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좌선작법坐禪作法 : 좌선의 자세와 호흡법
상태바
[특집] 좌선작법坐禪作法 : 좌선의 자세와 호흡법
  • 관리자
  • 승인 2008.0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선의 자세와 호흡법

① 坐禪儀의 重要性

   오늘날 참선은 대개 앉아서 하는 좌선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러므로 앉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을 제하고는 좌선의 법식은 좌선학도가 불가불 배워야할 기본과정이다. 좌선법식을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혹자는 선을 형해화(形骸化) 한다고 비난한다. 그렇지만 일반적기준으로 좌선법식은 꼭 필요한 것이다. 이를 등한히하면 기초 건축없이 고층건물을 세우는 거와 같다. 고층건물 일수록 그 기초는 땅속 깊이 굳게 자리잡아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불교에서 참선은 그 핵심을 이룬다. 따라서 제방에서 왕성히 선이 행해지고 또한 선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 높다. 그런데도 선의 사상적 측면은 고창되어도 좌선의 법식에 대하여는 사뭇 등한해 보인다. 실지 제방선원에서 좌선이라하면 우선 화두(話頭)로부터 시작한다. 건축으로 비유하면 지상 건축부터 시작하는 셈이다. 그러니 불가불 기초가 허약할 수 밖에 없고, 허약한 기초에는 공부 도중에 많은 장난(障難)이 일어난다. 그 이유는 좌선의(坐禪儀)의 기초과정을 등한히 한데 유인한다. 그러므로 참선을 하고자 하는자는 모름지기 좌선의에서 힘을 얻는데서부터 출발하라고 권하는 바이다. 좌선을 뜻하는 자는 많아도 중도에 퇴실하거나 병을 얻거나 좌선에 자미를 잃게 되거나 또는 좌선에 힘을 얻은 자가 적은 것은 그 원인의 一半이 여기에 있다고 보는 바이다.

 

   ② 坐禪儀의 由來

 선은 댜아나(Dhyana)의 음역인 선나(禪那)를 줄인 말이다. 한문으로 번역하여 정려(靜慮)라고 한다. 선에 대하여는 여러 경의 말씀이 많다. 그 중에 원각경에는 「먼저 수문으로 들어가 닦아 가면 마음 속에 일어나는 생각생각 모두가 밝게 들어나리니 공부를 행주좌와(行住坐臥) 사위의(四威儀) 중에 두루하게 하여 점차 나아가면 마침내 백천세계중의 비 한방울까지도 눈 앞에 보듯이 된다」하여 선의 최초의 방법으로써 수식관을 하되 이 수식관은 사위의 중에 확충할 것을 말씀하고 있다.

 조사들은 선에 있어 마음 자세를 강조한다. 혜능(慧能)조사는 법보단경(法寶檀經)에서 「밖으로 일체 선악 경계에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좌(坐)라 하고, 안으로 자성(自性)을 보아 동하지 않는 것이 선(禪)이라」하였고 몽산(蒙山)조사도 좌선문(坐禪文)에서 같은 말을 강조하고 있다. 「참선하는 자는 모름지기 지선(至善)에 사무쳐 마땅히 성성(惺惺)하여야 하니, 모든 생각을 끊되 혼침(昏沈)에 처(處)하되 욕심이 없고 번뇌에 처하되 번뇌에서 벗어남이 선(禪)이며, 밖으로 흔들어도 동하지 아니하고 안으로 고요하며 흔들리지 않는 것이 좌(坐)며 빛을 돌이켜 반조(返照)하여 법의 근원을 사무친 것이 선…」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선은 반드시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일상생활 사위의 중에 언제나 선이 있는 것이 다.

 이런 까닭에 중국에 달마조사가 온 이후에도 좌선에 이렇다 할 규칙이 정해지지 않고 내려왔다. 좌선법이 의범화(儀範化)되기는 백장(百丈)선사가 총림(叢林)제도를 확립한 이후의 일이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자각(慈覺)선사의 좌선의(坐禪儀)를 규범으로 하여 좌선을 하고 있다. 이 좌선의는 간략한 글이기는 하나 참선 방식의 골격이 고루 갖추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자각선사의 좌선의를 풀이해 가면서 좌선 방식의 요점을 말하고자 한다. 자각선사 좌선의에는 좌선의 호흡법에 대하여는 자세하지가 않다. 그러나 좌선에 있어 호흡법은 중요한 것이므로 약간의 부연을 시도하고저 한다.

