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세상을 바꾼 현대 불교 철인들 : 마하시 사야도

위빠사나 대중화의 주역

2017-06-15     김재성

세상을 바꾼 현대의 불교 철인들

이번 호 특집은 근・현대 세계불교 역사 속에서 붓다를 따르는 수많은 수행자들 중 세상을 바꾸는 데 사상적으로 기여하거나, 혹은 직접 뛰어들었던 인물을 집중 조명해 봅니다. 각 인물이 겪고 만들어갔던 역사의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야기 구조로 풀어 가면 ‘세상을 바꾼’ 사건들이 입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대’에 초점을 둔 것은 우리 시대와 함께 살면서 인물을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어 정보의 양이 풍부하고 대중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불교 철인’은 불교가 지향한 가치와 철학을 중심에 두고 현실을 변화시킨 불교인을 말합니다. 이 세 가지를 겹쳐서 세상을 바꾼 현대의 불교 철인을 찾아봅니다. 

01    서구에 선불교를 전달하다 스즈키 다이세츠(1870-1966)  / 원영상
02    중국・대만 현대불교의 주춧돌 태허 대사(1889-1947)  / 조환기
03    인도의 불가촉천민을 해방시킨 암베드카르(1891-1956) / 김명권
04    위빠사나 대중화의 시작 마하시 사야도(1904-1982)  / 김재성
05    참여불교의 제창자 틱낫한 스님(1926-)  / 유윤정
06    현대 불교의 위대한 스승 제14대 달라이 라마(1935-) / 김성동

 

현대 불교수행 또는 불교명상의 대표적인 전통은 테라와다불교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동아시아불교의 선禪과 염불, 티베트불교의 로종, 마하무드라, 다양한 관상법 등의 수행전통이 있다. 이 가운데 20세기 들어와 널리 대중화된 수행은 위빠사나라 해도 좋을 것이다. 1970년대부터 서양에 전해진 위빠사나는 심리학, 행동의학, 신경과학과 만나면서 많은 임상적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어 왔다. 위빠사나의 대중화에는 마하시 사야도(Mahasi Sayadaw, 1904-1982)와 고엥카(S. N. Goenka, 1924-2013)의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 소수의 수행에서 모두의 수행으로

마하시 사야도

현대 미얀마에서 위빠사나 수행이 발전하게 되는 데는 세 가지 중요한 점이 있었다. 첫 번째로 과거에는 전문적인 소수의 수행승들이 숲속의 수행처에서 수행을 했는 데 비해, 현대의 위빠사나는 많은 수행자들이 잘 정비된 수행처에서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19세기까지 수행은 교학연구에 밝고 충분한 연령에 이른 승려들만의 특권이었는 데 비해, 현대의 위빠사나 운동은 재가자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불교도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개방되어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이전에는 위빠사나 수행이 조직화되어 수행된 적이 없었는 데 비해, 현대에는 모든 연령의 재가자, 승려 그리고 여성 출가 수행자로 구성된 큰 그룹들을 대상으로 가르침이 행해지고 이들이 수행센터에 머물면서 수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19세기 후반까지 미얀마 불교 전통에서 수행이란 일부 수행승들에게 국한된 일이었다. 수행에 전념하는 수행승에게 제한되어 있었던 위빠사나 전통은 민돈Mindon 왕(1814-1878, 재위 1853-1878)에 의해 왕궁에서 실천되기도 하였다. 이후 1910년대를 지나면서 전문적인 수행센터가 설립되고, 출가자는 물론 재가자에게까지 위빠사나 수행이 널리 실천되기 시작했다. 최초의 수행센터는 마하시 사야도의 스승인 우 나라다 스님에 의해서 1914년에 세워졌다. 일반 승려는 물론 재가자들에게까지 위빠사나 수행의 보급된 것은 미얀마의 초대 수상 우 누의 역할이 컸다. 그의 주도하에 1940년대에서 50년대에 걸쳐 위빠사나 보급이 추진되었다.

