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한용운 선생의 사상
상태바
[특집] 한용운 선생의 사상
  • 최범술
  • 승인 2009.04.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한용운사상의 원천

   한용운 선생이 이끄셨던 만당(卍黨)의 일원이었으며 한용운 선생의 제자이신 최범술 선생을 제헌회관으로 찾아 뵈었다. 여러 가지 자세한 말씀이 많으셨으나 사상에 대한 부분만 요약해 싣는다. 
                                                                                                               <문책기자> 

   한용운 선생은 사상과 생활이 일치되는 점에서 아주 철저하신 분이었다. 세숫물을 아끼는 것이라든가 신발을 벗어놓는 것 하나까지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 추호도 없으셨다. 옛 조사(祖師) 스님들의 가르침을 완전히 체득한 듯이 보였다. 이런 점이 한용운 선생 사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머리로만 생각한 이론적인 사상과는 차원을 달리한다는 점을 먼저 알아야 할 것이다.

   한용운 선생의 사상을 알려면「님」이라는 말을 앎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님」이라는 말이 결국은 한용운 선생의 사상을 대표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내 생각에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말하는「대승」이란 얘기가「님」에 대한 사상의 근원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말하는「대승」은 대승과 소승 할 때의 대승과는 다르다. 대승기신론에서 얘기하는「대승」이란 현대말로 하면「근본원리」라고 해야 할 지 모르겠다. 대승기신론에서도 말하고 있지만 이름 붙이기 어려우니까 이것을 굳이「대승」이라고 한 것인데 한용운 선생은 그 자리를「님」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그 자리는 불교에서 말하는 구원실상(久遠實相)의 본각(本覺) 자리 또는 자성(自性)을 의미한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한용운 선생은「내가 사람이다」라는 것을 확실히 체득한 분이라 하겠다. 내가 사람이니까 사람의 노릇을 해야겠다는 의식이 투철했던 것 같다. 이것을 요새말로「민족혼」이라 하던지「국가의식」이라 하던지 여하튼 그것을「님」이라고 표현하신 것이다. 내가 사람이라는 자리에 서면 각행(覺行)도 하고 각타(覺他)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성을 완전히 체득한 자리로서 여래의식(如來意識)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용운 선생의 이러한 정신은 그를 대자유인으로서 생활하게 하였으니 3 ∙ 1운동 후 재판을 받던 때의 통쾌한 자세도 바로 그것이다. 재판을 받으면서도「내 물건을 내가 찾으려 하고 우리나라 주권을 우리가 찾으려 하는데, 그것을 가져간 사람이 나쁘지 찾으려는 사람이 왜 나쁠까 보냐?」고 하셨는데 이것은 아주 쉽고 제일 가까운 소리지만 실지론 어려운 말이다. 그리하여 그 누구보다도 당당하게 독립운동의 자세를 가지셨던 것이다.

   한용운 선생은 일본 사람이던지 법률이던지 일체 세간의 속박에 얽매이지 않았던 자유인이었다. 사실은 한용운을 묶을 어떠한 속박도 없었고 또 속박에서 벗어날 한용운도 없었다. 묶일 것도 얽매일 것도 없는 대자유인이었다.

   이러한 한용운 선생의 사상은「님」이 가리키는 사람의 자리에서 사람의 노릇을 함으로써 오늘의 역사에 다시 비쳐질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