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내 별명은 ‘마이너스의 손’이었다. 뭐든 만지는 것마다 금으로 변하게 했던 미다스(마이더스) 왕과는 달리 내가 만지는 모든 것들은 부서지거나 고장이 났다. 탁상시계 알람을 맞추겠다고 돌리다 분침을 조정하는 다이얼이 부러졌다. 2만 원짜리 변신 로봇 왼팔은 산 지 한 시간도 안 돼 한순간에 조각났다. 그럴 때면 아버지는 “어이구, 넌 만지기만 하면 어떻게 다 부서지고 고장을 내냐”며 본드로 로봇 팔을 꼼꼼히 붙여줬다. 아버지는 내게 ‘맥가이버’였다. 부서지고 끊어져 죽어가던 물건들도 아버지 손에만 들어가면 기적처럼 척척 살아나고 재탄생됐다.
‘마이너스의 손’이었기에 당연히 뭔가를 만들고 그리는 것도 못 했다. 숙제로 붓글씨를 쓰다 결국 낙서판이 된 화선지를 본 어머니는 내 머리를 한 대 쥐어박았다. 그러면서 붓을 쥐어 잡고 나 대신 붓글씨를 써주셨다. 잘 쓰면 혼날까 봐 어린아이가 쓴 듯 일부러 삐뚤게 붓으로 써 내려간 ‘忍耐’(인내)라는 가훈이 어렴풋하게 생각난다. 두 사람은 마이너스 일쑤였던 어린 시절 내내 내게 플러스를 안겨준 존재들이었다. 그렇게 절대자처럼 나를 지켜보며 언제나 내가 못하는 많은 것들을 척척 잡아 해결해줄 것만 같았다.
“정진아. 스마트폰에 있는 카카오톡 친구 목록이 다 지워졌어. 분명 별거 안 눌렀는데….”
어느 날 아버지가 다급한 목소리로 전화를 했다. 뭐든 다 해결할 줄 알았던 자신만만했던 아버지의 손가락은 어느덧 30년이 지나 휴대전화 버튼 하나로 메신저 목록을 지우고, 저장된 음악들을 단박에 날려버릴 만큼 매 순간 떨리고 불안했다.
“아들, 엄만데 지난번에 네가 설치해준 프로그램이 안 열리고 컴퓨터 창에도 아무것도 안 떠. 왜 이래?”
일필휘지로 붓글씨를 술술 써 내려가던 엄마의 날렵했던 손가락도 잘 되던 컴퓨터를 한순간에 먹통으로 만드는 답답하고 느린 손이 됐다.
“아니, 두 분은 어떻게 손가락으로 뭘 누르고 만질 때마다 다 지워지고, 망가져요? 아휴, 답답하네, 진짜.”
떨리는 목소리로 내게 전화한 그들에게 나는 한심하다는 식으로 퉁명스럽게 말한 뒤 전화를 끊었다. 불안해하며 날 기다리던 그들의 그 걱정들은 사실 내 손이면 불과 1초 만에 해결되는 매우 쉽고 단순한 일들이었다. 나 역시 30년 전 그런 불안한 마음으로 그들을 기다렸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영화 <벤저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속 주인공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과 지능 그리고 신체까지 거꾸로 어려지는 건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 몸은 노인이 되어도 마음만큼은 다시 어린아이가 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었다.
어린아이였던 나는 복잡한 세상 속에서 수많은 고민과 걱정을 짊어진 어른이 됐다. ‘아파트 대출금은 몇 퍼센트 이율로 몇 년 동안 넣어야 유리할까?’, ‘직장 상사 비위는 어떻게 맞추고 동료, 후배들과 어떻게 지내야 하나?’, ‘우리 아들 초등학교는 어딜 보내야 좀 더 잘 클까?’ 모두 현재와 미래에 대한 깊은 걱정과 고민이었다.
반면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30년 전 그들이 가졌던 고민은 이제 더 중요하지 않은 듯 보였다. 그들에게 아파트 대출금, 직장 상사 비위는 이제 그들의 고민거리가 아니다. 가끔 두 사람은 “오늘 점심은 미역국에 계란말이 먹을래요? 아니면 국수 먹을래요?”, “이번 김치는 맛없어. 근데 열무김치는 맛있네”, “다리가 아프니까 오늘은 병원에 안 갈래”라는 고민을 말한다. 그냥 오늘, 아니면 내일을 살아가며 하게 되는 작고 사소한 고민이었다. 6살 단짝 여자아이와 놀이터에서 모래 밥으로 소꿉놀이를 하던 내 어린 시절 모습이 스쳐 지나갔다. 그들은 슈퍼마켓에서 고민 끝에 고른 사탕 하나가 달고 맛있으면 그게 좋아서 그냥 웃고, 짜장면 한 그릇에 세상을 다 가진 아이처럼 즐거워한다.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내 오래된 미래를 그려보게 된다.
불교에선 ‘동심 불심(童心 佛心)’이라는 말을 한다. 맑고 깨끗하며 천진한 어린이의 마음이 곧 부처님의 마음이라는 얘기다. 성철 스님 역시 오래전 “사람이란 나이가 들수록 때가 묻기 마련”이라며 “어른이 때 안 묻은 생활을 하기 위해선 어린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거친 세상사를 겪어내며 크고 작은 때를 묻히고 살았던 두 어른이 어느 순간 다시 어린이의 마음으로 돌아와 천진난만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지켜보며 ‘불심’이란 우리 삶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젠 그들에게 맘껏 휴대전화를 고장 내도 컴퓨터를 망가트려도 상관없다고 말한다. 어느덧 훌쩍 커버린 ‘마이너스의 손’이 30년 전 그들이 그랬던 것처럼 뒤에서 조용히 지켜보고 또 다 고쳐줄 테니 말이다.
은정진 신문기자. 2012년 한국경제신문에 입사해 중소기업부, 정치부, 증권부를 거쳐 현재 문화부에서 출판, 문학, 미술 분야를 맡아 취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