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연구의 효과'가 과장됐다는 연구가 나왔다
상태바
'명상연구의 효과'가 과장됐다는 연구가 나왔다
  • 유윤정
  • 승인 2018.11.27 18:29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근호서 명상연구 검증 결과 "방법론적 허점 많다" 지적

명상의 효과를 주장하는 많은 연구들이 방법론적으로 불완전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명상이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욱 자비로운 사람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들이 방법론적으로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에서 발행되는 불교매거진 트라이시클은 2018년 겨울호에 실린 뉴질랜드 매시대학교의 우테 크리플린(Ute Kreplin, PhD), 미구엘 파리아스(Miguel Farias), 인티 A. 브라질(Inti A. Brazil)이 공동논문 ‘명상의 제한된 친사회적 효과 :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The limited prosocial effects of med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을 통해 이같이 보도했다.

Ute Kreplin, PhD

우테 크리플린 등은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한 논문에서 "4,517개의 명상 관련 논문 중 연구기준을 충족시키는 22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이 전반적으로 취약한 논문이 61%에 달하며 33%의 논문만이 보통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주장했다.

메타분석이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제로 연구되어진 많은 연구물의 결과를 계량적으로 종합해 고찰하는 연구방법으로, 개별 연구결과들을 통계적으로 통합, 비교해 거시적으로 살필 수 있는 연구 방법이다.

이들은 명상이 인간의 연민, 유대감, 공감을 증가시키거나 공격성과 편견을 감소시킨다는, 명상의 친사회적 효과를 밝힌 연구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논문들이 방법론적 결함이 없는지 분석했다.

우테 크리플린 박사는 트라이시클과의 인터뷰에서 “어떤 연구라도 실제로 완벽하지는 않지만, 명상이 사회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제시하는 증거들에서 상당히 많은 결함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림=트라이시클

그는 인터뷰에서 "명상 연구에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연구 결과를 맹목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연구 분석자의 편견을 제거’하고, ‘실험 데이터의 수정을 막기 위해 연구의 데이터 분석 방법을 사전 등록’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행동 연구 시 ‘적극적 통제active control’군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명상의 이점을 주장하는 기사들이 전혀 근거 없는 내용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들의 주장은 불충분한 증거에 근거한 것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며 “예를 들어,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BSR)은 좀 더 (과학적으로) 연구됐지만, 그 분야의 모든 연구 방식이 완전히 방법론적으로 적합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일반화를 할 때는 더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리플린 박사는 "(명상연구 논문들이 방법론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기존의 명상효과를 연구한 논문에서 아무것도 배울 게 없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명상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어 연구의 한계를 분명히 밝혀야 하며, 명상의 효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신중함을 잃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크리플린 박사는 또 "명상 연구에 있어 편견이 개입되는 이유는 연구자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를 확인하고 싶은 욕심이 앞서기 때문"이라며 "부정적인 결과가 있거나, 아무것도 찾지 못했을지라도 그것을 받아들이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크리플린 박사는 이어 "어떤 사람에게 있어 명상을 하고난 후 연민이나 자비심이 더 많이 생겨났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명상말고도 다른 요인이 없는지를 검토해야 한다"며 "흔히 명상은 행복을 가져다 주는 알약처럼 판매되지만, 명상이 영적인 맥락이 제거된 채 단지 행복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접근한다면 그것이 올바른 것인지는 철학적으로 던져봐야 할 질문"이라고 강조했다.

크리플린 박사는 끝으로 "명상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문도 여러 편 있다"며 "브라운 대학의 윌러비 브리튼박사의 논문이나 러트거스 대학의 아놀드 라자러스의 연구 등이 그것인데, 이런 부분도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 Tricycle 'Bad Science?' - https://tricycle.org/magazine/bad-science/

논문 직접 보기
- ‘명상의 제한된 친사회적 효과 :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The limited prosocial effects of med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0299-z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조주 2018-11-30 01:38:51
참으로 창피합니다. 좌선 명상 호흡법이 불교인 것처럼 가르치는 스님들이 많습니다. 이 땅에 선불교의 목적(목표)를 아는 자가 10명도 안된다고 외치는 노스님도 계십니다. 불교의 목표는 생노병사에서 해탈하는 것입니다. 생노병사 해탈은 자기 자성을 깨쳐야 가능합니다.(견성성불) 자성=8식 아뢰야식=진여문=중도=여래장 입니다.
좌선 명상의 무용론을 어째서 서양인들이 연구합니까? 이 땅에 스님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십니까?
http://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489

조주 2018-11-30 01:02:08
불교는 고요함, 집중력,스트레스 해소를 추구하는 종교가 아닙니다.
無와 有 / 生과 死가 어떻게 같은 것인지, 어떻게 똑같이 초월할 수 있는 것인지 철저하게 이해하고
自性을 깨치는 것입니다. 모든 종류의 좌선 명상은 유위법입니다. 모든 종류의 유위법은 불교가 아닙니다.
고요함(알파파 중독)이 그렇게 좋다면, 힌두교나 도교로 가시기 바랍니다.

조주 2018-11-30 01:01:23
좌선 명상은 불교 특히, 선불교가 아닙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선불교에는 좌선 명상이 없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부터 그 이후 무수한 조사 선지식들 중에 좌선 명상으로 깨친자는 단 한 명도 없습니다.
오히려 선지식들은 좌선 명상을 철저하게 배격했습니다.
왜? 좌선 명상의 출처(원류)가 인도의 힌두교와 중국의 도교라서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도 모든 절집에서 행하는 동안거 하안거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일종의 종교행위일 뿐.
좌선 명상식 간화선 참구는 한국 불교의 최대 헛짓거리. 선불교 선어록을 조사하면 전부 밝혀지는 진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