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에 찾아온 불교 바람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의 변화가 조금씩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십여 년 간 이어진 하향 곡선이 아닙니다. 종교인구가 줄어들고, 불자 수가 감소한다는 이야기가 여기저기 들리고 있는 때입니다. 청년층의 종교 회피는 더욱 두드러진 모습입니다. 이제 종교의 시대가 저물었다고 수군거렸습니다. 그런데 봄소식이 들려옵니다. 각 대학 불교학생회에 신입회원들이 적지 않게 들어왔다고 합니다. 많은 곳은 20여 명이 넘게 불교학생회 문을 두드렸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사라진 불교학생회를 다시 재건하는 소식도 들려왔습니다. 한두 곳이 아닙니다. 이 봄꽃 같은 일들이 지방 곳곳에서 날아왔습니다. 2018년 봄날, 한국대학생불자들의 새로운 변화를 만나봤습니다. 01 고려대 서강대 불교연합법회 |
우리는 빛을 찾는 나,
젊은 구도자다
텅 빈 동아리 방에는 뽀얗게 내려앉은 먼지와 햇살만 가득 차있었다. 3일 전 학교에서 부실을 갓 배정 받아 아직은 빈방이었다. 이 작은 공간을 얻기 위해 교내 요리 동아리, 발명 동아리, 불교 동아리 3곳이 경합을 벌였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사라캠퍼스, 이하 제주교대) 불교학생회 니르바나 법우들은 부실을 쓱 바라보고는 생글생글 웃으며 말했다. “이제 부처님도 모셔오고, 연등도 달고, 장판도 깔고, 동아리 방을 꾸며보려고 해요. 목탁, 죽비, 방석도 필요하네요! 저희가 진짜 예쁘다고 점찍어둔 연등도 있어요! 그거 달고 싶어요.”
| 조화롭게 활동하기 위한 어떤 고민
“저희가 올해 동아리를 새로 만들었잖아요. 법우들과 같이 답사도 다니고 싶고, 만들기도 하고 싶고, 정말 재미있게 지내고 싶어요. 그런데 제일 고민되는 건 우리는 ‘불교학생회’잖아요. 이 타이틀과 어떻게 조화롭게 활동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법우들과 즐겁게 만날 수 있을까요?”
제주교대 불교학생회 문지영(24, 대불련 제주지부장) 회장은 자리에 앉자마자 화두처럼 불교학생회를 어떻게 이끌어 가면 좋을지 아이디어를 구했다. 요즘 이들의 최대 고민은 이것이다. ‘어떻게 불교학생회를 만들어 가면 좋을까?’ 새로 만들어진 불교학생회이기에 어떤 프로그램을 진행하면 좋을지 고민이라는 것이다. 이 문장의 뉘앙스에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가 아니라 ‘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다’에 방점이 찍혀있다.
제주교대 불교학생회는 올해 3월 새롭게 다시 조직됐다. 오성 스님(보리도량 주지)을 지도법사로 모셨다. 올해 새로 만든 불교학생회지만 입회원서를 낸 회원만 34명이다. 전교생이 500여 명인 작은 대학에서는 더욱 놀라운 일이다.
이들은 신입회원을 받기 위해 다방면으로 열을 올렸다. 학생회관 앞에서 중앙지부에서 보내온 클리어 파일, 포스트잇, 볼펜 등을 나눠주며 홍보에 나섰고, 포스터와 현수막도 만들어 붙였다. 학교 학생들이 즐겨 보는 온라인 공간에 불교학생회를 알리는 글도 올렸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들이 아무리 사람을 모아오더라도 동문회 선배들이 아니었으면 불교학생회를 다시 만들기란 어려웠을 것”이라 전했다.
“집행부를 구성하고 재창립식을 하기까지 총동문회 선배님들이 계시지 않았으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제주대학교 부총장 고대만 교수가 불교학생회의 지도교수가 되어주셨고, 김진희 선생님이 간사가 되어주셨습니다. 덕분에 불교학생회가 다시 만들어지기까지 일사천리였어요.”
올해 제주교대 불교학생회가 조직된 후, 제주도 불교계에는 새바람이 불었다. 지난 3월 26일 제주대(아라캠퍼스) 불교학생회와 이들이 힘을 합쳐 대불련 제주지부의 재창립 법회를 연 것이다. 제주도내 대학생불자인구의 감소로 2009년 사라진 대불련 제주지부가 불교학생회 재조직에 힘입어 10여 년 만에 새롭게 날개를 펼쳤다는 소식이었다.
| 불교학생회 활동의 삼박자!
