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번쩍번쩍 간다. 엊그제 돼지띠 새 달력을 걸었는데, 벌써 입춘이 지났다. 우수 넘으면 개구리 잠 깨는 삼월이다. 금년 겨울은 비도 드문 눈도 드문, 가물다. 지리산도 정초에 큰 눈 한번 내리고는 통 소식이 없다. 눈이 와도 새벽녘에 잠깐 흩날리다 마는 정도, 겨울이 이러다 말고 봄으로 직행하는가 싶다. 어릴 때는 그리도 안 가더니, 머리 희끗해지고는 세월 가는 것이 보인다. 유년에 기다가 청년에 걷다가 장년에 이르러 달려간다. 노년의 시간은 날아가려나? 금년 한 살 더 자시는 팔순 노모님 말씀.
“하루가 번쩍 가버리고, 일 년도 금방이고, 십 년도 금방이더라.”
“세월이 그렇지요?”
“칠게 잡아 놓은 대통발이 엎어지면 뚜껑이 열려 가지고 게가 쏟아져 나오지 않냐. 그것들이 살라고 뻘밭을 뻘뻘뻘뻘 빨리도 기어가잖어, 세월이 그런 거 같어”
1년이 365개의 날을 가지고 열리는데, 시작하자마자 열린 뚜껑 밖으로 도망치는 칠게처럼, 하루하루가 순식간에 어디론가 사라져버리는 것 같다는 얘기다.
‘기어 다니는 것들이 / 날아다니는 것들을 / 잡아먹으려고 하네 / 세월이 그런 것 아닐까?’라고 했던, 세월에 관하여는 황지우의 절창이 있지만, 하루하루 뻘뻘뻘뻘 사라지는 칠게도, 결국은 우리가 쫓아갈 수 없는 곳으로 아득하게 사라져버리는, 그런 느낌을 준다.
상선암 올라가는 길에 천은사 종고 스님에게 들러 차 한 잔 얻어 마셨다. 스님은 위쪽 견성암에 터 잡고 사는 천은사의 노장님.
“상선암에 젊은 수좌가 살고 있는데, 가 봐야 얻을 것도 없고, 헛걸음일 거라. 개문칠건사라고 하잖아요? 스님 사는 게 그래요. 차나 한잔 얻어 마시면 잘한 일일 거고.”
아침에 일어나 대문을 열면서 걱정해야 하는 일곱 가지의 일이 ‘개문칠건사開門七件事’다. 중국 남송시대 오자목이란 사람이 쓴 말이다. 매일 먹고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 땔감 곡식 차 기름 간장 소금 식초를 말한다. 7가지 중에 ‘차茶’가 들어간다. 그 곤궁한 삶에도 ‘차’가 있어, 나른한 오후 햇살을 받으며 꾸벅꾸벅 졸 수 있다. 토굴살이 스님의 삶이 그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얘기다.
“마조 스님이 그랬다지 않아? 그럭저럭 보낸 세월이 어언 30년인데, 이제야 겨우 간장이랑 소금 걱정은 덜게 되었다고. 칠건사 중에 겨우 두 개 걱정을 덜었다는 말, 그 말이 이미 깨달음에 이르렀구나 하고 짐작이 가게 하거든.”
천은사 가풍이 원래 그렇다고 한다. “산줄기 하나를 사이에 두고 화엄사는 교학이고, 천은사는 선학이라. 한때는 남방제일의 선찰이었으니, 태안사와 더불어 선의 뿌리가 깊지. 노고단 중턱에 상선암이 있으면 중선암 하선암도 있어야 할 것 아닌가. 지금 수도암이 중선암이고, 천은사 설선당이 본래 하선암이었다고 옛날 스님들이 그래요.” 그러면서 상선암에 가면 얻어먹을 것도 없으니, 여기서 공양이나 하고 가라 하신다.
겨울 산들이 뾰족뾰족하다. 나목의 능선은 창을 들고 늘어선 군사들의 행렬 같고, 살을 바른 생선의 등뼈 같기도 하다. 그 사이로 희끗희끗 잔설이 있는 산의 속살이 들여다보인다. 겨울 산은 멀리서 보면 무채색이지만, 가까이 가보면 노랑과 분홍, 연두와 보라 같은 여러 색들을 나무 끝에 품고 있다. 그 끝들이 모여 색을 이룬다. 봄에 펼 색색의 잎들, 봄으로 날아갈 화살촉 같이 생겼다. 구름 한 점 없고, 높은 곳의 하늘은 더 푸르다.
노고단 오르는 찻길을 가다 보면, 급하게 꺾어지는 한 지점에 다리가 있다. 종석대에서 흐른 물줄기가 작은 개울을 이뤄 내려가는 길목인데, 거기가 상선암 올라가는 입구다. 30여 분 걸어가는 산길, 비탈이 급하지 않고 평탄하다. 작은 골짜기, 다리 하나 넘고, 얼음 아래로 물 흘러가는 소리 들린다. 저 위 상선암이 보인다. 절은 높은 곳에 있어 꼭 처마부터 드러난다. 스님이 마당을 왔다갔다 포행중이다.
