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67건)

서구에 부는 불교 붐유럽과 미국의 불교 붐이 심상치 않다. 2008년 미국불교협회(Buddhist Association of America)가 조사한 통계에 의하면 불교 조직과 기구는 약 2,000여 개, 오계(五戒)를 받은 신도 수는 약 300만 명이다. 미국인의 숫자가 3억 명인걸 감안하면 약 1%에 해당하는 수치다. 미미한 숫자로 보일지 모르지만 이러한 성장이 불과 10~20년 내에 이뤄진 것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놀랄 만한 수치다. 물론 이런 통계의 뒷면에는 달라이 라마나 틱낫한 등 스타의 반열에 오른 스님들의 역할이 컸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하지만 안타깝게도 미국은 물론 영국에서도 한국불교의 존재는 너무 미비하다. 미국은 티베트불교가 그리고 영국은 위빠사나 수행을 하는 남방불교가 대세다.(영국도 최근에는 티베트불교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소수의 일본 선(ZEN)을 수행하는 이들이 있다.영미권 독자를 위한 한국불교 안내서그간 한국불교를 영어로 소개한 책자가 간간히 나오긴 했다. 그 중 약 10여 년 전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What is korean buddhism?』이란 책자를 제작해 배포한 바가 있다. 하지만 정작 다른 나라 불교와 큰 차이를 갖는 간화선을 비롯한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을 소개하는 장이 빠져 있었다. 또 지나치게 사찰이나 유물 소개에 치중돼 한국불교의 역동성이나 사회활동 등에 대해 소흘히 다뤘다는 아쉬움이 있었다.이에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2008년 12월부터 『What is korean buddhism?』을 대체할, 영미권 독자를 위한 새로운 한국불교 안내 책자 개발에 착수했다. 이번에 발간한 『Korean Buddhism』은 이에 대한 결과물이다.이 책에는 회통불교, 간화선 전통 등 한국불교 수행과 의식에 대한 내용이 역사적인 측면과 함께 실제 체험해볼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The Practice Lineage of Korean Buddhism and Main Practices」) 또 최근 외국인의 관심이 부쩍 늘고 있는 템플스테이와 연등축제 등 한국불교의 역동성을 알 수 있는 장(「Experience! Korean Buddhism」)을 추가해 독자들에게 한국불교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밖에 한국불교사, 한국사찰 안내, 사찰예절, 산사 24시 등 한국불교의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장들을 삽입했다.공신력 있는 한국불교 안내서이 책의 집필은 법광 스님(선운사 승가대학 학장), 김응철 교수(중앙승가대 포교사회학과), 이종수(동국대 사학과 강사) 등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맡았다. 또 번역은 재미교포이자 한국에 와서 한국불교를 체험하고 있는 용수 스님께서 진행해 주셨다. 집필과 번역자 선정에서는 ‘공신력’을 최우선 순위로 삼았으며 국문과 영문 각각 세세한 감수의 과정을 거쳤다.특히 이 책은 특히 179컷에 이르는 사진을 통해 역동적인 한국불교의 모습과 스님들의 투철한 구도행각을 잘 묘사하고 있다.