 

   ③ 坐禪의 基本方式

   자각선사 좌선의를 분석하면 참선의 기본 법식으로서 열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서원(誓願)이고, 둘째는 사연(捨緣)이고, 셋째는 조식(調食)이며, 넷째는 조면(調眠), 다섯째는 택처(擇處), 여섯째는 조신(調身), 일곱째는 조기(調氣), 여덟째는 조심(調心), 아홉째는 변마(辯魔)이다.

   <1>서원(誓願) - 도를 배우려는 대장부는 무엇보다 그 뜻이 커야 한다. 불보살의 서원을 자기 서원으로 삼아 수행하고 생활하는 것이 보살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하는 자는 먼저 일체중생을 맹세코 제도하겠다는 대비심(大悲心)과 대서원(大誓願)을 일으켜야 하니, 만약 자기 일신만의 해탈을 생각한다면 이는 보살일 수 없고 따라서 바른 도는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2> 사연(捨緣) - 좌선하는데는 마음에서 모든 생각과 인연을 다 놓아 버려야 한다. 마음 속에 세간잡사(雜事)나 세간적 욕망이나 무엇이던 구하는 생각이나 그 밖에 잡념(雜念)을 가지고 있고서는 그 마음에 밝은 달이 드러날 수 없는 것이다. 마땅히 마음에서 만사를 다 놓아야 한다. 그리고 심신을 한결같이 하여 四위의 중에 항상 끊임이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이 마음터를 닦아야 가히 참선에 들어 갈수 있다.

   <3> 조식(調食) - 음식을 조정할 일이다. 힘을 낸다고 과식해서는 안된다. 수면을 줄이고 마음을 맑힌다고 음식을 너무 줄여도 안된다. 선은 망념을 격파 하여야 한다고 음식을 함부로 먹고 육단심(肉斷心)을 내러고 하여도 안된다. 수도인의 식기를 응량기(應量器)라 하듯이 자기 양에 맞추어서 적당히 먹어야 한다. 자기가 먹고 싶은 양에서 七分만을 먹는 것이 적량(適量)이다. 좋다고 많이 먹어서는 안된다. 거칠다고 덜 먹어서도 안된다. 음식은 이것이 몸을 부지해 가는 약이다. 이 약은 도업(道業)을 이루기 위하여 먹는 것이다. 감사한 마음으로 소중히 대하여야 한다. 오래 씹어 천천히 먹어야 한다. 먹으면서 잡념을 해서도 안된다. 생식(生食)을 하거나 담식(淡食)을 하는것도 권할 바가 못 된다. 비시식(非時食)은 하지 말아야 한다. 단식은 병을 고치기 위한 이유외는 마땅하지 않다. 참선에서 그 양(量)을 알아서 먹는다고 한 것은, 수행하는 정신 자세와 환경을 꾸며 가는데 중요하는 것이므로 등한히 해서는 안된다. 일즙(一汁), 일체(一菜)가 선가의 식사지만 이 식사에 무성의하면 안된다. 식사를 등한히 하면 필경 마음이 고르지 아니하여 공부가 한결같지 못하게 된다.