명불허전이라, 앞은 탁 트이고, 뒤는 큰 바위 위에 노송 한그루, 물 좋고 볕 잘 들고, 기운이 양명하고, 공부하기 좋은 곳이라 하더니 과연 그러하다. 신라 때 우번조사가 창건하여 나옹화상을 거쳐 경허선사에 이르기까지 지리산의 숨은 ‘아란야’다. 여순사건 때 소실되고 다시 지었는데, 벽안의 현각스님이 한 철 수행하면서 불현듯 찾아온 빨치산들의 영혼을 위로했다는 얘기가 전하는 곳이다.
부처님 전에 절하고, 토굴에 가면 절하기 전에 시주하는 것 꼭 잊지 않아야 한다. 스님께 인사 하려했더니, 살짝 비키면서 여기 큰스님께 하라고 한다. 족자에 고불조주古佛趙州스님, 흰 눈썹 휘날리며 걸려 계시다.
일본 교토 진주암에 원본이 있는 것을 복사해 온 것이라고 한다. “장작 패다가 허리를 삐끗해서 좀 불편한데, 여기까지 오셨으니, 차 딱 두잔 하고 내려가십시오. 3년 전부터 전기가 들어와서 등 켜는데, 물 끓이는 데 씁니다.” 구층암에서 덖은 발효차, 맛이 일품이다.
뒤에 산신각, 머리 파마한 것처럼, 지붕에 천막을 씌워 놓았다고 했더니, 옛날 산사에는 다 가마터가 있어서 흙으로 기와를 직접 구워 썼다고 한다. 그런데 고지대에서는 겨울에 기와가 얼어 터져 틈이 생기고, 그 사이로 눈이 녹아 법당에 물이 새어들게 된다. 고지대 토굴 암자의 지붕이 대개 함석이나 양철로 된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한다. 기와지붕은 해방 이전에 지은 것이 많고.
“토굴 살이 하고, 대중처소 하고 어떠신가요?”
“정해진 것은 없어요. 걸망 메고 여기저기 선방 한 20년 다니다가 여기 온 지 2년 됐는데, 여럿이 살고 싶을 때는 큰 절에 살고, 혼자 공부하고 싶을 때는 토굴에 오지요. 먹고 사는 게 제일 힘든 일 같아요. 토굴에서 하루 세끼 먹으면, 하루가 금방 가버립니다.”
사시 예불 올리고 점심 하루 한 끼 공양한다고 한다. “그렇다고 일종식 고집하는 것은 아니고, 아침저녁은 고구마나 미숫가루나 그런 것으로 해결하지요. 찬은 가을에 김장 담아놓은 것 있고, 된장국 끓여 먹으면 되는 것이고.”
상선암 토굴 살이 짐작은 하였으되, 역시 땔감에 곡식에 차에 소금에, 그리고 거기에 김치와 된장 정도 건사한 수준이니, ‘7건사’ 문턱이나 간신히 넘은 셈이다. 법명은 어디에 쓸 거냐고 안 가르쳐 준다. 이름을 모르니 얼굴을 기억하려고 자세히 보게 되는데, 여느 수좌처럼 맑은 얼굴에 선한 입술이다. 차 두잔 마셨으니 얼른 내려가라고 쫓는다. 하도 쫓길래, “조주 스님 족자 그림 위에 쓰인 것은 오도송입니까? 열반게입니까?”하고 물었다. 여기에 답을 안 하면 수좌가 아니다. 스님 일어나더니 읊는다.
「날카롭고 격렬한 말투 사생결단 기세였고
舌劍唇鏘殺活機
당당하게 싸워서 겹겹의 포위망 깨부쉈지
雄雄鏖戰破重圍
지금은 온 천하가 거울처럼 맑아졌나니
如今四海清如鏡
이제야 얻은 흰 눈썹으로 석양을 바라보네
贏得霜眉對落暉」
초발심 하여 선문에 들고, 사생결단 용맹정진 하여 도를 깨친 후에, 수많은 선승들과 선문답 법거량을 당당히 이겨내고, 모든 것 평정하여 거울처럼 맑은 보림保任의 때를 지나, 아 그러고 보니, 열반이 머지않은 어느 저녁 흰 눈썹 휘날리며 석양을 바라보고 서 있구나, 그러고 서 있는 조주선사의 한 생이 그 안에 들어 있다.
떠나오는 길에 이곳저곳 둘러보니, 암자 벽을 빙 둘러 장작이 쌓여 있다. 산신각 뒤에도 장작이 한 무더기 놓여있고, 저쪽 널따란 함석 창고에도 땔나무가 가득하다. 두 해는 나무 안 해도 되겠다 싶으면서, 칼칼하고 부지런한 그 스님 땔감 걱정 하나는 덜었구나, 그런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