한국불교종단협 | 호수 : 0 | 2010-01-11 18:01

불교학 전문 학술비평지 󰡔불교학 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통권 5호 발행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의 불교학 전문 학술비평지 󰡔불교학 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통권 5호가 발간되었다.󰡔불교학 리뷰󰡕는 지난 2006년 제1호를 시작하여 2008년 말까지 통권 4호가 발행되었으며 매년 6월 말일과 12월 말일에 발행하는 반년간지로 정례화하고 이번에 제5호를 발간하였다.󰡔불교학리뷰󰡕는 한국불교학의 발전을 위해 해외 학계 동향 및 국내 연구들에 대한 논평을 위주로 편집, 학술논문과 더불어 시의적인 논문, 시론 등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번 󰡔불교학리뷰󰡕 5호는 연구논문, 투고논문, 연구사, 서평, 번역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세계적인 석학 이토 다카토시 교수와 요르그 플라센, 최연식 교수 등의 연구논문 대거 수록연구사와 연구노트는 불교학의 한 분과나 중요한 주제 또는 불교사의 주요 인물에 대한 연구 추이를 정리하여 제공하는 자리이다. 글로벌리즘의 바람이 점점 거세지고 있는 요즘, 해외 학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참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외의 주요 연구 논문을 번역하여 소개하거나, 그 내용이 방대한 경우에는 간략하게 요약하거나 발췌하여 소개한다.이번 제5호에서는 2009년 2월 28일 금강대학교에서 이라는 제하에 개최된 학술세미나에 참가한 세계적인 석학 이토 다카토시 교수와 요르그 플라센, 최연식 교수 등의 연구논문을 대거 수록하였다.이에 더하여, 『유마경현소(維摩經玄疏)』역주에 대한 연구, 『摩訶止觀』의 無生門 해석에 대한 연구, 천태 지의에 대한 연구사 등 뛰어난 논문이 실려 있다.국내와 외국 학자들의 저술을 모두 대상으로 삼고 있는 서평과 번역은 단순한 학술서 안내를 탈피하여, 본격적인 리뷰를 지향하고 있다. 저술의 주요 내용을 소개함은 물론이고, 보완해야 할 점이나 대안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함께 실어서 균형잡힌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이번 제5호에서는 중론 연구의 대가 사이토 아키라 교수의 과 후쿠다 요이치 교수의 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많은 불교학자들에게 새로운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호수 : 0 | 2009-08-06 10:06

놀라울 정도로 깊은 명상 효과로 아이의 상상력과 창의력. 집중력을 높여주고, 읽어주는 부모의 마음까지 평화롭게 해주는 영국판 자타가 이야기. 이 책의 저자인 다르마차리 나가라자는 영국 스님이자 심리치료사로 BBC 라디오 2에 출연하여 영국 청취자들에게 자타카 이야기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이 책은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에서 20편을 골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재미있게 재구성하여 부모가 자녀에게 읽어주도록 만들었다. 어린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재미있는 이야기와 생생한 삽화가 자녀의 상상력에 불을 지피는 한편 색다른 모험의 세계, 환상적인 세계로 이끌어준다.이 책에 나오는 내용 중 ‘작은 밥공기’는 관용을, ‘잘난 척 대장 공작새’는 겸손을, ‘왕과 사슴’은 용서의 메시지를 은근히 전하고 있는 것에서도 엿볼 수 있듯 어린이들 스스로 이야기 속의 상황을 마음에 그리면서 자신감, 침착성, 겸손, 용서, 배려, 사랑의 마음을 키우게 될 것이다.이 책의 시작 부분에는 책을 읽어줄 부모님이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야기를 읽어주기 전에 아이들로 하여금 긴장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언제 어떤 방법으로 이야기를 읽어주고, 어떻게 대화하는 것이 좋은지, 그리고 자녀에게 명상과 시각화를 지도하는 적절한 방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다르마차리 나가라자 | 호수 : 0 | 2009-02-24 14:57

새롭게 구성한 영한대역 자타카 이야기. 자타카(jataka)라는 말 자체가 ‘현생에 태어나기 전까지의 전생 이야기’라는 뜻이다. 자타카는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기까지 무수한 과거 생을 보살로 사시면서 수행하고 공덕을 닦은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이 책은 우리말 번역에서는 가능한 영문의 의미와 구조를 살렸고, 어려운 단어는 그 뜻을 간단하게 달아서, 영어 학습에도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십바라밀, 삼독, 오계, 환생 등의 불교 용어가 ten perfections, the three root causes of unwholesomeness, the five steps of training, rebirth 등의 영문으로 표현되는 것을 문장 속에서 배울 수 있다.또한 본문에 등장하는 불교용어의 뜻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의 어원을 밝히면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추어 쉽게 풀이하였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국제화시대의 공용어인 영어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줄 것이다.각 이야기의 서두에서 전하고자 하는 교훈적인 주제를 ‘부지런함과 감사함’, ‘바르게 생각하기’, ‘용기’ 등과 같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야기를 마치고 나서, 배워야 할 지혜와 가치를 간단한 하나의 문장으로 다시 제시하면서 ‘생각하기’를 유도하였다.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는 동안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쿠루네고다 피야티싸 영역 | 호수 : 0 | 2009-01-30 12:37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