 오는 즐거움을 거론하고 있으나 실은 홀로 선정을 닦는 목적을 묻고 있다. 싯다르타는 선정을 닦아 이미 그 목표를 성취하였기에 ‘마음은 평온하고 안락해 사람과의 사귐이 없어도 외롭거나 불안하지 않다’고 대답한다.
마왕의 딸 아라띠는 열심히 선정을 닦는 싯다르타가 과연 ‘감각적 쾌락에 대한 생각[欲愛, kāma-saññā]’에 붙들리지 않는 경지에 도달했는가를 묻는다. 감각적 쾌락은 다섯 가지[五根] 또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六根]으로 거센 물길처럼 밀려들어 끊임없이 쾌락에 대한 생각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상태를 조건으로 마음이 다시 지어내는 힘[行, saṅkhāra]’에 따라 증폭된 쾌락의 힘은 막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싯다르타가 대답하면서 ‘늘 잊지 않고 마음상태를 한결같이 유지함[念, sati]’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이유다. 마왕의 셋째 딸 라가는 싯다르타가 도달한 이 경지를 가리켜 ‘갈애를 끊고 집착을 벗어난 분은 많은 이를 악마에게서 빼앗아 죽음의 마왕을 넘어서게 된다’고 말하며 더 이상의 도발을 하지 않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서 나온다.
지금까지 초기불교 경전으로 살펴본 마왕의 위협과 딸들의 유혹 장면은 흔히 알려진 대로 문학적이고 예술적인 감성이 덧붙여진 형식과는 매우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테면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의 경우, 세 딸이 유혹할 때 천상의 옷을 입고 옥녀(玉女) 500여 명과 함께 거문고를 타고 노래를 부른다고 서술한다.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에서는 곱게 꾸민 어여쁜 얼굴과 부드러운 몸매, 연꽃처럼 향기로운 몸, 갖가지 향수로 감은 머리카락, 그리고 신체의 은밀한 부위에 이르기까지 요염한 자태를 표현하는 언어로 넘쳐난다. 또 『대광대장엄경(大廣大莊嚴經)』에는 32가지의 요염한 자태로 유혹한다는 서술도 있다. 이러한 서술방식의 장면들을 볼 땐 자칫 극적인 비유와 상징에만 주목하는 위험이 있다. 정작 우리가 알아야 할 중요한 내용은 최상의 깨달음을 눈앞에 둔 싯다르타가 목숨을 걸고서라도 끝까지 가고자 한 길이 무엇이었는가이다.
죽음 각오하고 깨달음을 욕망하라
세 딸의 유혹이 싯다르타를 조금도 동요하지 못하자 마왕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공격에 나선다. 『불소행찬(佛所行讚)』에서는 싯다르타와 마왕의 싸움을 마치 전쟁영화처럼 그리고 있다. 마왕은 독화살을 날리고, 갖가지 동물의 모습을 띤 그의 군사들은 제각각 칼과 창 등의 무기로 싯다르타를 공격하는 장면이 나온다. 『숫타니파타』 「정진의 경(Padhāna-sutta)」에서 싯다르타는 이 마왕의 군대를 8가지 이름으로 거론한다.
“그대의 첫 번째 군대는 욕망(kāma), 두 번째 군대는 혐오(arati)라 불리고, 그대의 세 번째 군대는 배고픔과 목마름(khuppipāsā), 네 번째 군대는 갈애(taṅhā)라 불린다. 그대의 다섯 번째 군대는 나태와 무기력(thīna-middha), 여섯 번째 군대는 두려움(bhīru)이라 불리고, 그대의 일곱 번째 군대는 의심(vicikicchā), 여덟 번째 군대는 위선과 고집(makkha-thambha)이라 불린다.”