 

| 깊은 경전 공부에 기울인 까닭

1904년 7월 29일에 태어난 마하시 스님은 6세에 처음으로 사원에서 교육을 받게 되었고, 12세가 되자 정식으로 사미가 되었다. 법명은 ‘빛이 나는’, ‘아름다운’이라는 의미의 소바나Sobhana였다. 사미 시절에 빠알리 율장과 주석서를 배우고, 복주復註를 외울 정도로 공부하였으며, 19세 때에는 논장 「법집론」의 주석서와 경전의 복주들도 배웠다. 20세 때 비구계를 받은 후, 교학연구에 더욱 몰두하면서 한편으로는 실제적인 수행에 대한 관심도 높아갔다. 스님은 붓다의 고귀한 가르침이 진실하고 올바르다는 사실을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서 알고 싶어 했다. 하지만, 수행의 인연은 좀 더 시간을 필요로 하였고, 교학연구에 몰두하게 된다. 교학연구와 함께 당시 교학시험의 최고 단계인 빠타마지pathamagyi를 통과한 후, 24세 때 교학연구의 중심지인 북부 미얀마의 만달레이로 가서 경전과 주석문헌에 대한 공부를 더욱 하게 된다. 만달레이에서 교학을 배운 1년 후, 몰메인Moulmein으로 간 마하시 사야도는 교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 시절에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과 함께 경전, 주석서, 복주를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였으며, 『디가 니까야』의 『대념처경』을 주석서와 복주문헌까지 속속들이 연구하였다. 이 경전에 대한 공부에 심혈을 기울인 데는 이유가 있었으며, 후에 불법에 관한 마하시 사야도의 행로를 바꾸게 되었다.

 

| 수행의 기본적인 초석은 교리

마하시 사야도는 28세에 위빠사나 수행을 처음 접한 이후에도, 수행의 기본적인 초석은 교리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스님은 1941년 38세가 되던 해에 처음 실시된 정부 주도의 법사(法師, Dhammācāriya)에 응시하여 통과하게 되었다. 자신을 위해서 수행을 하는 데는 의지할 만한 스승의 지도 아래에서 교학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수행을 하면 되지만, 다른 사람을 가르치려고 하는 사람은 교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교학에 정통한 사람만이 부처님 가르침의 진정한 가치에 고마운 마음을 낼 수 있으며, 이론적인 지식을 자신의 수행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에 대한 지식을 다른 사람과도 나눌 수 있는 것이다.

마하시 사야도는 사미 때부터 『대념처경』의 7년에서 7일 동안 이 수행을 하면 아라한 아니면 아나함이 된다고 하는 수행 결과에 대한 가르침에 주목을 했다. 실제적인 수행을 원하는 사람은 많은 수행법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마하시 사야도는 사띠빳타나 위빠사나, 즉 선정을 닦지 않고 바로 위빠사나를 수행하는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에, 『대념처경』을 주석서와 복주와 함께 주의 깊고 면밀하게 공부하여 부처님 말씀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을 때까지 연구하였다. 경전 공부를 바탕으로 수행을 했기에 많은 진전이 있었을 것이지만, 한편으로 수행이란 실제적이어서, 스승의 지도에 따라서 실천하는 것이 바른 길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스님은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서 깨달음의 과정(果定, phala-samāpatti)의 경험이 있다고 알려진 티론 사야도(Thee Lon Sayadaw, U Sandima, 1786-1860)에 대한 소문이 듣고, 티론 사야도의 가르침의 전통을 전하는 스승을 찾게 되었다. 당시 타톤Thaton 지방에 밍군 제타반 사야도로 유명한 우 나라다(U Nārada, 1869-1954) 스님이 사띠빳따나 수행을 30년 전부터 실제로 가르치고 있었다. 우 나라다 스님인 스승은 알레토야Aletawya 사야도가 다름 아닌 티론 사야도의 여러 제자 가운데 한 분이었다. 마하시 사야도는 우 나라다 스님을 통해서 티론 사야도의 가르침의 전통을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 교학과 수행의 결합

마하시 사야도는 몰메인을 떠나, 성지를 참배한 후에 타톤의 밍군 사야도에게로 갔다. 28세가 되던 1932년이었다. 도착하는 날부터 곧바로 수행 지도를 받고 수행에 들어갔다. 마하시 사야도는 4개월 동안 한 잠도 자지 않고 수행에 몰두하였다. 잠을 자지 않는 정진을 했음에도 몸은 건강한 상태였는데, 그 이유는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念, 擇法, 精進, 喜, 輕安, 定, 捨)를 경험하면서 마음이 지극히 정화되었고, 마음의 정화에 의해서 육체가 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1938년, 마하시 사야도는 잠시 몰메인을 떠나 고향인 세익쿤Seikkhun으로 오게 되었고, 이곳에서 사촌형제 3명을 위시해서 50명의 수행자에게 7개월 동안 사띠빳따나 위빠사나를 처음으로 가르치게 되었고, 이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위빠사나 지혜의 높은 단계에 도달하였다. 교육을 해야 하는 의무 때문에 다시 몰메인으로 돌아온 마하시 사야도는 교학뿐만 아니라 수행도 지도하게 되었다. 교학(pariyatti)과 수행(patipatti)의 두 가지 법을 결합한 것이다.

