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세상을 바꾼 현대 불교 철인들 : 암베드카르
상태바
[특집] 세상을 바꾼 현대 불교 철인들 : 암베드카르
  • 이명권
  • 승인 2017.06.15 1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도의 불가촉천민을 해방시키다

세상을 바꾼 현대의 불교 철인들

이번 호 특집은 근・현대 세계불교 역사 속에서 붓다를 따르는 수많은 수행자들 중 세상을 바꾸는 데 사상적으로 기여하거나, 혹은 직접 뛰어들었던 인물을 집중 조명해 봅니다. 각 인물이 겪고 만들어갔던 역사의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야기 구조로 풀어 가면 ‘세상을 바꾼’ 사건들이 입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대’에 초점을 둔 것은 우리 시대와 함께 살면서 인물을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어 정보의 양이 풍부하고 대중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불교 철인’은 불교가 지향한 가치와 철학을 중심에 두고 현실을 변화시킨 불교인을 말합니다. 이 세 가지를 겹쳐서 세상을 바꾼 현대의 불교 철인을 찾아봅니다. 

01    서구에 선불교를 전달하다 스즈키 다이세츠(1870-1966)  / 원영상
02    중국・대만 현대불교의 주춧돌 태허 대사(1889-1947)  / 조환기
03    인도의 불가촉천민을 해방시킨 암베드카르(1891-1956) / 김명권
04    위빠사나 대중화의 시작 마하시 사야도(1904-1982)  / 김재성
05    참여불교의 제창자 틱낫한 스님(1926-)  / 유윤정
06    현대 불교의 위대한 스승 제14대 달라이 라마(1935-) / 김성동

 

| 불가촉천민 해방가

암베드카르

영국에 셰익스피어가 있다면 인도에는 간디가 있다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도에는 간디보다 어쩌면 더 치열하게 동시대를 살아갔던 암베드카르(Dr. Babasaheb Ambedkar, 1891-1956)가 있다. 그는 또한 미국의 흑인 해방가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29-1968)에 비교될 만한 인물이다. 그는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 출신이었다. 이는 글자 그대로 접촉만 해도 오염되거나 더럽다고 여겨져서 따로 살거나, 수돗물도 같이 먹을 수 없을 만큼 사회적으로 천대를 받는 계층이다. 이런 환경에서 자라난 암베드카르는 불굴의 의지와 후원자의 도움으로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영국에서 변호사와 박사학위를 추가로 취득하는 학문적 성취를 이루어 네루(J. Nehru) 내각의 초대 법무부 장관이 된다. 그 후, 불가촉천민 해방자가 되기까지 실로 엄청남 인생 역정의 파노라마를 펼치게 된다. 이 점에 대해 네루 수상도 암베드카르에게 다음과 같은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암베드카르 박사는 힌두 사회의 모든 억압에 항거한 혁명의 상징적 인물이다.” 암베드카르가 남긴 업적은 크게 사회 정치적 측면에서의 불가촉천민 해방자이자, 현대 인도 불교의 중흥가였다. 암베드카르의 인도 불교 중흥의 운동은 그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그의 학문적 여정과 정치가로서의 활동을 빼놓고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 카스트 제도의 철폐와 힌두교 포기 선언

암베드카르는 『카스트 제도의 철폐』(1936)라는 소책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카스트 제도는 단순한 노동의 분업이 아니라, 노동자를 상하 계층별로 차별화하는 제도다. 전생의 업業에 의한 숙명을 바탕으로 하는 이 제도는 인간의 기본적인 도덕성마저 파괴하고 있다.” 이러한 카스트 제도의 병폐를 없애기 위해 그는 카스트 제도를 근원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마누법전』과 같은 경전을 배척하고,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이 경전을 공공 장소에서 불태운다.

“전 세계의 인권의 빛에 비교해볼 때, 『마누법전』은 그 어떤 존경도 받을 자격이 없으며, 거룩한 책이라고 불릴 가치도 없다. 따라서 종교의 이름으로 가장하여 사회적 불평등 체제를 구체화시키는 『마누법전』을 저항의 표시로서 불태우고자 한다.”

