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는 전 세계를 변화의 시험대로 옮겼다. 비일상의 일상화. 변화의 폭풍은 가라앉고 인류는 살아남겠지만 다른 세상에 살 것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주지하다시피 현재 종교계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현상은 탈종교화다. “신 없는 사회”로 규정되는 스칸디나비아 3국을 비롯해 유럽 국가들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에서도 어느 보수 기독교 목회자는 지금이 바로 『마지막 기독교 세대(The Last Christian Generation)』라는 책을 집필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젊은 층과 교육 수준이 높은 층에서 탈종교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불교도 법회 참석자 수가 감소하고, 출가 지망자 숫자도 급감하고 있다.
| 기복·인과응보는 설 자리 잃어
코로나19 발발 이전에도 불교 인구가 줄어들고 있었지만, 코로나19 이후 그런 변화가 더욱 가속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 변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부정적인 측면 두 가지, 긍정적인 측면 세 가지를 열거하고자 한다.
첫째, 기복 신앙이 줄어들 것 같다. 어머니가 아무리 절에 가서 절을 많이 해도 아들이나 딸이 대학에 당장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고, 병이 낫기를 아무리 기도해도 낫는다는 보장이 없다. 코로나19 앞에서 불보살에 빌어서 되는 게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절감했을 것이다. 불교계는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찰을 일시 봉쇄하는 모범을 보였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초자연적 힘이 코로나19를 방지하는 데 큰 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신도들에게 각인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둘째, 인과응보가 힘을 잃을 것 같다. 코로나19에 걸리는 사람은 전에 잘못했기 때문이고, 안 걸리는 사람은 착한 일을 했기 때문이라는 통상적 인과응보나 업보 사상이 먹혀들지 않는다. 코로나19는 착한 사람이나 악한 사람 가리지 않는다. 대면접촉이나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관념과 관계되는 것이지 윤리적 상벌과 상관없다. 이 사실을 은연 중 마음에 새기게 되지 않았을까. 좀 더 확대하면 인과응보로서 극락과 지옥도 설득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다. 티베트불교 지도자 달라이 라마도 그의 최근 책 『종교를 넘어』에서 극락과 지옥을 말하는 불교의 전통적 가르침은 이제 ‘넘어서야 할’ 대상이라고 했다.
이와 같은 기복신앙이나 인과응보 사상은 이른바 기저층 신도들의 신앙생활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불교가 기복이나 인과응보의 종교라는 인상을 준다면 새로운 세대에 크게 어필하기 힘들다.
| 불교, 어떻게 할 것인가?
코로나19는 불교를 변화의 시점으로 끌어왔다. 이번 기회에 부처님의 기본 가르침이 현대인에게도 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널리 알려, 불교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첫째, 기본 가르침인 무아(無我, anātman) 사상을 강조하는 것이다. 세계의 주요 종교에서 모두 강조하는 이 무아 사상을 가장 힘 있고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종교가 불교다. 부처님이 성불한 후 제일 먼저 설하신 것이 사성제, 팔정도와 무아 사상이다. 한국불교에서 한국 종교를 선도해서 이 무아 사상을 강조하는 것이 좋다. 영국의 유명한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Arnold J. Toynbee, 1889-1975)가 한 말이 떠오른다.
“종교라 했을 때 내가 뜻하는 것은 우주를 초월하는 영적인 존재와의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그리고 우리 의지를 그것과 조화시킴으로써, 개인과 단체에서 자기중심주의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것이 평화를 위한 유일한 열쇠라고 생각한다.”
토인비가 말하는 종교의 의미와 오늘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교 신도들의 종교 인식 사이에 얼마나 큰 괴리가 있는지 다시 한번 곱씹어봐야 할 것 같다. 우리는 자기중심적 욕심 때문에 실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없는 상태다. 어느 측면에서 종교란 욕심을 줄여 실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옮겨 가려는 노력이라 해도 좋다.
