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스님의 선담禪談] 수행자의 가을 열매...

수행자의 가을 열매는 진공묘유眞空妙有

2015-11-06     금강스님
 
작은 등불 받아들어 어둠 밝히오니
부처님의 공덕바다 다함없으며,
큰 광명 시방세계 널리 비추시니
중생들의 소원 따라 채워주십니다.
조그마한 등불 하나 밝히어
제가 지은 어둠을 소멸하고자 하니
믿음의 등, 마음의 등으로 받아
저와 저의 가족, 이웃들과 함께
언제나 꺼지지 않는 영원한 빛으로 남게 하소서

 

| 낙엽이 다 지고난 후에는 어찌합니까
가을이 깊어간다. 산중의 새벽은 코끝이 시리다. 얇은 수건을 돌돌 말아서 목에 두르고, 털모자를 머리에 쓴다. 어느 사이 고무신도 털신으로 바뀌었다. 가끔 새벽녘 불어오는 바람에 몸을 움츠리고는 한다. 어스름히 보이는 나무는 벌써 푸른 잎들을 떨어뜨리고는 작은 감을 등불처럼 밝히고 말쑥하게 서있다.

한 스님이 “낙엽이 다 지고난 후에는 어찌합니까?” 하고 물으니 운문 선사는 “체로금풍體露金風”이라는 대답을 하여 가을을 묻는 이들에게 오래도록 큰 가르침을 주었다. 

산들산들 불어오는 봄바람에 새싹을 틔워낸 나무들이, 푸르고 빽빽하게 하늘을 가리던 여름의 나뭇잎들을, 서늘한 가을바람에 일제히 놓아버린다. 

나도 언젠가는 이 가을의 나무들처럼 놓아야한다. 나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언젠가는 애써 만들어 놓은 것들을 놓고 이별해야 할 때가 있다. 아니 어제를 놓아야 오늘을 살 수 있듯이 누구나 순간순간 놓고 지금을 사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고 나면 맞는 말이지만 허망하기 짝이 없다. 그 허망함을 채우고 삶을 값지게 만드는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 

 

미황사 참사람의 향기에서 8일 동안 수행했던
안성에서 배 농사를 짓는 유근식입니다.
비와 햇볕을 받으며 속살을 키우고, 태풍과 천둥을 견뎌 마침내
한 알 한 알 영근 배를 올립니다.
가족 모두 건강하고, 배 농사 잘 짓기를 발원합니다.
 

미황사 아래 치소마을에서 파프리카농사를 짓고 있는 박한영입니다.

올해도 이주노동자들과 함께 파프리카농사를 잘 지었습니다.
가족을 떠나 먼 이국땅에서 힘들게 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길 발원하며, 파프리카를 올립니다.

 

50년의 도시생활을 마치고, 고향 마산면 산막리로 돌아온
조희금, 이개석입니다.
꿈에도 그리던 고향땅에 건강하게 돌아와 좋은 집을 지었습니다.
시골마을 어르신들이 건강하기를 발원하며,
성주한 집 사진을 올립니다. 
 

절 아래 서정마을에서 무화과 농사를 짓고 있는 이순기입니다.

태풍으로 작은 피해를 봤습니다만, 대체적으로 무난하게 농사를 지었습니다.
작은 일로 반목하고 있는 우리 마을사람들이
서로 양보하고 이해하면서 살아가길 바라며, 무화과를 올립니다.

 

매년 가을이면 마당에 높이 12미터의 크고 오래된 부처님 탱화를 걸고 야단법석을 연다. 현대인들을 위해 의미 있고 자신의 삶을 사랑할 귀중한 시간을 만드는 법석은 늘 즐겁다.

매일 매일 온갖 유혹과 비교의 대상들 속에서 자신을 꿋꿋하게 지키기란 쉽지 않다. 성실하게 자신의 일을 하면서 타인을 위한 삶을 사는 것이야말로 순간순간 힘을 만들어내고 기쁨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 해 동안 자신이 가꾼 삶의 수확물을 부처님 앞에 공양하며 많은 사람들과 공덕을 나누는 자리는 그래서 중요하다. 