   <4> 조면(調眠) - 잠을 고르게 자야 한다. 수면을 즐기는 자는 도에 들 수 없다. 그렇다고 수면을 너무 절제하여도 공부에 지장이 된다. 너무 자지도 말고 덜 자지도 말아야 한다. 대개 선에 처음 드는 사람들이 잠을 줄인다고 애쓰는 것을 본다. 가상한 일이나 그 방법을 알아야 한다. 우선 일정한 시간을 자는 것이다. 그리고 좌선의(坐禪儀)에 따라 정성스러이 공부해야 한다. 특히 좌선의 호흡법은 중요하다. 좌선의에 따라 좌선을 계속하면 저절로 수면 시간이 단축되는 법이다. 되도록 일찍자고 일찍 일어날 일이다. 저녁 참선을 오래하고 늦게 일어날 생각하면 안된다. 저녁 공부시간을 줄이더라도 아침 공부시간을 지키는 것이 좋다. 혹 피곤하다고 저녁 공부를 궐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피곤할수록 정성드려 좌선하여야 한다. 피곤한 밤의 三○분 참 선은 다음날의 심신을 가볍게 하고 二시간의 수면을 절약시켜 준다. 수면은 망념에서 온다. 결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수행에 따라 점점 그 시간이 줄어 든다. 수면시간을 지키려고 하지 말고 오히려 좌선을 성실히 하면 저절로 수면에 끄달리지 아니하고 힘찬 정진을 할 수 있다. 대개 선원에서는 년중 한 두차례 수면을 전폐하는 용맹정진 기간을 갖는다. 그런때에 평소부터 좌선 자세를 엄격히 한 사람이라면 一주일간의 용맹정진은 무난히 넘어 갈 수 있게 된다. 수면시간이라는 것이 절대적인 것이 아닌것을 기억할 일이다. 선객중에서 눕지 아니하고 마냥 앉아 있는 용맹지사를 흔히 본다. 그리고 좌선중에 조는 것도 흔히 본다. 졸으면 좌선이 아니다. 졸면서도 좌선하고저 하는 정신은 장하나 그 것은 좌면이다. 그러므로 장자불와(長坐不臥)한다 하여 좌면하는 것을 권할 수는 없다. 공부는 오뚜기처럼 진실하여야 한다. 잘만큼 자고, 잤거든 오뚜기처럼 일어나 공부를 잡두리하는 이것이 구도자의 자세인 것이다.

   <5> 택처(擇處) - 장소를 가려야 한다. 자각선사는 한적하고 고요한 곳을 말하였다. 고래로 참선은 깊은 산중이나 세간을 떠난 한적한 곳이나 세속과 경계를 달리한 사찰을 적당한 곳으로 일러왔다.

 처음 참선공부하는 사람에게는 소란스런 환경이 좋지않다. 되도록 조용한 곳이 좋다. 그러나 조금만 좌선에 힘써본 체험있는 사람이면 무리하여 고요한 곳을 찾을것이 없는 것을 알게 된다. 중요한 것은 간절한 발심과 착실한 좌선기초의 수업이다. 스스로 좌선의가 바로 서고 뜻이 간절하면 웬만한 장소면 다 상관이 없게 된다. 좌선에는 사찰의 선방이 제일 좋다. 모든 환경이 제도적으로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록 깊은 산중 절이나 선원이 아니더라도 좌선 하는데는 서로 환경을 만들어 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주변에서 큰 소리나 작은 소리를 없이 하여야 한다. 좌선중 부질없이 출입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좌선자 이외는 출입을 삼가게 한다. 비록 일정한 시간만이라도 이렇게 고요한 환경을 가질수 있다면 좌선 장소는 어느 곳이라도 좋다. 그래서 선원에 들어서면 언제나 적정한 분위기에 젖게 된다. 처음 참선하는 사람은 소수인이 모이는 곳보다 되도록 많은 선중(禪衆)이 법다이 수행하는 곳을 택하여 가는 곳이 바람직하다. 일당에 여러 대중이 엄숙하게 공부하는데 참여하면 부지부식간에 많은 힘을 얻게 되고 장난없이 공부를 몸에 익힐수 있다. 설사 약간의 힘을 얻었다 하더라도 될수 있는 한 회중(會衆)에 머물기를 권한다. 토굴이나 기개인의 선원보다는 회중에서 얻는 것이 참으로 많다. 무엇보다 선지식 회하에 있다는 것이 어떠한 훌륭한 환경보다 낳은 것이다. 참선한다고 처소를 찾아 헤매는 사람을 흔히 보지만 처소는 처처에 있는 것이다. 산수경치나 산세지리를 관심에 두고 공부처를 찾는 자는 진정한 공부인이라 할 수 없다.

