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불교와 미니멀리즘 |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덧없음을 느낀 사람들은 불필요한 것을 덜고 삶을 소중한 것으로만 채우길 원했습니다. 미니멀리즘minimalism.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문화적 흐름이 떠올랐습니다. 2,600여 년 전, 부처님께서는 무엇을 가지고 살아가셨을까요. 부처님께서는 어떤 말씀을 하셨을까요. 월간 「불광」 9월호에서는 미니멀리즘을 재조명했습니다. 복잡한 일상을 가지치기하며 덜어내는 삶에 주목했습니다. 단순해질수록 명료해지고, 명료해질수록 삶의 행복에 가까워지는 방법들을 만났습니다. 필요한 만큼만 가지는 삶. 과하지 않는 마음. 간소하게 사는 이들. 미니멀리즘입니다. 01 불교 미니멀리스트는 어떻게 살았는가 유윤정 |
적게 먹고, 아껴 쓰고, 낭비 않는 소박한 삶
장수임(49) 씨는 가벼운 복장에 커피가 담긴 텀블러를 들고 있었다. 개인 컵의 사용은 소박한 삶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부처님의 제자로 살며 불필요한 것들을 줄이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삶.’ 나 자신부터 실천하자고 매일 서원하는 그를 만났다.
| “마음을 살피며 소박하게 살겠습니다”
포털 사이트 이미지 검색에서 미니멀리즘의 결과는 몇 없는 가구와 넓은 공간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이미지 속에는 한 명 혹은 두 명의 사람이 있고, 빛이 잘 드는 창이 나있다. 미니멀리스트가 그런 환경에만 살아야 한다면 장수임 씨는 미니멀리스트가 아니다. 그의 집에는 빛 잘 드는 창이 나 있긴 하지만, 몇 가지 가구가 있고 무엇보다 세 명의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
그는 필요 없는 것은 사용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줄이는 삶을 살고 있다. 누구보다 소박한 습관이 배어있다. 음식은 간단히 먹는다. 전기밥솥을 사용하지 않고, 밥을 지어 한 공기씩 냉동 보관한다. 설거지가 필요 없을 정도로 깨끗이 먹는다. 사찰에서 발우공양을 하는 것처럼 마지막 밥그릇은 물로 헹궈먹는다.
집 안에서뿐만 아니라 집 밖을 나서도 개인수저를 사용하며, 항상 개인 컵을 사용한다. 휴지를 사용하기보다 손수건을 여러 장 준비해 필요에 맞게 사용한다. 부엌에서 기름 닦는 용도로 쓰는 키친타월도 떨어진 옷이나 수건, 남는 천으로 대신한다. 그에게 미니멀이란 사용하는 물건과 부산물로 나오는 쓰레기까지 모두 줄이는 것이다.
“미니멀리스트라고 하니 이상합니다. 저는 부처님께서 사신 생활모습을 조금씩 따라 하는 거예요. 그분께서 가진 것 없이 다 가진 삶의 모습이 멋졌어요. 스님의 말씀을 통해서, 경전을 통해서, 불교 교육을 통해서 배운 부처님의 모습을 실천하려 노력합니다. 또 환경에도 관심이 있어 이것저것 공부하다 보니 부처님처럼 살면 우리 주변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더라고요.”
그는 매일 부처님께 기도를 올리며 자신을 돌아본다. 직접 가계부를 작성하며 ‘필요 없는 것들을 사지는 않았는가?’ 반성한다. 또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더 줄어든 삶을 살 수 있을지?’ 매일 고민한다.
“보통 친구들이나 사람들을 만나면 하는 이야기들의 주제가 대부분 가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 집은 얼마나 크다.’ ‘우리 남편은 어디 직장을 다니고, 직급은 뭐고, 얼마를 번다.’ ‘백화점에서 명품백을 샀다.’ ‘노후를 위해 무엇을 준비했다.’ 등의 이야기죠. 저도 예전에는 이런 이야기에 관심을 가졌고, 부족한 삶에 허덕이며 살았습니다. 정토회에 다니고, 불교공부를 하면서 ‘더 좋은 것들로 더 많이 가져야겠다.’는 생각에서 벗어났어요. ‘조금 부족하면 뭐 어때.’라는 생각이 들고 나서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도 그만큼 줄었습니다. 남편이 정년퇴임을 하더라도 지금처럼 살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생겼고, 항상 기쁜 마음으로 생활하고 있어요.”
장수임 씨는 매일 부처님께 “마음을 살피며 소박하게 살겠습니다.”라고 기도문을 올린다. ‘미니멀’하게 사는 그에게 가장 큰 변화는 단연 그의 마음이었다. 마음에 여유가 생기면서 항상 고민이던 노후의 삶과 아이들의 교육관도 변했다. 나이가 들어도 소박하게 산다면 경제적으로 문제가 없었다. 또 어리게만 생각했던 아이들은 그가 아는 것보다 성숙했다.
“제가 적게 먹고, 아껴 쓰고, 낭비하지 않으면서 절약하는 만큼 남을 도와줄 수 있게 되었어요. 금전적으로 남는 여윳돈은 보시를 하고, 집 안에 불필요한 것들은 나눔을 합니다. 제 것은 계속 줄어드는 데 행복은 계속 늘어나요. 아마도 이게 부처님 가르침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