 

| 수행자의 열매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어려서는 꿈도 많았다. 자유롭게 하늘을 나는 새들을 보고는 새가 되고 싶었고, 물속을 자유롭게 다니는 물고기가, 나무를 쉽게 오르내리는 다람쥐가 되고 싶었다. 자연현상인 구름이, 바람이, 햇살이, 비나 무지개가 되고 싶은 적도 있었다. 병원에 다녀온 뒤에는 의사가 되고 싶었고, 학교에서는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버스를 타면 운전사가 되고 싶었고, 선물꾸러미를 가득 안고 돌아온 외항선을 타는 친척을 만났을 때는 선장이 되고 싶었다. 

손수건을 가슴에 매달고 아버지 손잡고 초등학교 입학식에 가던 때가 기억난다. 키를 맞추어 줄부터 섰다. 맨 뒤에서 자꾸 앞으로 앞으로 갔다. 학교에서의 공부보다는 6년 동안 걸었던 길에서의 수많은 놀이들이 생각난다. 중학교 친구들과의 즐거웠던 하이킹, 고등학교의 수많은 시험들, 이십대의 사회비판과 삼십대의 무한한 질주, 사십대의 안락함들이 떠남의 연속이고 만남의 시작이었다.

나무나 사람이나, 승과 속이나 삶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나간 과거를 허망하게 붙잡으려 하지 않으면 그 삶의 순간순간의 열매는 값지다. 

이 가을, 수행자의 열매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그것은 운문 선사의 체로금풍體露金風 속에 있다. 가을바람에 낙엽이 다 떨어져 본체가 드러난 것처럼, 허망한 욕망과 시기 질투 불신 다 떨어지고, 그 속의 미세한 번뇌와 망상도 떨어지고, 유무의 분별도 떨어지고, 온갖 군더더기 떨어진 유有와 무無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안목 말이다. 수행자다운 실다운 결실이 이보다 명징할 수 있을까 싶다.

얼마 전 인도의 다람살라를 다녀오고 나서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없다. 누웠다가도 불쑥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벌떡 일어나고는 한다. 

티베트불교의 전통은 달라이 라마가 14대째 연속적으로 환생을 통해 이 땅에 오신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동안 타고나는 수행력이 있으니 비교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이번에 가까이에서 모시는 스님의 이야기를 들으니 어느 나라에서나 저녁 9시에는 취침하고 새벽 2시에 기상하신단다. 그리고 아침 6시까지 80세의 노구에도 변함없이 당신의 깊은 수행을 하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모시던 서옹 스님께서도 45세에 스승인 만암 스님으로부터 전법게를 받고도 완전한 수행을 위해 56세까지 철저히 정진하시고 오도한 일화가 있다. 어디 그뿐인가. 88세의 노구에도 새벽 3시에 일어나 정진하시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목도한 바 있다. 그분들에 비하면 나는 아직 한창일 때이니 이 가을 부끄러움에 문득문득 잠이 달아나는 것이다.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안목은 저절로 빛나는 밝은 등불이지만, 이 가을에 수행자는 끊임없이 살아있게 발현시키는 모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부를 한다.

어떤 스님이 동산 스님께 물었다.

“추위와 더위가 다가오면 어떻게 피합니까?”

“어찌 추위와 더위가 없는 곳을 향해 가지 않느냐.”
“어디가 춥고 더위가 없는 곳입니까?”
“추울 때는 그대를 춥게 해버리고, 더울 때는 그대를 덥게 해버려라.”     

 

                          

금강 스님
미황사 주지. 조계종 교육아사리. 서옹 스님을 모시고 ‘참사람 결사운동’, 무차선회를 진행하였고, 고우 스님을 모시고 한국문화연수원의 간화선 입문과 심화과정을 진행하였다. 홍천 무문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참선집중수행 ‘참사람의 향기’를 80회 넘게 진행하며 일반인들과 학인스님들의 참선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저서로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