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내 부처님] 우리시대의 불상 작가 3인
[특집 ]거실에 부처님이 편안히 앉아계신다면?
내 집 내 부처님 |
“가정에서 부처님을 모시고 염불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 존상은 사가에 모시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하니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1980년대, 한 재가불자가 광덕 스님에게 물어본 질문입니다. 이 질문은 2017년인 오늘날도 여전히 온라인 포털사이트 지식코너에서 검색되고 있습니다. 12월호 불광, 불자로서 부처님 존상을 모시는 일을 권장하려고 합니다. 생활공간에 불상을 모시는 것은 자신이 부처님의 제자라는 것을 잊지 않게 합니다. 그렇다면 생활공간에 어떻게 부처님을 모셔오면 좋을까요. 가정집, 일터에서 부처님은 어떻게 자리하고 계시면 될까요. 우리 집에 모신 부처님을 소개합니다. 01 우리 집에 부처님이 계십니다 유윤정 |
거실에 부처님이 편안히 앉아계신다면?
‘불상’ 이라 하면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불단 위 금빛 찬란하고 화려하며 반개한 눈으로 지긋이 내려다보고 계신 부처님, 올려다보면 저절로 자세를 고쳐 앉게 되는 근엄한 부처님, 절 마당에 자리한 웅장하며 위용이 느껴지는 불상 등. 우리 집에 부처님을 모시기엔 너무 먼 당신처럼 느껴진다. 시선을 살짝 돌려보자. 지금 이 시대에서 함께 살아 숨 쉬는 것 같은 모습의 불상을 만나볼 수 있다. 2017년 제5회 붓다아트페스티벌에서 만났던 마음이 편안해지는 불상과 작가를 소개한다. 집에서 만나도 어색하지 않을 부처님이다.
| 현대적 미감으로 부처님을 조각하는 서칠교 작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는 시무외인을 한 석가모니 부처님은 곧이라도 한 발 내디디며 다가와 어루만져줄 것 같다. 바위에 걸터앉아 왼 다리를 척, 오른 무릎 위에 얹은 자세로 앉아계시는 관세음보살의 은은한 미소는 이제 모든 중생을 살피고 잠시 쉬는 것처럼 보이고, 불룩한 배에 알록달록한 옷을 입은 포대화상의 파안미소破顔微笑는 덩달아 웃음 짓게 만든다. 인간적인 곡선미를 갖춘 부처님을 조각하는 서칠교(47) 작가의 불상이다. 그는 자연스러움이라는 화두를 품고서 부처님을 빚어낸다.
“누구든 불상을 바라보고 있을 때만큼은 어떤 어려운 생각도 들지 않기를, 마음이 편안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부처님을 조성합니다. 법당에서 예불을 드리는 대상으로서 경건하게 모시는 부처님뿐만 아니라, 집에 모셨을 때도 집안의 분위기와 이질감이 없는 불상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서 작가는 불상이 법당에서만 볼 수 있는 존재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속에서 가정에서 함께 호흡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저 바라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대화하고 만지고 소통하며 마음에 휴식을 줄 수 있는 부처님, 불상이 나와 부처님을 직접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가 되기를 바랐다. 불상에는 사실적인 얼굴과 몸동작을 담아냈고, 만지면 쉽게 상할 수 있는 개금 대신 손길이 닿을수록 색이 깊어지도록 채색을 했다. 전통 불상의 양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현대적인 미감을 더한 불상은, ‘기존의 형식을 깬다.’는 개념이 아니라 불교문화로서 새로운 콘텐츠를 넓혀나가는 역할을 했다.
“라디오에서 음악이 흘러나올 때 그 음악이 좋으면 자꾸 듣고 싶고, 그 마음이 커지면 음반을 사게 되는 것처럼, 불상을 집에서 두고두고 보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도록 조성하고자 합니다.”
그는 가가호호 부처님이 계시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수많은 불보살의 도상을 다양하게 표현해 불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연구하는 중이다. 그 예로 석고로 만든 작은 크기의 차량용 호신불 등을 정성스레 조성해 눈길 닿는 곳 어디서든 부처님을 만날 수 있도록 구상했다. 앞으로도 그는 불상이 생활 속 불교 문화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조금 더 친근한 불두佛頭 목걸이나 불두 벨트 등도 개발해보고자 한다고 전했다.
“부처님의 이미지를 친근하게 보여주면서 불교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이 생긴다면 그것이 또 하나의 포교활동이 아닐까요. 예술을 포교의 수단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사람 냄새 나는 부처님을 조성하는 이재윤 작가
가부좌를 틀기 전 가볍게 양반다리를 한 부처님은 미소를 머금었다. 부처님은 바위 위에서 다리를 살짝 풀어 기대며 편안하게 앉아계셨다. 이제 막 흙에서 모습을 드러내던 반가사유를 하고 계시는 석존은, 고개를 슬쩍 갸우뚱했다. 무엇을 생각하고 계실까, 절로 궁금해진다.
이재윤(41) 작가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형상을 편안함이라는 키워드를 중점에 두고 드러냈다. 편안한 모습을 표현했지만 부처님으로서의 근엄함을 잃지 않았다.