둘째,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신의 참 나를 찾는 노력을 대중화하는 것이다. 한국 조계종의 창시자 지눌(知訥) 사상에 크게 영향을 준 당나라 승려 종밀(宗密, 780~841)은 그의 저술 『원인론(原人論)』에서 종교의 교의를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그 중 ‘인천교(人天敎)’를 제일 낮게 취급했다.
‘인천교’란 죽어서 사람으로 태어나느냐 천상에 태어나느냐에 관심을 쏟는 태도를 말한다. 이런 인과응보적인 태도는 너무 율법주의적 가르침이다. 종밀이 가장 높은 단계로 분류한 ‘내 안에 불성이 있다’는 ‘일승현성교(一乘顯性敎)’의 가르침과 거리가 멀다.
셋째, 불교의 가장 자랑스러운 가르침 중 하나인 법계연기(法界緣起) 사상, 즉 우주 만물이 서로 의존한다(interrelatedness 혹은 interdependence)는 진리를 일반 신도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언어로 설파해야 한다.
상수도가 없으면 하수도 역시 없다. 하수도가 없어도 상수도는 없다. 출발이 없으면 도착도 없지만, 도착이 없으면 출발도 없다. 계곡이 깊으면 산도 높은 법이고, 산이 높으면 계속도 깊다. 음(陰)이 없으면 양(陽)도 없고, 양이 없으면 음도 없다. 이런 쌍들은 서로 배타적이나 반대가 아니라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쉬운 말로 이것이냐 저것이냐는 “냐냐주의(either/or)”가 아니라 이것도 저것도 하는 “도도주의(both/and)”이다. 거창한 용어로 하면 라틴말로 “coincidentia oppositorum(대립의 일치, harmony of the opposites)”라 한다.
| 쌀 한 톨에도 온 우주 담겨
또 다른 예를 든다. 우리가 먹는 밥이 있기 위해서 벼가 있어야 하고 벼가 크기 위해서는 땅도, 물도, 공기도, 해도 있어야 한다. 벼를 기르는 농부도 있어야 하고 농부의 부모와 조상도 있어야 한다. 그들이 사용하는 농기구가, 농기구를 만드는 대장간 사람도, 쇠붙이를 품고 있는 광산도 있어야 하고, 쇠붙이를 녹이는 불도 있어야 하고…. 끝이 없다. 그렇게 보면 쌀 한 톨 속에 온 우주가 다 들어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이다.
좀 복잡한 예 한 가지만 더 들자면, 문이 없으면 완전한 집이 성립하지 않는다. 반대로 집이 없으면 문이라는 것도 무의미하다. 문과 집은 서로 연결돼 있다. 마찬가지로 창문이 없으면 집이 없고 집이 없으면 창문도 있을 수 없다. 문과 창문도 연결되어 있고 서로를 품고 있다. 화엄에서 쓰는 말로 상입(相入, interpenetration) 상즉(相卽, mutual identification)이요, 이사무애(理事無礙) 사사무애(事事無礙)다.
이런 신비스러운 사실을 깨닫게 되면 나 혼자 잘났다고 독불장군처럼 거들먹거릴 수가 없다.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가 모두 서로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알면 이웃의 아픔이 나의 아픔이 되고, 내가 대접받기 원하는 대로 이웃을 대접하고,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하지 않는 마음이 생기고 궁극적으로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보살 정신의 실천이 가능하다.
서양의 젊은이들이 불교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복을 받거나 소원성취를 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 아니다. 위에 열거한 대로 ‘지금의 나’를 버림으로써 참 나를 찾는 것, 내면을 통해 자아실현이 가능하다는 것, 세상만사가 인드라망처럼 얽혀있다는 우주관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한국불교가 젊은이나 지성인에게 매력적인 그 무엇이 되기 위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대중화하는 일에 힘써주길 소망한다.
글. 오강남
사진. 유동영·조계사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학 종교학과 명예교수. 서울대 종교학과 학사, 석사.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종교란 무엇인가』, 『세계 종교 둘러보기』, 『불교 이웃종교로 읽다』, 『예수는 없다』,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노자』, 『장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