   <6> 조신(調身) - 몸을 바르게 고르어야 한다. 좌선할 때에는 우선 두꺼운 방석을 준비하고 허리띠를 늦추어 몸과 호흡을 자유스럽도록 한다. 그다음에 방석위에 가부좌(跏趺坐)를 한다. 가부좌는 먼저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 겹친다. 그리고 왼쪽 발을 오른쪽 무릎위에 포개는 것이다. 이것이 가부좌이고 또한 반가부좌도 무방하다. 반가부좌는 다만 왼발을 바른쪽 발위에 놓는 것이다. 그다음에 손은 바른 손을 왼 발 위에 놓고 왼 손을 바른 손바닥 위에 겹치며 양쪽 엄지손가락 끝을 서로 맞대고 둥글게 맞댄다. 이것이 대삼마야인(大三摩耶印) 또는 법계정인(法界定印)이다. 그 다음에 몸을 서서히 바로 일으키며 허리를 반듯이 편다. 이때에 몸을 전후 좌우로 三· 四회 흔들어 몸을 자연스럽고 단정하게 한다.

 몸이 기울어지면 안된다. 앞으로 굽거나 뒤로 잦혀도 안된다. 어깨에 힘을 주어도 안된다. 턱은 당기고 눈은 반쯤떠서 귀와 어깨가 서로 대하고 코와 가슴이 서로 대하도록 반듯이 한다. 혀는 입천장에 대고 입은 가볍게 다문다. 이것이 좌선하는 몸 자세다.

 가부좌나 반가부좌 일때 익숙할 때까지는 다리가 쉬 아프다. 그럴때는 너무 참지 말고 다리를 바꾸어가며 앉도록 한다. 혹 다리가 저릴 때가 있다. 이런 때는 몸을 좌우로 약간 흔들으면 가벼워진다. 또한 허리에 너무 힘을 주었을때는 잠시 힘을 늦춘다. 공부가 순숙하여지면 어느덧 몸이 있는 줄을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니 혹 다리나 허리가 어깨나 아파 오더라도 이것은 잠시 있다가 지나가는 것으로 알면 된다.

 대삼마야인은 등한히 하기 쉬운데 마음을 안정시켜 정신을 집중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니 소중이 하여야 한다. 손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인을 맺어야 한다.

 참선 초학자는 눈을 감기 쉽다. 그러나 반드시 떠야 한다. 옛 조사는 눈감고 좌선 하는 자를 흑산귀굴(黑山鬼窟)이라 하였다. 눈을 감으면 마음이 고요하고 정신집중이 되는듯 하지마는 어느덧 혼침에 떨어지기 쉽다. 특히 오후나 새벽 좌선시에 눈을 감는다는 것은 잠을 청하는 거와 같다. 그러므로 좌선중 수면에 시달릴때는 눈을 크게 뜨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심하게 수마(睡魔)가 밀어닥쳐오거든 어금니를 굳게 물고 두 눈일 부릅뜨며 심호흡을 깊고 느리게 십여차레 반복한다. 그리고 들이신 호흡을 한참동안 단전 부위에 가두고 견디다가 아주 천천히 토해낸가. 이렇게 하면 대개 졸음은 사라진다. 좌선중에 결코 졸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앉아서 졸음이 쫓아지지 않거든 일어서서 온 몸에 힘껏 힘을 주고 나서 앞서와 같이 호흡하여 보라. 사라지지 않는 잠은 없을 것이다.

 좌선은 수시 포행과 겸행하는 것이 좋다. 오늘날의 우리 한국 선원에서는 五분 좌선하고 五분 내지 一○분간 선방내를 포행하는 것이 관례이지만 포행시간은 좀더 늘려도 좋다. 포행할 때는 금강권을 하고 두 손을 드리우고 서서히 걸음을 옮긴다. 이때도 앉았을 때와 같이 호흡을 한다. 걸을때 발끝과 온 몸에 힘을 반복해 주면서 서서히 걷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때에 좌우를 쳐다보지 말아야 한다. 오직 뚫어지게 앞만 보고 앉을 때와 같은 자세로 걷는 것이다. 포행은 바로 행선이다. 앉았을 때와 같은 마음이 허트러지지 않아야한다. 포행은 피로가 풀리고 맑은 정신이 돌며 몸에 활기를 준다. 따라서 용맹정진 때나 야간 좌선시는 더욱 활기있게 포행할 필요가 있다. (금강권은 엄지손가락으로 무명지의 아랫마디를 누르고 주먹을 쥔것.) <다음호에 계속>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