“불상이라 하면 대체로 경건하고 근엄한 모습을 떠올리지요. 그래서 어렵게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대상이 경직되어 있으면 바라보는 사람도 굳게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 곁에 가까이 있는 부처님. 사람 냄새가 나는 부처님을 조성하고 싶었습니다. 편안한 도상이면서도 존경심이 나도록, 불교 조각의 전통을 계승하고 기법을 따르되 시대에 맞는 미감을 찾기 위해 고심했습니다.”
불교미술 전공자이자, 아버지인 대전무형문화재 제6호 불상조각장 이진형 장인에게서 전통을 물려받은 그다. 이 작가는 장점을 살려 전통 불상의 비례와 인체의 골격을 비교하고, 어느 방향에서 봤을 때도 원만하고 온화한 부처님이 될 수 있도록 고민했다. 새롭게 도상을 표현하되 왜곡하지 않기 위해 조심했다. 도상이 교리에 어긋나지 않도록 늘 경계했다. 불상 높이는 50cm를 넘지 않으려 했다. 우리 집에 함께 계실 부처님이기 때문이다.
그는 대화 중 ‘생활불교’라는 단어를 자주 강조했다. 이 작가는 생활불교에 대해 깊은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요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부처님, 호신불을 조각 중이라 전했다.
“옛날, 불교가 전파됐을 때 스님이 경전과 불상을 하나 가지고 법을 설하셨지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있는 5cm 크기의 불상들은 다 몸에 지니고 다니는 호신불이었습니다. 부처님을 지니며 함께 있으면 ‘어디서든 날 지켜주실 거야’ 하는 마음이 들지 않을까요. 그래서 지금 칠곡 길상사 스님과 함께 내년 부처님오신날에 신도들에게 선물로 나눠줄 자그마한 부처님, 호신불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 작가는 앞으로 많은 이들이 생활 속에서 부처님 가르침을 잘 떠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불상 작업을 이어가고 싶다고 전했다. 부처님의 생애나, 불전도佛傳圖의 이야기들을 불상으로 조성해 쉽고 친근하게 알 수 있도록 보여주고 싶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취향은 다양합니다. 많은 분들이 자신의 취향을 찾을 수 있게끔 작가들도 많이 생겨나고, 저를 비롯한 많은 작가들이 다양한 모습의 부처님을 조화롭게 조성할 수 있도록 정진하며, 붓다아트페스티벌 같은 시장도 더 많아지고 넓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불상과 예술작품의 경계를 허물은 주성진 작가
“제가 만든 불상이 많은 이들이 성불의 길에 이를 수 있게 되는, 깨달음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으면 합니다.”
자애롭고 인자한 석가모니 부처님은 따뜻한 나무 옷을 입고 나오셨다. 약사여래 부처님을 바라보고 있으면 할머니가 어깨 뒤로 포근한 이불을 감싸주는 것 같고, 허공의 연꽃 위에 좌정해 삼매에 드신 부처님을 바라보면 지금 부처님은 어떤 말씀을 하고 계실까 귀 기울이게 된다. 불상과 예술작품의 경계를 허물어, 더욱 부처님과 가까이하고 싶게 만드는 주성진(48) 작가의 불상이다.
“현대인들은 아주 바쁩니다. 부처님을 뵈려면 절에 찾아가야 하지만 그런 시간들이 없지요. 재가불자나 아직 불자가 아닌 이들이 작품을 보고, 환희심이 나서 불교에 관심을 가지고 귀의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부처님을 조각합니다. 전통을 기반으로 시대적 시각의 흐름을 담는 작업을 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근대 시기 불모佛母 일섭 스님의 문도로, 불상을 조성한 지 3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새벽같이 작업장에 나와 나무를 깎는다. 그런 그가 새로운 형식으로 부처님을 보여주고자 했던 이유는 ‘전법’이었다.
“‘부처님은 이렇게 계셔야 한다. 부처님은 이렇게 모셔야 하고, 이렇게 행해야 한다.’가 아니라, 조금은 편안하게 다가가면 좋지 않을까요.”
주 작가는 일반인들에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불상을 고민하면서, 불화나 공예 등 한국 전통 불교미술의 아름다운 요소를 살피고 하나하나 장점을 뽑아내고 조합했다. 다양성을 만들고 싶었다. 그가 할 수 있는 일로 부처님 말씀을 전하는 것이라 했다.
“사람들이 불상을 보면서 한국적인 미를 느끼고 관심 두게 되면, 많은 사람이 불교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지 않을까요. 부처님을 조각함으로써 많은 사람의 마음에 불심이 일어나고, 성불의 길에 조금 더 다가가게 될 수 있다면, 제 몸 다하는 날까지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앞으로 어떤 부처님을 조각해낼지 저도 궁금합니다.”
그는 이 작업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무대삼아 전법할 수 있기를 발원했다. 주 작가는 이런 발원을 담아 작업한 작품들로, 12월 12일부터 10일간 서울 전통문화체험관에서 ‘과거로부터 이어진 일상’ 개인전을 열 예정이다.
금빛 찬연하며 경건한 불상이라는 이미지만으로는 시대의 다양성을 담아내기 어렵다고 생각한 작가들이다. 이들은 부처님 가르침을 담아 법을 널리 전하려 창의적이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바른 법을 전하려는 세 작가의 고민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부처님 앞에 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