암베드카르가 인도인들에게 신성시되던 『마누법전』을 불태운 것은 엄청난 용기의 소산이다. 그것은 그 자신의 표현대로, “힌두 요새에 대한 공격”이었기 때문이다. 암베드카르는 『마누법전』을 불태운 후, 당시에 불가촉천민들에게는 금지되었던 사원寺院 진입 운동을 시도했지만, 의회와 간디의 지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좌절되었다. 그 이후 5년에 걸쳐서 수천 명의 불가촉천민들이 사원 진입 운동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좌절됨으로써, 1935년에 암베드카르는 힌두교를 포기하고 개종을 결심한 유명한 ‘욜라Yeola 선언’을 하게 된다.

그는 1935년 욜라에서 1만 명이 넘는 군중 앞에서 말했다. “불행하게도 나는 힌두 불가촉천민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나는 힌두교인으로는 죽지 않을 것이다.” 그가 욜라 선언을 한 이후 불교로 개종하기까지는 약 20년간의 간격이 있으나, 그것은 힌두교를 포기하고 기독교와 이슬람을 포함한 다양한 종교 전통에 대한 일종의 긴 탐색기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가 생각하기에 이슬람은 사회 개혁이 미진했고,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은 영국 정부의 간섭이 염려되었다. 그 결과 인도의 토착 종교인 불교를 선택하게 되었고, 특히 불교의 평등사상이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였다.

 

| 인도 불교 부흥운동의 아버지

인도 불교는 7세기경에 이슬람의 나란다 불교사원 침공을 계기로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당나라의 현장 법사와 신라의 혜초 스님도 다녀왔던 나란다 불교사원에 이슬람이 침공하여 승려들의 목을 벰으로써 인도 불교는 소멸의 길로 가기 시작했고, 승려들이 흩어지면서 불교는 동남아로 전래되기 시작했다. 그 이후 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인도 불교는 힌두교라는 거대한 종교 시스템에 흡수되면서 보드가야 지방을 제외하고는 거의 명맥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암베드카르 박사가 등장하여 1956년 10월 14일에 무려 5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을 불교로 개종시키는 세계 종교사에 길이 남을 큰 역사를 이루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는 이 개종 사건이 있은 후 8주 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그가 끼친 불교개종운동의 의의는 너무도 지대한 것이었다. 1961년 조사에 의하면, 당시 18만 명의 불교 인구에서 17배에 달하는 325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카스트 사회 속에서 불가촉천민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번영 그리고 불교의 부흥이라는 전혀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는 어떠한 사상을 가지고 불교를 부흥시키고 인도의 신-불교(Neo-Buddhism)를 창시하게 되었는가?

 

| 암베드카르의 불교 사상

암베드카르가 1908년 대학 입학 당시 읽었던 『붓다』는 그에게 일생 동안 큰 감명을 준 책이었다. 그러나 그의 불교관이 확실하게 자리 잡게 된 것은 힌두교 포기와 불교개종을 알리는 ‘욜라 선언’이후부터였다. 그의 불교사상은 오직 불가촉천민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해방이라는 측면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다. 암베드카르의 불교사상은 1950년에 발표된 「마하보디」지에 실린 「붓다와 그의 종교의 미래」라는 작은 논문과 그의 필생의 저서라고도 할 수 있는 『Buddha and Dharma』(1957)이라는 책에 잘 나타나 있다.

암베드카르의 서거 1년 이후에 발간된 『Buddha and Dharma』이라는 책에서 그는 전통적인 불교의 가르침을 재해석하고 있다. 인류 사회의 진보에 따라 시대적으로 불교의 가르침은 재해석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체 8부로 구성된 이 책은 붓다의 생애와 인품과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분석적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죽음 이후의 세상보다는 현세적 깨우침과 실천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그가 해석하는 붓다의 출가 이유는 로히니 강물을 둘러싼 사캬 족과 콜리아 족 사이의 전쟁이 출가의 주된 원인이라고 해석한다. 전쟁에 대한 혐오와 평화를 추구한 것이 출가의 원인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하고 있다.