“절에 가면 초가 있잖아요. 4월 넷째 주 법회는 향초를 만들 거예요. 만든 향초는 법당에 기도를 올린 후 부처님오신날에 캠퍼스에서 학생들한테 나눠주자고 계획을 세웠어요. 우리 동아리도 홍보하고, 우리도 보시로 불교 정신을 실천하고, 만드는 것도 너무 기대되고요. 삼박자가 딱 맞죠?”
덧붙여 교내에 연등을 달자는 계획도 세웠다.
“학교에 등을 달면 보기에도 좋고 학교 학생들도 불교에 대해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겠죠? 거기에다 저희는 임용고시를 보니까, 그 등에다 소원지를 다는 것도 생각 중이에요. 임용고시를 보는 간절한 마음을 등에 달아 발원하면서 다 같이 함께 나누는 등이 됐으면 좋겠어요.”
이들은 이미 제주교대 1년 연간 활동계획안을 만들어 놓았다. 5월 부처님오신날 맞이 계획부터 6월에는 다도체험과 제주지부 연합법회를 준비하고, 7월에는 봉사활동을 고려하고 있다. 8월은 전국 대불련 도반들을 만나는 자리인 영부디스트 캠프에 참가할 것이다. 2학기는 답사여행 같은 이벤트와 함께 독서, 명상, 경전 공부 스터디도 꾸릴 계획이다. 문 회장은 외부의 좋은 제도도 살펴보고 어떻게 불교학생회에 어울리게 수용해볼지도 연구 중이었다.
“기독교학생회에는 멘토와 멘티 제도가 있대요. 멘토와 멘티가 함께 밥도 먹고 성경 공부도 하면서 신뢰도 더 돈독해지는 거죠. 그런 제도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불교학생회는 자기를 찾아가는 시간
대학생들은 새로 만들어진 학생회에 무엇을 기대하고 들어왔을까. 문 회장은 요즘 대학생들은 ‘자기를 찾아가는 시간’을 원한다고 운을 띄웠다.
“요즘 대학생들은 취업 압박으로 한시도 쓸데없이 보내지 않도록 계획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자기를 너무 꽉 죄죠. 그렇다 보니 여행을 많이 가는 것 같아요. 자기를 찾는 여행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자기 속박에서 벗어나 어디에도 매이지 않고 펑펑 쓰러 가는 거예요. 그래서 신나게 놀다가 돌아오면 또 허무하고, 끊임없이 다른 여행계획을 짜고요. 그래야 힘이 나니까요.”
그렇기에 이들은 이곳에서 ‘내려놓음’을 배우고 싶다고 했다. 김수지(22, 초등영어교육 17) 씨는 욕심을 내려놓고 마음의 안정을 얻고 싶었다.
“학교 과제도 그렇고 잘하고 싶은 욕심이 많다 보니까 스스로 다그치게 돼요. 잘하려는 욕심도 내려놓고, 새로운 친구를 만나 좋은 관계를 얻고 싶어요. 나를 사랑하면서 자존감도 높이고 싶고요. 대외적 모습보다는 내면적 모습을 더 가꾸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박상용(20, 초등영어교육 18) 씨는 불교학생회는 쉼터 같다고 소감했다.
“불교라 하면 자비로움 그리고 불상이 떠올라요. 조금 잘 못하고 실수해도 너그럽게 바라봐줄 거 같고 마음이 불안할 때 제 이야기를 들어줄 것 같은 이미지예요. 불교에 대해서는 솔직히 아직 잘 모르지만 불교를 배워보려고 들어왔습니다.”
이들은 “불교의 장점은 강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믿음을 강요하지 않는다. 이해되면 따르라는 것이다. 요즘 정서와도 맞는다. 문 회장은 “불교는 열려있다는 것이 장점”이라 했다.
“우리는 너무 바쁘게 사는데 자기를 관리할 줄은 모르는 것 같아요. 특히 스트레스 관리요. 불교학생회는 마음이 힘들 때 그 마음을 다스릴 힘을 줄 수 있는 동아리예요. 힘을 줄 수 있다는 건 불교학생회만이 가지고 있는 메리트죠. 같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좋은 곳 같이 다니면서 명상도 하는, 불교는 그게 큰 장점인 것 같아요.”
불교학생회에서 자신을 찾아가고 싶다는 법우들. 이제 첫해를 나는 불교학생회의 날갯짓을 지켜볼 때다. 이들의 당찬 포부는 미래에 대한 걱정이 생기지 않을 만큼 믿음직했다.
“불교학생회가 다시 만들어지기까지 많은 선배들이 힘껏 도와주셨어요. 여유를 가지고 지켜봐주세요. 당당한 청년 불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