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 거목, 한승원 작가의 자전적 산문집
상태바
한국문학의 거목, 한승원 작가의 자전적 산문집
  • 유권준
  • 승인 2018.03.14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혹독한 겨울을 지나 피어나는 새봄의 꽃 같은 산문들 <꽃을 꺾어 집으로 돌아오다>

한국문학의 거목, 한승원 작가의 자전적 산문집

22년 전, 서울에서 고향 장흥으로 내려간 작가는 바닷가에 작은 집을 짓고, ‘해산토굴’이라 이름 짓는다. 그리고 그곳에 자신을 가둔 채 오롯이 인간 성찰의 도구로써 글을 써왔다. 안과 밖, 세상과 자연의 경계에서 작가는 소박한 일상과 우주적인 사유를 오가며 겸허한 인간론을 펼쳐왔다. 이제 땅의 끝이자 바다가 시작되는 곳에 다다른 작가는 인생의 말년을 냉철하게 목도하며 지난 삶을 반추, 이별 연습을 하고 있다. 어떻게 돌아갈 것인가, 아니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이러한 그의 현재적 고뇌는 죽음마저도 삶으로써 살아내겠다는 다짐이며, 그 치열한 능동적 삶의 태도가 이 책에 담겨 있다. 부록 ‘사랑하는 아들딸에게 주는 편지’는 바로 동시대 젊은이들에게 보내는 치열한 삶으로의 권유, 바로 그것이다.

혹독한 겨울을 지나 피어나는
새봄의 꽃 같은 산문들

한국문단에서 문인들에게 존경과 찬사를 받는, ‘작가들의 스승’ 한승원. 그를 향한 존경은 등단 52년이라는 세월의 무게 때문만은 아니다. 작가로서의 치열함과 스스로를 냉혹하게 다스리며 변화하는 자기 갱신에 있다. 해마다 한 권 꼴로 장편소설 ․ 중단편집 ․ 시집 ․ 산문집을 펴내는 놀라운 생산력(生産力)은 바로 그러한 한승원 특유의 작가 정신에서 비롯된다.

2018년 새봄과 함께 찾아온 신작 산문집 《꽃을 꺾어 집으로 돌아오다》 역시 작가의 성실함과 치열함이 꼿꼿하게 살아있다. 이번 산문들은 ‘아버지의 의지와 상반되는 쪽으로 황소처럼 나아가던 아들’의 나날에서 자꾸만 ‘슬픈 눈이 되어버리는 늙은 아비’의 시간까지 작가가 통과해 온 세월을 아우르고 있다. ‘풀 베고 책 읽고 글 쓰고 명상하고……’ ‘땅끝 바닷가 토굴’의 소소한 일상을 따라가노라면 ‘이쯤해서 자신을 성찰해보라’는 작가의 은근한 권유를 받기에 이른다.

한승원 작가에게 큰 가르침을 준 문학의 스승 소설가 김동리 선생. 사진의 왼쪽에서 두 번째가 김동리 선생, 그 옆으로 한승원 작가, 전상국 작가.

“나의 호 ‘해산(海山)’은 바닷가에 있는 가시적인 산이 아니다. 짙푸른 심해 속에 암초처럼 발달한 숨어 있는 산이다. 바다 속에 내(산)가 있고, 나는 날마다 꾸준히 그 나(산)를 탐색하며 오르곤 하는 것인데, 그 등산으로 인하여 부처님의 사리 같은 각성이 나의 모래밭에 깔리고 나는 그것들을 헤아리며 삶을 엮는다.” (227쪽)

등단 52년, 어느덧 작가는 생의 말년을 지나고 있다. 문득 화장실 거울 속에 비친 ‘부스스한 반백의 늙은’ 얼굴에 놀라고, 이유 없이 몸살을 자주 앓고, ‘하느님이 나를 솎아내려고 한다’고 직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랫동안 사유와 성찰의 습(習)을 익힌 작가는 곧 ‘하느님이 솎는 대로 솎아지지 않겠다’며 ‘아직은 버팅기겠다’, ‘폴 발레리처럼 살려고 분투하겠다’고 다짐한다. ‘원래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이지만 분명하게 존재해 있는 지금 이 순간은 최선을 다해 살아내겠다는 것이다. 어쩌면 삶이란, 온전하게 살지 못하도록 이끄는 수많은 ‘유혹’과의 싸움이 아닐는지!
 

살기 위해 글을 쓰다
유혹을 이기고 버티는 힘에 관하여

작가는 22년 전 서울에서 땅의 끝, 고향 장흥으로 내려왔다. 포기하고, 버리고, 안에서 밖으로 중심에서 변방으로 벗어나겠다는 선택이었다. 덜컹거리는 심장을 달래기 위해서라고 했지만 이는 ‘글쓰기’를 방해하는 것들을 차단하기 위해 벽을 쌓고 스스로를 유폐시키겠다는 선언이었다. 돌아보면 그의 삶은 수많은 벽 쌓기였다. 가령, 친일 이력이 있는 재벌회장의 전기를 써주면 3억 원을 주겠다는 제의를 거절하거나, 유‘약하고 게으른 성격’을 극복하기 위해 아내와 자녀들에게 “이번 방학에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반드시 읽을 거야!” “올해 장편 하나와 단편 2개를 꼭 쓸 거야!” 선언하고 기필코 해낸 일 등. ‘무력한 목’에 스스로 ‘멍에’를 걸었다는 작가의 솔직한 고백은 소박한 감동으로 다가온다. 자기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치열함, 작가의 글쓰기와 삶의 동력이 여기 있다. 그에게 ‘글쓰기’는 곧 삶을 제대로 살기 위한 방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또 스스로 묻게 된다. 나는 무엇에 매달려 있고 과연 얼마나 치열하게 살고 있는지를.