1941년, 처음으로 실시된 법사시험에 통과한 마하시 사야도는 위빠사나 수행을 본격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위빠사나 수행을 처음 지도했던 고향 마을 세이쿤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 해는 2차 세계대전의 전화가 미얀마에 퍼지게 된 때이며, 전쟁 기간 미얀마는 많은 고통에 빠지게 되었고, 불교 활동은 중단되었다. 다행스럽게 세이쿤 마을은 전쟁의 피해를 많이 보지 않은 마을 가운데 하나여서 마하시 사야도는 위빠사나와 법문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지도할 수 있었다. 수행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은 재가자들의 요청에 의해 마하시 사야도는 위빠사나 수행법에 대한 저술에 몰두하였다. 그 결과 7개월 만에 경전, 주석서, 복주에 대한 자세한 언급과 함께 실제적인 수행법을 포함하고 있는 『위빠사나 수행법(Vipassanā shu nyi gyan)』 두 권을 1944년에 탈고한다.

1945년에 전쟁은 끝났고, 마하시 사야도는 몰메인과 세이쿤을 오고 가며 교학과 수행을 지도하였다. 세이쿤으로 돌아온 마하시 사야도는 『대념처경』에 대한 미얀마어 해설서(Nissaya)을 쓰게 되었다. 이 책은 경전 구절에 대한 자세한 해설과 함께 위빠사나 수행 과정을 분명하게 밝혀주고 있고, 일창 스님에 의해 『마하시 사야도의 마하사띠빳따나숫따 대역』으로 한글로 번역되었다.

 

| 마하시 센터, 전 세계 70만 명이 수행

1947년 11월 13일, 랑군에 붓다 사사나 누가하 협회가 세워졌고, 1949년, 우 누 수상이 마하시 사야도에게 랑군의 수행센터에 오셔서 수행을 지도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요청을 받아들인 마하시 사야도는 랑군의 수행센터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마하시 사야도가 수행지도를 시작하자 이 수행센터는 마하시 수행센터라고 불리게 되었고 현재도 수백명의 승려와 재가자가 위빠사나 수행에 전념하고 있다.

위빠사나 수행을 하는 동안에 수행자들은 자신이 수행 도중에 경험한 일들을 매일 마하시 사야도에게 보고하여 점검을 받아야 했다. 매일 수행자들을 점검하는 이 방법은 마하시 사야도에 의해서 채택되고 시행되었으며, 실제적인 수행체계에서 수행을 지도하는 데 가장 만족스러운 방식의 하나였다. 그리고 이러한 좋은 수행지도법 때문에 마하시 사야도의 수행법은 큰 성공을 이룰 수 있었다.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수행한 수행자들 가운데 자질 있는 제자들에 의해 위빠사나의 씨앗은 미얀마 각지에 뿌려지게 되었고, 마하시 사야도는 이들이 수행을 잘 지도할 수 있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으며 지도를 해주었다. 마하시 사야도의 도움으로 미얀마 각지에서 마하시 수행센터의 분원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미얀마를 벗어나 태국과 스리랑카 등지에도 분원이 생겼다. 마하시 센터 설립 23주년이 되던 1973년, 랑군의 센터에서 수행한 수행자는 60만 명에 이르렀고, 태국에서, 스리랑카, 캄보디아, 인도 등지에서 수행한 수행자의 수를 모두 합하면, 70만 명에 이르렀다. 이후, 마하시 사야도는 태국, 스리랑카, 캄보디아,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 위빠사나를 전하였다. 1938년 처음 위빠사나를 지도한 이래 1982년 8월 14일, 78세를 일기로 입적할 때까지, 44년간 위빠사나 지도는 물론 60권 이상의 저술과 법문을 통해 많은 가르침을 남겼다.

 

김재성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경대 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저서로 『초기불교산책』, 『불교의 이해』, 『현대사회와 불교생명윤리』, 『위빠사나 입문』 등과 역서로 『붓다의 러브레터』, 『명상의 정신의학』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