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오늘날에 와서 禪은 너무나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전문가나 집단이 행하는 전유물(?)이 아니라 사회의 구석구석 또는 문화창조의 여러 현장에서 실제로 응용되고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詩), 화(畵), 서(書), 질병치료, 각종의 운동경기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일반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도 실제로 응용하고 있다.
禪의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는 생활화라는 면에서 볼 때 너무나도 당연하고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 생각할 때는 禪의 속화(俗化)로서 禪 본래의 취의를 저바려 자칫 오도될 염려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禪은 본래 고대 인도의 Yoga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Yoga란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갈등 문제를 종교적인 차원에서 해결 하려는 한 수행방법이었다.
즉, 인간이 갈구하는 이상세계(예: 覺)를 육체가 가지고 있는 제한조건(예:八苦)으로부터의 해탈을 위한 수행방법으로서 정신통일을 위한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수행법이 부처님의 출생과 六년간의 고행수도를 거쳐 禪(팔리어 : jhа|na, 범어 : dhyana)으로 발전하였다.
즉 Yoga는 정신통일에만 목적이 있었지만, 禪은 그러한 정신통일을 거쳐, 오도(悟道)하려는 높은 차원의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부처님의 覺을 통하여 선정법(禪定法)이 완성되었고, 그 수행법은 불교의 최고 목표인 대각(大覺)을 위한 기본법으로 되었다.
이러한 선정법은 달마대사가 중국에 와서 면벽구년(面壁九年)이라고 하는 시범을 거쳐 선정법 또는 선사상의 일대변혁의 가져 왔다.
다시 말하면 달마대사가 중국에 왔을 당시(AD,五二O년 또는 五二七년 양무제시) 중국의 불교는 불경의 번역, 절을 짓는 것, 불상을 조성하는 것, 복을 비는 것 등 관념적, 기복적 또는 문자에 얽매여 있는 불교관에 대하여, 각(覺), 해탈(解脫)을 위한 수행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함으로써, 중국 불교의 일대 혁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不立文字 見性成佛」의 실천 수행법을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Ⅱ
처음 제자들에게 선정(禪定)의 자세인 결가부좌(結跏趺坐) 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를 실시하니 육체적으로 많은 장애가 뒤따랐다. 즉 호흡이나 혈액순환 근육의 마비, 눈의 정기가 저하되는 것 등 육체적인 부작용이 심하였다. 이에 달마대사는「역근경(易筋經)」과 「세수경(洗髓經)」을 만들어 아침과 저녁으로 입정(入定) 전, 출정(出定) 후, 반복하여 실시하니 날로 선정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한다.
「易筋經」을 간략히 소개하면 전편(全篇)이 二四단으로 되어 있는 데 전 一二단은 입정전에 서서 손, 발, 허리, 무릎, 목, 눈 등을 적당히 움직여서 결가부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작들을 신체도와 동작을 설명하고 있고, 후 一二단은 출정후 결과부좌를 풀면서 역시 손, 발, 허리, 무릎, 목, 눈 등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때 호흡에 대하여 대단히 중요하게 설명하여 단전(丹田)을 중심으로 힘을 주고 빼고 호흡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세수경(洗髓經)에서는 이론적인 해설로서 第一編에 無始鍾氣를 第二編에 四大假合을 第三編에 凡聖同歸를 第四編에 物我一致를 第五編에 行住立坐를 第六編에 洗髓還原을 설명하고 있다. 내용은 주로 인체의 구성원리와 理와 氣를 연마하는 이론적인 원리를 주로 담고 있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한 易筋經의 수행은 주로 달마대사가 주석했던 숭산(崇山), 소림사(小林寺中國河南省登桂縣)에서 많은 제자들에게 익혔고 그러한 동작들은 선정을 닦는데 많은 도움을 준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겠다.
즉, 선정을 수행함에는 육체를 잘 다스려야(調身法)하고, 육체를 잘 다스릴 때 소중히 해야 할 것은 호흡을 잘 조절(調息法)하여야 하는 데, 이 두가지 조절은 마음을 잘 조절(調心法) 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세가지 조절법은 易筋經과 洗髓經속에 설명되어 있는 데, 선정을 닦는 데 모두 필요불가결한 것들이다.
이 동작들은 변화증익(變化增益)하여 많은 방법이 속출하였고 중국무술의 모체가 되었다. 중국무술의 본 고장이 소림사라 함은 각종 문헌을 통하여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에 중국무술소림권(少林拳)의 중흥조(中興祖)라 일컫는 각원선사(覺遠禪師)(明, 一吳二二 — 一五六六間人)의 유명한 계율십계(戒律十戒) 일부를 소개해 본다.