특히 암베드카르의 불교 사상이 잘 나타나고 있는 부분은 붓다의 가르침이 ‘자유와 평등’에 기초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그리하여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붓다는 ‘비폭력’만을 말한 것이 아니라, 종교의 일부로서 사회적 자유, 지성적 자유, 경제적 자유, 정치적 자유를 가르쳤다. 그리고 그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등뿐만 아니라 남자와 여자 사이의 평등을 가르쳤다.”

암베드카르의 불교 사상을 요약하자면, 한마디로 사회적 가르침으로서의 종교다. 그것은 합리적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복지 개념으로 붓다의 가르침을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 또 이렇게 말하고 있다.

“붓다가 합리적이고 논리적이 않다면, 그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합리적이고 논리적이고 평등한 것이라면 어떤 것도 붓다의 말이 될 수 있다. 또한 붓다는 인간의 복지에 유익한 것이 아니라면 어떤 탁상공론도 개입하지 않았다.”

이처럼 암베드카르는 불교 사상을 논리적 합리성과 인간의 복지라는 두 측면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붓다의 핵심적인 가르침인 담마(佛法)에 대해서는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데, 붓다의 법 자체로서의 ‘담마Dhamma’와 붓다의 법이 아닌 ‘비-담마Adhamma’ 그리고 실천적 정법正法으로서의 ‘삳담마Saddhamma’다. 여기서 ‘담마’는 신구의身口意의 정화를 위한 탐진치貪瞋癡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열반의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욕망을 포기하고, 모든 것이 무상함을 믿으며, 업의 법칙이 도덕적 질서의 수단임을 믿는 것과 관련이 있다. ‘비-담마’는 힌두 전통의 브라흐만이나 베다의 ‘담마’를 신봉하는 것을 뜻한다. ‘삳담마’는 정법으로서 세상을 의롭게 만드는 일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붓다의 삼학三學, 즉 계(Śīla), 혜(Prajn˜ā), 정(Samādhi)을 암베드카르는 계戒, 혜慧, 자비(慈悲, Matrī-Karu˜ā)로 바꾸어 ‘선정禪定’보다는 실천적 ‘자비’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암베드카르의 불교 사상은 이처럼 그가 종교를 도덕적 원리와 ‘영향력’으로 파악한다는 점과 깊이 연관이 있는 것이다.

| 암베드카르의 유산과 한계

암베드카르의 업적과 유산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불가촉천민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현대 인도 불교의 창시와 부흥이다. 카스트 제도의 철폐 운동을 비롯해 불가촉천민들이 평등한 시민으로서 살아갈 권리를 획득하도록 정치적, 교육적, 종교적인 다방면에 걸쳐서 영웅적인 노력을 시도했던 것이다. 하지만 영웅시대가 사라져 가고, 민주주의가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확산되어 가는 오늘날, 암베드카르는 인도의 마지막 영웅인지도 모른다. 그것도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가 아닌, 그 어떤 차별도 계급도 없는 ‘자유와 평등과 자비’를 기치로 내세우는 불교의 가르침을 따라, 불가촉천민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가난하고 천시받던 인물이 사회의 귀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훌륭한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박사학위를 위해 2002년에 인도 현지에서 조사했던 바에 의하면, 그의 생전에 혹은 사후에 그의 이름을 따서 혹은 그를 기념하여 생긴 대학만 해도 6개가 넘는다. 그가 제정한 헌법에 기초하여 국회의원을 포함하여 전국 관공서에 이미 불가촉천민 출신들이 일정한 비례로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암베드카르의 불가촉천민 해방운동의 결과로, 그의 사후 60년이 지나고 있는 오늘, 불가촉천민 출신의 인도 총리 ‘모디’가 전 국민의 80%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도는 힌두교라는 강력한 전통 종교와 문화적 영향 속에 있기 때문에 암베드카르가 제창한 신-불교 운동은 불가촉천민 해방운동이라는 커다란 성과는 가져왔을지라도, 불교 중흥과 확장이라는 문제에 있어서는 어쩔 수 없는 한계의 벽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명권

연세대 신학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 석사를 마친 후, 서강대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마쳤다. 학위 논문으로 「암베드카르와 현대 인도 불교」(2003)가 있다. 그 후 중국 길림대학교에서 노자 전공으로 중국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 신학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 석가를 만나다』, 『예수, 노자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우파니샤드』, 『베다』,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외 다수가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