‘배고픔과 목마름’은 수행자가 힘써 나아가는 데 장애가 된다는 측면에서 악마라고 규정한 것으로 보인다. 먹고 마시지 않으면 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먹거리 자체를 악마로 규정한 것은 아닐 것이다. 수행에 전념하는 것도 힘을 필요로 하는 일이기에 배고픔과 목마름을 자주 경험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탁발로는 충분한 음식을 언제나 구할 수 없기에 굶주림과 목마름은 수행자가 겪어야 하는 가장 원초적인 괴로움으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두려움’도 홀로 숲에서 수행에 전념하는 이가 겪을 수밖에 없는 원초적인 경험이다. 독을 지닌 벌레와 뱀에게 해를 입을지 모른다는 공포, 맹수에게 목숨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공포도 문제이지만, 날마다 찾아드는 어둠의 공포는 홀로 수행하는 이에게는 악마의 군대로 비치기에 충분하다.
‘나태와 무기력’, ‘의심’은 정신적인 배고픔이자 목마름이라고 부를 수 있다. 성숙과 향상을 목표로 하는 노력은 지금의 수준과 상태를 넘어서야 그 열매를 얻을 수 있다. 때문에 힘들고 어렵다는 생각은 나태와 무기력을 지어내기 쉽다는 점에서 장애요, 더딘 성취와 고난의 연속은 향상의 목표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장애가 되니, 이 또한 악마의 군대다.
‘욕망, 혐오, 갈애’는 ‘욕망의 군대’로 하나로 묶어 이해할 수 있다. 욕망은 팔리어로 까마(kāma)라 하는데 감각적 욕망을 뜻한다. 마왕의 딸 이름인 라가(rāga)도 욕망이지만, ‘물듦, 흥분’으로도 해석하기에 속성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혐오는 아라띠(arati)로 ‘불쾌, 불만족, 혐오’를 뜻한다. 충족되는 순간 불만과 불쾌를 불러일으키는 욕망의 한 속성을 의미하는 말로 짐작된다. 갈애인 땅하(taṅha)는 존재하고 싶은 근원적인 욕망의 속성을 의미한다. 이 셋은 각각 그 속성은 달라도 감각대상에 끌려가서 감정의 증폭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욕망의 군대’라는 같은 이름으로 묶을 수 있다.
‘욕망의 군대’가 깨달음의 장애물이라는 사실은 쉽게 동의할 수 있다. 하지만 ‘욕망을 끊어야 깨달음을 성취한다’는 이해만으로는 실천적 동력을 기대할 수 없다. 사람은 누구나 욕망하며 살 수밖에 없는 존재다. 따라서 욕망의 전면적인 부정은 곧 살아서 누릴 수 있는 기쁨과 즐거움의 소멸로 생각하기 쉽기 때문이다. 문제해결의 실마리는 마왕과 싯다르타의 문답에서 찾을 수 있다. 마왕은 ‘살아남아 복을 쌓고 누리는 것(『숫타니파타』 게송426-429)’과 ‘나라의 재물과 사람들과의 친교(『잡아함경』 제1092 「마녀경(魔女經)」)’를 추구한다. 반면 수행자 싯다르타는 죽음을 각오하더라도 홀로 정진해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이 삶의 목적(attha)이다. 살아서 이익과 쾌락을 누리는 것만으로 선(善)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이익과 쾌락을 넘어서는 삶의 의미와 가치[열반, 涅槃]’를 발견하고 또 그것을 실현하려는 욕망이야말로 고귀한 것이다.
스스로 고귀한 마음을 지닌 존재가 되는 길을 가는 것이야말로 싯다르타가 추구한 깨달음의 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녀경」에서 이익과 쾌락의 길을 권유하는 마왕에게 싯다르타는 “이미 큰 재물을 얻어 마음은 충분히 편안하고 고요하다”고 대답한다. 이와 같은 고귀함을 추구하는 길에는 이익과 쾌락에 따라 동요하는 일이 없어진다.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위선’이나 성숙과 향상의 노력 없이 자신의 관점과 시선만이 최고라고 ‘고집’하는 악마의 군대도 제압할 수 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림. 김진이
김준호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부산대 철학과 대학원에서 불교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논문으로 「초기불교 선정설의 체계에 관한 연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