이 계율십계는 소림권이 중국의 선종사원은 물론 승속(僧俗)간에 널리 퍼져 자칫하면 군법(拳法)의 본래 취의를 잃거나, 남용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만들어 발표한 것이라 한다.
즉 ① 마땅히 禪의 깊은 진리를 체(體)로 삼고 자비의 마음을 잃지 말라, 비록 기술의 정묘(精妙)를 얻었다. 해도 온화한 빛이 없다면 실격이다. 기예(技藝)는 선수행의 신체단련과 자위를 위해서만써라, 협기를 내어 함부로 승부에 뛰어들어서는 안된다. 승부를 다툼은 소림의 규칙에 반대되는 것이다.
② 행각할 때 속세의 사람을 만나면 인내와 구세의 마음을 가져라. 경솔하게 무기(武技)를 보여서는 안 된다.
③ 속가의 제자들에게 함부로 기술을 가르치지 말라. 선의 본지(本旨)를 깊이 알고 그 사람의 성품이 청순하여 난폭함이 없는 자에게 소림권의 비법을 전하라. 불음주와 불사음계를 일생동안 굳게 지키는 자에게 전하라....
이 소림법은 오직 자신의 수행과 중생제도에 써야한다.
달마대사가 창시한 이 비법의 오의(奧義)를 올바로 체득하고 익히게 하기 위하여 여기 십계를 선포한다.
이 외에도 홍온선사(洪溫禪師), 추월선사(秋月禪師)(少林五券創始者), 마사룡선사(馬士龍禪師), 일관선사(一貫禪師) 등 많은 선사들이 대를 이으며 소림권을 계승발전하면서 비전(秘傳)해 온 것이 소림권의 특징이다. 송나라 말기에 소림사 문중 장삼식(長三式)은 소림권을 변혁하여 소위 무당권(武當拳)을 창시하였으며 그 무당권은 다시 태극권(太極拳), 팔괘권(八卦拳), 형의권(形意拳)의 삼파를 형성하였고, 이 삼파에서 다시 一○○여流의 권법으로 갈라졌다.
이렇게 볼 때 중국무술은 소림권을 모체로 하여 무당권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전자를 외가권(外家拳)이라하고, 후자를 내가권(內家拳)이라고 부른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중국무술인 권법의 특징은 선(禪)수행의 보조역이었던 신체 조절법이 권법의 특징으로 발전하였고, 선사에서 선사로 사찰에서 사찰로 비전해 온 것이 틀림이 없다.
이에 대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그와 유사한 수박(手搏), 백수무술(白手武術), 변권법卞(拳法), 탁견(托肩) 등으로 불리는 권법이 있었다. 이러한 권법은 우리나라 불교가 중국으로부터 들어옴으로 해서 특히 유학승려들의 교류로 인하여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한다.
특히 삼국중 신라말기에도 많은 승려들이 당나라에 유학하여 五년에서 二○여년까지 중국의 선을 익혀와 구산선문을 개장하였다. 유학당시의 중국불교는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선수행과 소림권법이 성행하던 때이므로 우리나라 스님들도 선과 소림권을 같이 수학했음은 자명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五祖一四年(一七九O年) 왕명에 의하여 이덕무(李德懋)가 만든 『무예도 보편지(武藝圖譜遍志)』중의 권법편이 明朝(萬曆一二年:一五八四)시대 威繼光이 만든 「기효신서(紀效新書)」중의 권법편과 너무나 흡사한 점, 一九五五년 四월 이전에는 당수도(唐手道)라 부른점, 석굴암의 금강역사상이 권법의 금강막기 형인데, 사찰의 중요한 위치에 조각되어 있는점,
임진란(一九五二) 당시 서산대사가 의승군(義僧軍) 一,五○○명을, 사명대사가 八○○을, 영규대사가 六○○명을, 憎처영(處英)이 一,○○○여 명 등 약 五,○○○여명의 의승군이 침략왜군을 무찔러 승전한 점 등을 생각해 보면 중국의 소림권과 우리나라의 권법과 선(禪)불교와는 깊은 관계를 맺고 있음이 틀림이 없다고 생각한다.
Ⅲ
따라서 태권도 종주국으로서 세계를 향하여 날로 발전하는 우리 한국의 태권도계는 스포츠 일변도로만 나갈 것이 아니라 태권도의 역사성과 사상 및 선불교의 배경을 연구해야 할 것이며, 불교계도 선(禪)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해서라도 태권도 본래의 취의(趣意)를 수용(受容)하면서 정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