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당간(左右幢竿) 강릉 삼척
상태바
좌우당간(左右幢竿) 강릉 삼척
  • 김남수
  • 승인 2023.06.23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릉 일대가 눈 아래 늘어서니 망망한 동해물이 옷깃같이 둘러싸고, 경포대는 잔과 같다.”(「서유록」 중에서) 1913년 52세의 여인이 아픈 딸의 치료를 위해 서울로 향하면서 대관령 고개에서 뒤돌아 강릉을 바라보며 한 말이다.

대령산 꼭대기에서 아직도 제사 받아
해마다 드리는 분향 누구라서 감히 소홀히 하랴
공의 넋은 어둡지 않거니 복 내림도 큼도 커라.
- 허균, 「대령산신찬 병서(大嶺山神贊 幷序)」 중에서(한국고전번역원 역)

강릉 출신의 문인 허균이 어느 날 대관령 정상에 올랐나 보다.그때 산신제가 진행됐었는데, 허균은 대관령 산신으로 추존된 김유신 장군을 찬하는 송을 지어 올렸다. 지금은 대관령 자락에 ‘성황사’와 ‘산신당’이 별도로 있고 각기 범일국사와 김유신이 모셔져 있다. 그런데 강릉단오제의 주신은 김유신이 아니라 범일국사다. 지난 400년 사이에 강릉의 진산인 대관령 산신의 격이 바뀐 것일까?

어찌 된 영문인지 확실한 답을 찾지 못한 듯하다. 옛 명주(溟州)의 중심인 강릉에 김유신은 신화로 있지만, 범일 스님은 역사로 있다. 명주 출신이며, 강릉의 유력한 가문에서 태어났다. 통일신라 시기 명주는 군왕(郡王)이 있었고, 불교가 유입되면서 지역의 정체성이 새롭게 형성된다. 그 중심에 범일 스님이 있다.

범일 스님이 머물던 굴산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아직도 서 있다. 스님이 개창한 사굴산문은 고려시대 후반까지 선종의 최대 산문이었다. 가깝게는 보조 지눌, 멀리는 나옹 혜근에 이른다. 강원도 변방에서 고려 500년을 이어온 산문이 열린 것이다. 옛 명주에는 특이한 탑과 보살상이 있다. 탑 앞에 무릎 꿇고 앉아 공양을 올리는 보살상이 평창 월정사와 강릉 신복사지에 남아 있고, 강릉 한송사지와 원주 법천사지에도 같은 양식의 보살상이 있다. 스님이 머물던 거찰 굴산사는 폐사됐지만, 범일 스님의 자취는 강릉단오제 주신으로 옛 명주 땅에 남아 있다.

올여름, 동해 바닷가 강릉과 삼척에서 스님의 흔적을 찾아보자.

 

(*일러두기: 본문 속에 사굴산문(闍崛山門)을 개창한 범일 스님의 사상에 대해 관점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자들의 의견을 가감 없이 실었습니다.)

 

사진. 유동영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