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수와 뱀
상태바
보리수와 뱀
  • 불광출판사
  • 승인 2017.01.09 1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리수와 뱀

1.png
 

우주목  보리수
스승은 깨달음을 얻은 후에 왜 여러 나무 밑을 전전했을까. 단지 깨달음의 법열이 스승을 나무 밑으로 인도한 것일까. 아니면 그 나무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다는 말일까. 그늘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나무의 다른 상징성을 경전은 말하고자 했던 것일까. 『마하박가 Mahāvagga』에 묘사한 대로, 스승은 보리수 아래서 처음 정각을 얻은 후 처음 몇 주간을 이 나무에서 저 나무 밑으로 옮겨 다녔다. 처음엔 보리수, 그 다음은 니야그로다, 그리고 무찰린다, 라자야타나 등의 나무였다. 이렇게 일주일씩 차례로 머물고는 다시 니야그로다 나무로 돌아온다. 뒤의 두 나무인 무찰린다와 라자야타나가 어떤 나무였는가는 현재로서 알 수 없다. 경전은 다만 이 나무들 밑에서 스승이 처음 만나게 되는 몇 가지 중요한 인연들 - 예를 들면 최초의 공양 같은 것-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이 사건들 가운데 흥미로운 한 가지 묘사를 지나칠 수 없었다. 후대의 몇몇 경전들은 당시 나무 밑을 전전했던 일을 약간 달리 서술하고 있다. 깨달음을 얻은 스승 앞에 마라를 등장시켜 그를 시험하고 위협하는 장면이 그것이다. 그 사건의 장소는 아마도 처음 깨달음을 얻은 그 보리수 밑이었을 것이다. 마라Māra가 나타나 스승을 위협하기 시작했고 빨리 그 보리수 밑의 자리를 떠나라고 협박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마라는 그냥 스승을 위협했던 것이 아니라 그 나무 밑을 떠나라고 말하는 것이다. 마치 자신의 자리인냥 스승이 앉아 있는 보리수 밑의 자리를 탐내고 있던 것이다. 그리고 경전은 그 자리를 금강좌(金剛座, vajrāsana), 또는 불사(不死, amṛta)의 자리라고 불렀다. 도대체 왜 보리수 나무 밑이 불사의 감로수를 얻는 자리, 영생의 자리란 말인가. 

스승과 마라 두 존재는 마치 우주가 시작되고 불사를 얻기 위한 경쟁을 시작하는 오래된 신화적 패턴을 재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의 보리수는 죽음과 삶이 언제나 교환되는 우주의 중심축이었고 그 자리를 놓고 마라와 스승은 상징적인 대결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나무는 피쿠스 렐리기오사Ficus Religiosa. 우리가 보리수라 부르는 그 나무다. 그렇지만 왜 불경에서는 이 나무 피쿠스 렐리기오사를 스승이 깨달음을 얻은 장소로 설정한 것이었을까. 분명한 것은 보리수가 불교만의 상징이 아니라 불교 이전부터 성스러운 나무로 자리 잡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 나무가 아마도 인도의 문명사 속에서 가장 일찍 등장한 나무라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불교가 등장하기 거의 이천 년 전, 모헨조다로에서 발견된 인더스 문장에서 우리는 보리수를 올라타고 있는 신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나무가 보리수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보리수 나뭇잎의 길고 뾰족한 끝은 언제나 인상적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보리수 잎은 하라파 토기를 장식하던 대표적인 문양이 아니었던가. 모든 힌두교와 불교 역사 속에서 이 나무가 홀대되었던 적은 몇몇의 사례를 빼고는 거의 없었다.   

고대 인도인들에게 이 나무가 신성한 존재로 인식되었던 것은 아마도 잎의 모양과 움직임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 나무의 잎은 특이하게도 잎 위쪽이 넓고 둥근 반면, 끝 부분은 갑작스럽게 가늘고 뾰족하게 마무리된 형태다. 뾰족한 잎 끝을 볼 때마다 정수리 위로 솟구치는 지혜의 날카로움을 보여주는 듯하다. 더 특이한 것은 가지에서 잎까지 이르는 잎 목의 길이다. 다른 어떤 잎보다도 보리수의 잎 목은 길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수많은 보리수 잎들은 바람이 불지 않아도 쉽게 나풀거리며 햇빛을 튕겨내며 반짝거린다. 아마도 보리수에 강력한 생명의 힘이 깃들었음을 상기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모든 나무들이 찌는 더위에 고개 숙이고 있을 때에도 보리수 잎만은 가늘게 떨고 있는 것을 상상해보라.   
     
이러한 이유로 보리수는 오래전부터 인도 전역에서 왕권의 운명을 상징하는 나무로도 유명했다. 왕권을 상징하는 나무들 대부분의 운명이겠으나, 국가나 왕실의 수호목守護木은 적군이 침공한 후 대개 불태워지거나 잘려나가는 것이 당연했다. 나무의 생명과 그 수목의 주인이 동일시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7세기경 벵갈 지역의 왕이었던 샤샹카śaśāṅka는 불교를 탄압하면서 스승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노력했다. 파탈리푸트라의 바위에 새겨진 스승의 족적足跡을 지우는 데 실패하자 마침내 부다가야에 서 있던 보리수를 잘라버리고 불태웠다. 불교의 운명을 불태우고자 했던 거였다. 거의 천 년 전 푸시야미트라Puṣyamitra 왕이 똑같은 나무에 대해서 했던 일을 또 반복했던 것이다. 아쇼카 왕도 비슷한 일을 했으나 딸을 시켜 스리랑카에 동일한 보리수를 소생시켰다. 물론 이 전설 같은 이야기들을 역사로 볼 수 있는가는 의문이지만, 스승이 깨달았던 그 나무를 소생시키고자 했던 노력은 역사 속에서 계속되었다. 
2.png
 

