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보현신앙
상태바
한국의 보현신앙
  • 관리자
  • 승인 2007.12.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보현보살의 신앙

  보현행원 신앙은 비록 서민적이지는 못하지만 승려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전개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불교사에 가장 혁혁한 자리를 남겨 준 원효스님만 해도 그가 오직 대중과 신라사회를 위하여 무애(無碍)의 행으로 대중 속에 들어가 불법을 폈다는 것은 이 행원사상에 의하여서였다. 원효만큼 그행이 적극적이었고 완벽한 이도 없었는데 이 원효의 행이 보현행원의 사상에 의하였다면 우리나라의 보현행원 사상은 원효 한 분만으로도 충분한 자취를 보여준 것이다.

  원효 스님이 천촌만락(千村萬落)을 돌아다니며 노래도 하고 춤도 추며 주사(酒肆)와 요석궁까지도 드나들며 만행을 감행한 것도 그가 분황사에서 화엄경의 十회향품까지 해석하고 난 뒤인 것이다.

  원효 스님은 백부논주(百部論主)라 말한 만치 백부의 경론에 통달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화엄경을 소의경전으로 한 것은 이 화엄경의 보현행원 사상에 크게 감명받았기 때문이며 그의 행각도 이 보현행원 사샹에 입각하여 무애도를 실천하고 거리 속에 뛰어든 것이다. 그가 화엄경의 주소를 지을 때 34품 중 제 21품에 해당하는 十회향품에 이르렀을 때 더 이상 주소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 붓을 던진 뒤 대중 속에 들어간 것은 이 十회향품이 34품 중 가장 보현도와 보현원을 구족히 설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르러 원효는 흔연히 절필하고 나선 것이다.

  그후 원효의 행각은 너무도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러한 원효의 출중한 행각이 이 보현행원사상에 있었다는 것을 알면 이 보현행원 사상의 힘과 중요성을 가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효에게서 혁혁한 자취를 남긴 보현행원 사상이 그후 신라에서도 많이 나타나지만 고려 초의 균여대사에 이르러서 더욱 절정을 이루고 있다. 균여대사는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이르는 화엄의 대가이지만 더욱 보현 사상에 이르러서는 일반 대중에게까지 깊이 스며줄 수 있을 정도의 강한 것이다. 그것은 균여가 화엄에 대한 대저술을 남겼을 뿐 아니라 화엄종가로서의 보현행원가를 끼어 일반 대중에게 널리 고취시켰다는 데 있다. 보현행원은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에 의하여 보리심을 발하고 53선지식을 역방하는데 최후의 보현보살에게서 불타의 불가설의 공덕을 듣고 十대의 행원을 들은 것으로 행원은 중생을 제도하려는 동체대비인 화엄사상의 최고의 목표인 것이다. 균여가 이 十종행원을 근간해서 보현행원가를 지어 모든 사람이 부르며 외우도록 했다는 것은 결국 보현사상의 실제 실현을 위하여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균여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스스로 보현행원가 十一수를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의학으로 사뇌가에 능했으며 그의 추한 모습과는 달리 예술적 재지가 뛰어났다. 그리하여 이 보현행원가도 성현의 묘취에는 합하지 못했으나 제불의 마음에 부합되기를 바란다고 겸양하면서 친히 서문을 쓰고 일반 대중이 알기 쉽게 속문으로 지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천부적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그의 인격과 겸하여 천부적인 예술성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고려의 모든 사람이 이 노래를 부르지 않는 이가 없었다는 것은 그의 다음의 신비적인 예들과 함께 노래는 사람들의 입을 거쳐 책장에도 담벽에도 여기 저기 써 있었다는 기록 등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균여의 전기에 보면 여러가지 신비스러운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데 가령 영통사의 백운방이 퇴락하여 이를 중수했는데 지신의 책동으로 인해 재변이 일어나 균여가 노래한 수를 지어 붙이니 곧 사라졌다는 것이나, 사평군의 나필급간(那必及干)은 고질병에 걸려 三년이나 약을 써도 효험이 없었는데 대사가 이르 보고 불쌍이 여겨 이 원왕가를 가르쳐 항상 부지런히 외우게 하였는데 어느날 공중에서 너는 대성 가요의 힘을 입어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 또한 대성대왕의 백왕후 대목이 옥문에 창병이 생겨 균여의 스승 순공에 기 등게 부탁해 치료케 하였는데 도리어 그 병이 순고에게 옮겨져 고생하고 있는 것을 보고 균여가 가력(歌力)으로 그 병을 다시 괴수(槐樹)에게 옮겨 결국 그 괴수가 고목이 되게 하였다는 이야기등 신비스러운 일화 등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보아도 균여의 이 보현행원가가 얼마나 힘을 나타냈는 가를 알 수 있다. 더욱 이 노래는 오직 일반 대중들을 위하여 그들이 알기 쉽게 이두문의 방언으로 기록했는데 이 내용이 너무도 좋아 최행귀(崔行歸)가 이러한 좋은 행원가가 이웃 송나라 사람들도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를 한시체로 번역한 것을 송조에서 보고 이것은 반드시 진불이 아니면 지을 수 없는 것이라 하여 송조에서 예사까지 보낸 사실들을 보아도 그 노래의 가치와 평가가 어떠했던 가를 알 수 있다.

  참으로 균여의 보현행원가는 강한 힘을 가지고 대중 속에 들어 갔으며 균여는 이러한 보현행원에 대한 원력으로 다른 모든 화엄론서에 대한 주석서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 방언으로 썼던 것이다.

  결국 이 노래는 당시 사뇌가로써 불리었는데 이 사뇌가는 가사가 깨끗하고 구가 아름다우며 그 뜻이 높고 깊다고 최행귀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보현행원가는 예경제불등 보현의 十대원과 결혼으로 발원하는 총결무지가를 문학적으로 승화시켜 중생의 마음에 속속들게 했던 것이다. 그것은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는 또한 너무 깊지도 않고 얕지도 않는 중생의 적당한 마음에서 우러나온 대원이었다. 이것은 균여의 마음이 곧 보현의 마음이요 이보현의 마음이 곧 중생의 마음, 즉 대중의 마음인 경지에서 오래된 격조있는 노래라 아니 할 수 없다. 끝 마지막 十수의 총결무진가 하나만 들어 보아도

     중생계가 다한다면

    나의 보현행원도 다할 날이 있으리라.

    중생을 일깨우게 함이

     가 없는 원해니

     이같이 지향하고 정진하여

     뜻한데로 일체 공덕 닦으리라.

     아 보현행원이

     저 부처님의 하신 일이 었으니

     이 보현의 마음 알아서

     다른 일 버리고 이 일만 하리라.

로 실은 간절하고 원내하며 이러한 보현행원 사상이 우리 불교의 중심 원행 사상이 되어 그후 줄곧 우리 불교를 장식해 온 것이다. 운허스님이 펴낸 불교 사전에 보면 우리나라에 보현사가 24개 나와 있고 보현암이 11개 암자로 나와 여기에 깃든 설화까지 쓰면 아이 없으며 이것만 보아도 우리 불교가 위와 같은 전통을 똑똑히 이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많은 사암명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을 우리 불교사에 보현행원 사상이 그만치 뿌리 박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현내에 있어서는 광덕사가 특히 이 보현행원의 원력을 갖고 이 행원 사상에 입각하여 몸을 돌보지 않고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전통에 비추어 극히 다행스러운 일이며 또한 이 자리를 빌어 경의로 표해 마지 않는바다.

     *佛性인 대생명이 개성화 한 것이 인간이다. 거룩하게 살자. <佛光銘句>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