“모든 공격적인 현상들을 차단해주는 것이 벽이다. 요염한 여인이 유혹했을 때 그 유혹을 뿌리치는 마음의 장치가 벽이고, 돈과 벼슬을 주겠다고 했을 때 그것을 뿌리치는 강단이 벽이다. 바람벽을 향해 좌선하는 것이 면벽참선이라고 착각하지 마라. 벽은 사실 네 마음속에도 있고 마음 밖에도 있다.” (16쪽)

“바닷가에 섬세하지도 정교하지도 못한 작가실을 짓고 ‘토굴’이라 명명한 것은 스님들처럼 수도하듯이 살겠다는 것이다. 수도하듯이 산다는 것은 나를 그 토굴 속에 가두고 바깥바람으로부터 격리시키겠다는 것이다. 가둔다는 것은 그 속에서 나를 양생한다는 것이다. 양생은 노자적인 순리의 삶을 산다는 것이다. 책 읽고, 글 쓰는 일을 하면서만 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과연 나는 글쓰기에 미쳐 사는 사람이다.” (213쪽)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무엇인가
내 콧구멍 속의 어둠 밝히기

인간의 여린 심성은 쉽게 세상 탓을 하게 만든다. 그러나 작가는 ‘내 콧구멍 속의 어둠’이 가장 무섭다고 말한다. ‘손톱만한 콧구멍 속 어둠을 타고 들어가면 광맥처럼 끝도 없이 깊고 넓다. 길을 잃고 헤매기도 하고 길 아닌 길을 따라 사방팔방 나돌기도 하는, 행복이나 불행이라는 것을 만들기도 하고 사악과 광기를 만들기도 하는 콧구멍 속의 어둠.’ 그 어둠을 깊이 읽은 유마거사는 해탈했고 추사 김정희는 명작을 남겼다. 콧구멍 속 어둠은 나를 흔들어대는 내면의 어두운 구석이다. 그 ‘어둠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다름 아닌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내고 분석하는 성찰이다. 작가의 흔들리지 않는 정신세계는 여기서 또 한 번 단련된다. 날마다 규칙적으로 정해진 만큼 글을 쓰고, 수시로 바다에 눈길을 주고, 걷고 산책 하고, 차를 마시며 마음속 어둠을 누그러뜨린다. 꾸준한 반복과 마음 다짐이다.

“차를 마시면서 생각의 가지치기를 한다. 어떤 생각은 잘라 없애고 어떤 생각은 남길까?” (190쪽)

“마음을 비우는 순간은 탐욕이 그친다〔止〕는 것이고, 텅 빈 마음이 흰색으로 되는 순간은 진리를 바라보는〔觀〕 상태이다. 마음을 하얀 색깔로 만들기 위하여 차를 마신다.” (200쪽)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스스로를 가두고 다그치는 치열한 작가의 삶은 그리스 신화의 오디세우스를 떠올리게 한다. 아름다운 노래로 선원들을 홀려 죽음에 빠트리는 바다 마녀 사이렌. 오디세우스는 선원들의 귀를 밀랍으로 막게 하고 정작 자신은 사이렌의 노래 소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 듣고 싶어 한다. 귀를 막지 않은 오디세우스는 몸을 돛대에 묶고는 바다를 지나 무사히 고향집으로 돌아온다. 삶을 방해하는 수많은 위기와 유혹을 이겨낸, ‘귀는 열고 몸을 결박한’ 오디세우스의 현명한 지혜가 오늘 장흥 바닷가의 작은 토굴에 살아있다.

사진 왼쪽부터 사위 홍용희(문학평론가), 딸 한강(소설가), 한승원 작가, 차남 한강인. 부인 임감오 여사. 장남 한동림(소설가) 씨.

“해님! 살아 있는 한 소설을 쓰고 소설을 쓰는 한 살아 있게 해주십시오. 제가 시방 아침 산책길에 해님을 향해 가면서 기도하는 것은 먼저 저의 건강을 더 풋풋하게 하려는 것이고, 건강을 풋풋하게 하려는 것은 소설을 쓰는 데 몸을 활용하려는 것입니다. 해님, 당신의 기를 넉넉하게 받음으로 말미암아, 저로 하여금, 대범하되 교만하지 않고, 섬세하되 조잡스럽지 않고 검소하되 인색하지 않고, 소탈하고 질박하되 천박하지 않도록 길러주십시오. 해님, 저의 토굴 속에 저를 가두어 저로 하여금 글의 노예가 되게 하되 당신의 깨달음과 자유자재를 향유하게 하도록 늘 풀어놓아주시고, 바다와 들판을 건너와서 제 토굴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을 간지럼 먹여 진저리치며 웃게 하는 바람을 제 속에 담아주시고, 그 바람과 놀고 당신의 황금빛살과 노는 나뭇잎과 풀잎사귀와 모든 꽃들을 부러움 없는 마음으로 축복하며 살게 하시고, 그것들이 제 속에서도 넉넉하게 피어나게 하여주십시오. 해님, 전라도 장흥 안양의 바닷가 해산토굴 속에 묻혀 사는 제가 쓰는 이 글을 늘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는 모든 사람들도 내내, 당신의 다사로운 빛살과 다이아몬드 같은 기(氣)와 지혜를 가슴 가득 품고 살게 하시고, 그들의 하는 일에 행운만 깃들게 하십시오.” (137쪽)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