물의 수호자, 뱀(Nāga)
스승이 또 머물렀던 나무는 무찰린다Mucalinda였다. 정각正覺을 이룬 지 3주째가 되었을 때 스승은 무찰린다 나무 밑으로 가서 앉았다. 그러나 이 나무의 이름은 본래 제 이름이 아니었을 것이며 아마도 이 나무 밑이나 근처에 살고 있었던 뱀 왕 무찰린다의 이름을 따서 불렀던 어떤 나무일 것이다. 3주째부터 밤낮으로 폭우가 쏟아지자 나무 밑에서 뱀 왕 무찰린다가 올라와 스승의 몸을 일곱 번 감는다. 그리고는 코브라 특유의 머리를 평평하게 펼쳐 스승의 머리 위쪽을 덮어 비바람을 막았다. 이 멋진 상상력은 불교 미술의 중요한 모티프가 되었다. 인도나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에서 조성된 불상은, 세 개 혹은 다섯 개, 아니면 일곱 개의 머리를 가진 코브라가 머리를 납작하게 펴서 스승의 머리를 덮는 것으로 후광後光을 대신한다. 

불교 고전에서 나가 Nāga는 일반적인 뱀이 아니라 특별히 코브라 뱀을 말한다. 한역 불경에서 특이하게 이 뱀을 용龍으로 번역하는데, 동아시아에서 용이 갖는 이미지와는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여기서 무찰린다는 왜 스승의 몸을 일곱 번 감았을까. 그냥 우연에 지나지 않는 걸까. 일곱 번의 회전, 즉 일곱 번의 오른돌이는 귀의歸依의 방법을 암시한다. 경배의 대상을 중심으로 오른쪽 어깨가 향하도록 하고 시계방향으로 도는 프라닥시나pradakṣina는 불교인이거나 힌두인이거나 현재까지 계속되는 신성한 존재를 향한 예법이다. 현재도 인도나 스리랑카 등지에서는 보리수에게 공양(Puja)을 올리고 일곱 번 오른돌이를 한다. 따라서 무찰린다가 스승의 몸을 일곱 번 감았다는 것은 스승의 주위에 있었던 자연의 지배자, 즉 뱀 왕 무찰린다가 스승의 몸을 향해 귀의의 표현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스승은 보리수 그 자체이며 보리수 또한 스승 그 자체다. 따라서 거대한 뱀이 단지 비를 막기 위해 스승의 몸을 감았던 것이 아니라, 비나 물과 같은 자연의 지배자가 스승에게 귀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경 속에는 무찰린다의 사례뿐만 아니라 다양한 뱀 왕들이 스승께 귀의하는 장면이나 조복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경전을 통해 여러 번 스승은 뱀의 왕들을 조복시켰다. 스와트 지역의 뱀 왕 아파랄라Apālala도 있었고 우루벨라의 찬다Canda도 있었다. 이들은 모두 뱀의 왕들이었다. 이들의 항복을 받아낸 것은 이들을 숭배하던 종교세력을 점진적으로 불법에 귀의시켰다는 것을 암시한다. 하지만 이 뱀들은, 또는 이 뱀들을 신앙했던 토착신앙 세력은 매우 완고했던 모양이었다. 경전 속에서 이 뱀 왕들은 쉽사리 불법에 귀의하지 않았다. 아파랄라의 경우, 스승은 호위무사였던 금강역사를 시켜 뱀 왕의 동굴까지 박살내서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궁지에 몰았던 경우도 있었다. 아파랄라는 과거부터 현생에 이르기까지 폭우를 이용해 사람들을 괴롭혔던 뱀이었다. 뱀으로 환생하기 이전에도 아파랄라의 전생은 비를 조절할 수 있었던 바라문 마법사였다. 경전은 이들을 불법에 귀의시키고자 했던 스승의 모습을 매우 단호하게 보여주고 있다. 

뱀(Nāga)은 코끼리와 같이 인도에서 대표적인 물의 수호자로 나타난다. 스승에게 쏟아지는 비바람을 막았던 무찰린다와 마찬가지로, 아파랄라도 물을 조절하는 신이었다. 물의 수호자들인 뱀은 불교에 귀의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받는다. 이들이 관장하는 물은 생명의 번식을 포함해서 자연을 풍요롭게 만드는 첫 번째 요소이자 공간이다. 그 물 속은 뱀의 왕, 즉 용왕이 사는 곳이며, 불법을 충분히 간직할 만한 은밀한 곳으로 변모한다. 자연을 풍요롭게 하는 것처럼 불법을 지키고 보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뱀의 왕들이 사는 곳, 용궁은 그렇게 동아시아로 왔다. 마치 용수보살이나 원효 스님이 바닷속 용왕에게서 경전을 구해왔다는 그 일화처럼.   
3.png
 


심재관
동국대학교에서 고대 인도의 의례와 신화에 대한 연구로 석·박사를 마쳤으며,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인도의 뿌라나 문헌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필사본과 금석문 연구를 포함해 인도 건축과 미술에도 관심을 확장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오스트리아, 파키스탄의 대학과 국제 필사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인도 뿌네의 반다르카 동양학연구소 회원이기도 하다. 저서 및 역서로는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세계의 창조 신화』, 『세계의 영웅 신화』, 『힌두 사원』, 『인도 사본학 개론』 등이 있다. 금강대학교 HK 연구교수, 상지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동국대학교와 상지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월간 불광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